삼국사기와 일본서기 속 백제와 왜의 조공·헌상 관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삼국사기」와「일본서기」비교
- 삼국사기와 일본서기 속 백제와 왜의 조공·헌상 관계


들어가는 말


1. 『일본서기』의 백제와 고대일본 관계 기록 - 조공·헌상
1-1. 신공황후 섭정 47년 4월(246년 4월)
1-2. 신공황후 섭정 52년 9월(251년 9월)
1-3. 흠명천황 7년 정월(545년 정월)
1-4. 흠명천황 13년 10월(551년 10월) ;불교전래
1-5. 흠명천황 17년 정월(555년 정월)
1-6. 민달천황 13년 9월(584년 9월) (崇仏과 排仏)
1-7. 추고천황 7년 9월(598년 9월)
1-8. 추고천황 10년 10월(601년 10월)
1-9. 천지천황 원년 정월(661년 정월)

2. 『삼국사기』의 백제와 고대일본 관계 기록 - 조공·헌상
2-1. 전지왕 5년(409년)
2-2. 전지왕 14년(418년)

나가는 말

본문내용

내기도 하였다.
2-1. 전지왕 5년(409년)
五年 倭遣使送夜明珠 王優待之.
5년에 왜국에서 사신을 시켜 야명주를 보내오매 왕이 특별한 례로써 대우하였다.
2-2. 전지왕 14년(418년)
十四年 夏 遣使倭 送白綿十匹
14년 여름에 왜국에 사신을 파견하여 흰 포목 열 필을 보냈다.
나가는 말
우선 『일본서기』에 나타난 고대한국 관련기사와 『삼국사기』에 나타난 고대일본 관련기사는 현저하게 양적으로 차이가 났다. 기사 내용 또한 일본서기는 년도, 사신이름 등 구체적으로 사건을 기록했다면 삼국사기는 년도와 간략한 기사 내용만을 기록하였다. 이러한 점만 보더라도 고대일본에 있어서 고대한국의 영향을 무시하지 못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일본서기와 삼국사기는 비교해보면 인명은 표기법이 달라도 하나하나 대응되고 사건에도 공통성이 있었다. 그러나 연대에 있어서는 전혀 일치 되지 않은 점은 간지(干支)가 있는 기록이 없었기 때문인 듯 하다. 그리고 일본서기에 나타난 기록을 보면 백제보다 신라와의 관계가 오래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삼국사기의 기사 중 왜국·왜인 기사는 500년 이전에 집중되어 있는 점도 공통점이라 할 수 있다.
일본서기에 나타난 고대일본과 백제는 인적교류·사신파견을 통해서 지식적인 면을 전수해줬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문화적인 전수 또한 신라보다 백제가 우세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신라, 백제, 고구려인 등을 일본에 거주하게 하고 도움을 줬다는 기사를 볼 수 있는데, 신라, 백제, 고구려인 등이 고대일본에 도움을 받았다기보다 이들이 신개척지에 침투되어 오히려 유력한 세력으로 자리 잡고 고대 일본인들에게 우수한 문화를 알려줬다고 본다. 삼국사기의 백제본기에서 왜 관련 기사는 10회 정도였고 대부분의 내용은 우호관계의 기사로 신라와의 대조됨을 볼 수 있었다.
일본서기가 제작된 8세기경은 천황제 국가체제가 완전한 정립을 보지 못한 시기로 체제에 대한 정통성 확보가 무엇보다도 시급한 과제였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로 제작된 일본서기는 천황지배의 전통성을 태고 때부터 일괄해 오고 있었다고 주장하는 정치서적인 경향을 띨 수밖에 없었고 내용 또한 천황의 우상화를 위해 신화적 요소 가미와 지나친 과장이 불가피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천황 우상화를 위해 만들어진 '신공왕후기'는 일본제국주의를 거치면서 침략적인 황국사관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연구되어 '임나일본부'라는 결론도 나오게 된 것 같다.

키워드

삼국사기,   일본서기,   백제,   ,   조공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10.07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65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