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반 조사(토질 조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반 조사(토질 조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지반조사 개요

2. 지반조사 과정

3. 지반 조사의 종류와 방법
2.1 지하탐사법
2.2 보링 (boring)
2.3 샘플링 (sampling)

3. 토질 시험
3.1 표준관입 시험 (SPT)
3.2 콘관입 시험 (Cone Penetration Test, CPT)
3.3 베인 시험 (Vane Test)
3.4 프레셔미터 시험 (Pressuremeter Test)
3.5 딜레토미터 시험 (Flat Dilatometer Test, DMT)

4. 지내력 시험 (재하시험)

5. 시추조사 기록표

참고 문헌

본문내용

지반의 변형특성과 강도특성을 동시
에 측정할 수 있고 시험 시 주변지반의 경계조건 및 응력과 변형율 상태가 명료하다.
3.5 딜레토미터 시험 (Flat Dilatometer Test, DMT)
적당한 보링장비를 이용해서 시험기를 지반에 관입 또는 타입한 후 일정 깊이에서 스테
인레스 스틸로 만들어진 멤브레인을 가스의 압력으로 수평방향으로 팽창수축시키고 그
때의 압력과 부피변화의 관계로부터 지반의 특성을 추정하는 시험이다.
4. 지내력 시험 (재하시험)
기초저면까지 판 지반에서 직접 재하해서 허용지내력을 구하는 시험으로 재하판은 0.2㎡의 정방형 또는 원형으로 보통 45cm각의 것을 사용한다. 매회 재하는 1톤 이하, 예정파괴하중의 1/5이하로 침하량이 2시간에 0.1mm이하이면 침하정지로 보며, 장기하중에 대한 허용지내력은 다음 중 작은 값을 택하고 단기하중은 장기하중의 2배로 한다.
- 총침하량이 2cm에 도달했을 때의 하중의 1/2
- 침하곡선이 항복상황을 표시할 때의 1/2
- 파괴시 하중의 1/3
5. 시추조사 기록표 (Borehole logs)
지반조사를 위한 시추공 굴착 작업시 시추 조사 기록표를 작성하여야 하며 다음 내용이 포함 되어야 한다.
- 시추작업 일자, 시추공의 위치, 수준점(bench mark)에 의한 지표면의 고도
- 지하수면의 위치, 각 토층의 경계위치, 각 토층에 대한 토질 분류 및 묘사
- 표준관입시험결과의 각 토층별 기록, 시추작업 기계 명시, 기계 교체 위치 및 사유
※ 참고문헌
1. 김명모, 1992, 토질역학, 문운당 (P.255~285)
2. 이건일, 1993, 토질 및 기초, 일진사 (P.453~457)
3. 조태룡, 2005, 토질 역학, 일진사 (P.545~549)
4. 우기형, 1994, 새로운 연약지반 처리공법
5. 이춘석, 2000, 토질 및 기초공학 특론 (P.301~305)
6. Braja M. Das, DAS의 기초공학 (P.107~116)
7. 정충기, 1999, 토목시공지반분야, 기문당 (P.9~40)
8. 이춘석, 2002, 토질 및 기초공학 이론과 실무, 예문사 (P.881~885)
9. 이상덕, 1993, 지반공학, 도서출판 엔지니어즈
10. 과학기술 편집부, 1999, 토질조사계획, 서울
11. 과학기술 편집부, 1998, 지반조사법「토질조사법개정편집위원회」, 서울
12. 천병식 외, 1998. 지반공학, 구미서관 (P.256~271)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9.14
  • 저작시기2005.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25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