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의 정의 및 진단기준 임상유형별 행동특성 치료 및 간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치매의 정의 및 진단기준

2. 치매의 임상유형별 행동특성

3. 치매의 치료 및 간호

본문내용

시행해 왔던 방식을 충분히 활용하고 목욕과정을 단순화시켜야 한다. 목욕은 아침식사를 마치고 30분 정도 후에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녁에는 대개 환자의 상태가 나빠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저녁에 상태가 나빠지지 않는 환자의 경우 수면을 유도하기 위해 자기 전에 할 수도 있다. 목욕을 시킬 때는 조용하고 부드럽게 도와주어야 한다. 목욕을 할 것인지 말 것인지에 대해서 환자와 논쟁을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목욕을 하기 위한 과정을 단계별로 나누어 한가지씩 환자에게 이야기하고 시행하도록 한다. 목욕은 항상 같은 방식으로 하는 것이 좋다.
⑧ 구강위생
환자의 치아와 잇몸, 혀, 입안 점막 등의 건강은 식사와 관계되며 환자의 건강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환자가 스스로 이를 닦고 있는 것으로 보이더라도 실제로는 제대로 닦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보호자가 확인을 해야 한다
⑨ 욕창이 생겼을 때
욕창은 뼈 돌출부위에 생기는 궤양으로 활동이 제한된 노인에게 발생하기 쉽다. 다른 요소로는 전체적인 건강상태가 불량하거나 저 체중, 동맥경화증, 실금 등이 있을 때 더 발생하기 쉽다.
∞1단계 : 피부는 분홍색 혹은 푸른색이며, 누르면 색깔이 일시적으로 없어지며 딱딱하고 열감이 있다. 이 시기에는 마사지를 함으로써 문제의 진행을 예방할 수 있다.
∞2단계 : 피부가 갈라지고 물집이 생기고 주위 피부도 붉어진다. 이때는 생리식염수로 세 척한 후 소독약을 도포한다.
∞3단계 : 깊은 욕창이 생기고 조직이 많이 상한다. 이때는 괴사조직 제거제를 사용하거나 외과적으로 괴사조직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생리식염수 세척 후 소독약을 도포 한다.
∞4단계 : 뼈와 근육에까지 괴사가 미친 경우이다. 이때도 3단계와 같은 치료를 한다
3, 4단계의 욕창이 발생했을 때는 의사나 가정간호사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다
⑩ 말기치매환자의 식사와 영양
환자가 음식을 거부하더라도 계속적으로 공급하도록 한다. 보통 충분히 영양을 섭취하더라도 몸무게는 감소하게 된다. 환자가 음식을 씹고 삼키는 능력은 나날이 저하되기 때문에 수준에 알맞은 형태로 바꿔가며 음식을 준비하도록 하고, 특히 기도흡인이 일어나지 않는지 주의해서 살피며 만약의 경우를 대비한 해결방법을 알고 있어야 한다.
삼키고, 씹는 능력 저하로 영양부족이 심각해질 것으로 여겨지면 의사와 상의하여 위관영양이나 수액 요법 등 다른 형태의 영양공급 방법에 대해서 강구하도록 한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9.12
  • 저작시기2005.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24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