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회의주의의 유래
3.데카르트의 출발점- 확실성에의 열망 『직관과 연역』
4.『방법적 회의』의 본격화
5.나가며
2.회의주의의 유래
3.데카르트의 출발점- 확실성에의 열망 『직관과 연역』
4.『방법적 회의』의 본격화
5.나가며
본문내용
대한 감각적 지각뿐만 아니라 연장성, 크기, 위치 등의 단순한 본성들을 이해하는 데서도, 그리고 가장 단순한 산술적 계산을 하는 데서도 내가 잘못 생각하도록 만들어 놓지 않았을까?
어떤 전지전능한 악령이 자신의 모든 힘을 다하여 나를 속인다라는 가설에 의해, 판단할 수 있는 모든 것에 대한 판단을 유보하고 모든 것을 의심, 또 의심한다. 그리고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존재한다 코키토에 관해서는 그것이 논증이냐 직관이냐를 시작해 무수한 논쟁이 존재하나, 여기서는 생략하고, 다만 그것이 방법적 회의에 의해 궁극적으로 도출된 것임인 것만 언급하고자 한다.
”라는 유명한 명제를 내놓으며 이것은 그 철학의 또다른 시발점이 되었다.
5.나가며
의심할 수 있는 모든 것은 의심하라!!
의심은 믿음에 대한 철저한 배신이다. 신에 대한 믿음을 배신으로 출발한 저 명령이 종국에는 인간 존재에 대한 믿음으로 귀결되어 찬란한 근대의 업적을 탄생시켰음이 사뭇 역설적으로 보인다. 인간이라는 집단의 능력에 대한 과잉 믿음의 시대에, 참으로 우습게도 개체간에는 ‘불신시대’라는 말이 난무하는 것을 보면, 저 명제가 지금에 이르러 어떻게 자기 모습을 변모시켜야 할지 알쏭달쏭해진다.
어떤 전지전능한 악령이 자신의 모든 힘을 다하여 나를 속인다라는 가설에 의해, 판단할 수 있는 모든 것에 대한 판단을 유보하고 모든 것을 의심, 또 의심한다. 그리고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존재한다 코키토에 관해서는 그것이 논증이냐 직관이냐를 시작해 무수한 논쟁이 존재하나, 여기서는 생략하고, 다만 그것이 방법적 회의에 의해 궁극적으로 도출된 것임인 것만 언급하고자 한다.
”라는 유명한 명제를 내놓으며 이것은 그 철학의 또다른 시발점이 되었다.
5.나가며
의심할 수 있는 모든 것은 의심하라!!
의심은 믿음에 대한 철저한 배신이다. 신에 대한 믿음을 배신으로 출발한 저 명령이 종국에는 인간 존재에 대한 믿음으로 귀결되어 찬란한 근대의 업적을 탄생시켰음이 사뭇 역설적으로 보인다. 인간이라는 집단의 능력에 대한 과잉 믿음의 시대에, 참으로 우습게도 개체간에는 ‘불신시대’라는 말이 난무하는 것을 보면, 저 명제가 지금에 이르러 어떻게 자기 모습을 변모시켜야 할지 알쏭달쏭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