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 역동의 관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격리된 가족 : 비행자녀를 가진 가족

2. 공생관계의 가족 : 가정 내 폭력 자녀를 가진 가족

참고문헌

본문내용

나 면담중 의사가 어머니의 신체 여기저기에 있는 외상을 화제에 올리면서부터 IP의 가족 내 폭력이 노출되었다. 이때부터 IP의 표정은 상당히 경직되었다. 어머니와 떨어져 생활하는 것이 무엇보다 급선무라고 판단한 의사가 입원을 권유하였다. IP는 상황이 자신이 전혀 예상하지 못한 방향으로 전개되자 진찰실에서 뛰쳐나가려 하였으며, 어머니가 IP를 붙잡자 어머니의 다리를 걷어찼다. 이러한 소동이 벌어져도 좀 떨어져 있던 아버지는 가만히 바라만 보고 있던 것이 인상적이었다.
◈ 사례분석
본 사례의 경우는 가족의 특징을 보면 아버지는 자신의 일만 생각하고 자녀교육의 책임을 포기한 사람이며 어머니는 어떤 의미에서는 아버지에게 무시당하며 자녀에게 모든 기대를 걸고 있는 것처럼 느껴진다. 즉,IP의 부모는 원만하지 못한 부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그것은 부모자녀관계에도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주고 있다. 어머니 자신은 힘든 어린 시절을 경험하면서 따뜻한 마음을 가질 여유가 없이 자랐다. 또한 여성으로서 동일성을 충분히 발휘할 기회를 갖지 못한 채 어머니가 되었다. 어머니에게서 느껴지는 지적이지만 어딘지 모르게 차가운 분위기는 이러한 생육사와 관계가 있을 것이다. 어머니가 가진 불완전한 자아형성의 느낌은 아들의 경우에도 이어져 대인관계에 어려움이 있는 두 사람은 더욱 밀착하게 되고 아들을 애완동물처럼 익애하거나 일시적이기는 하지만 딸의 교육에 열심이어서 한순간 아들을 무시하는 것 같은 양면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처럼 일관성이 결여된 양육태도는 IP가 대상관계를 구축해 가는 데 큰 장애가 되었다고 추론된다. 아들의 경우 어머니가 누나에게 강한 관심을 보일 때 버려진 비애감을 가졌을지 모른다. 하여간 IP는 혼자 자립할 준비가 되어 있지 못했다. 아버지는 감정을 잘 표현하지 않았으며 언제나 객관적인 입장에서 상황을 설명하고 있었다. IP의 아버지에게 한 가지 분명한 것은 자녀와 유대관계가 없다는 점이다. 이처럼 존재감이 희박한 아버지와 밀착된 어머니와 IP의 관계 속에서 가정 내의 폭력이 일어나고 있다고 생각된다. ≪ 김유숙, "가족치료", 학지사, 2000. ≫
참고문헌
김유숙, "가족치료", 학지사, 2000.
오창순 역, "전략적 가족치료", 아시아미디어리서치, 1998.
한국가족관계학회, http://kafr.or.kr
한국가족치료연구소, http://myhome.netsgo.com/kft4599/default1.htm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9.14
  • 저작시기2005.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26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