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실 험 목 적
2.실 험 원 리
3.실 험 방 법
4.결 과
5.토 의
6.참 고 문 헌
2.실 험 원 리
3.실 험 방 법
4.결 과
5.토 의
6.참 고 문 헌
본문내용
를 최적 함수비라고 하는데, 이때 건조밀도가 최대가 되고 건조단위중량이 최대가 된다
지반을 잘 다지기 위해서 최적의 함수비를 찾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함수비에 따라서 건조단위중량이 달라지는데 무턱대고 함수비가 작다고 건조단위중량이 커지는 것이 아니다. 다짐 실험을 통해 함수비와 건조단위중량의 관계를 분석하여 최대건조단위중량을 나타내는 함수비를 찾는 것이 이 다짐 실험의 목적이다.
실험결과를 보면 최대건조단위중량을 10~12사이 정도로 추정할 수 있다. 정확한 함수비를 알기 위해서는 10~12%함수비의 물의 양으로 많은 실험을 거쳐 그래프의 곡선의 꼭지점을 찾아야 한다. 정확한 최적함수비는 찾지 못했지만 영공기곡선
아래에 존재하는 최적함수비곡선의 개략적인 모양을 얻어내었다. 시간이 허락되어
많은 실험을 하였으면 상당히 정확한 값을 찾았으리라 본다.
<-오차를 줄이기 위해 몰드 옆에 떨어진
흙을 털어내고 있다.
6.참고문헌
-토질역학 6판, 박용원외, 1999, 사이텍미디어
-토질역학의원리, 이인모, 2003,새론
-토질시험, 김상규, 2004, 동명사
-(알기 쉬운) 토질시험법, 방윤경외, 2005, 동화기술
-토질시험법 ,김무일, 2002, 구미서관
지반을 잘 다지기 위해서 최적의 함수비를 찾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함수비에 따라서 건조단위중량이 달라지는데 무턱대고 함수비가 작다고 건조단위중량이 커지는 것이 아니다. 다짐 실험을 통해 함수비와 건조단위중량의 관계를 분석하여 최대건조단위중량을 나타내는 함수비를 찾는 것이 이 다짐 실험의 목적이다.
실험결과를 보면 최대건조단위중량을 10~12사이 정도로 추정할 수 있다. 정확한 함수비를 알기 위해서는 10~12%함수비의 물의 양으로 많은 실험을 거쳐 그래프의 곡선의 꼭지점을 찾아야 한다. 정확한 최적함수비는 찾지 못했지만 영공기곡선
아래에 존재하는 최적함수비곡선의 개략적인 모양을 얻어내었다. 시간이 허락되어
많은 실험을 하였으면 상당히 정확한 값을 찾았으리라 본다.
<-오차를 줄이기 위해 몰드 옆에 떨어진
흙을 털어내고 있다.
6.참고문헌
-토질역학 6판, 박용원외, 1999, 사이텍미디어
-토질역학의원리, 이인모, 2003,새론
-토질시험, 김상규, 2004, 동명사
-(알기 쉬운) 토질시험법, 방윤경외, 2005, 동화기술
-토질시험법 ,김무일, 2002, 구미서관
추천자료
고체의 비열 실험결과 레포트
초산에틸의 합성(에스테르화 반응) 실험 결과레포트
레이놀드수 측정실험 결과레포트
[일반물리학]자기유도실험 결과레포트
[회로실험] 램프회로 실험 (예비+결과레포트)
[화학공학실험] 혼합조 실험 (예비+결과레포트)
[화공기초실험] 비중 및 밀도 측정(결과레포트)
[실험 결과레포트] 축전기와 정전용량
[실험 결과레포트] 자기력 측정
[실험 결과레포트] 전자기 유도
[실험 결과레포트] 암페어 법칙
[실험 결과레포트] RLC 교류회로
기초전자실험 저역,고역,대역필터 개인 텀 결과레포트
원통,직육면체 결과레포트 - 실험 3 원통형시료 & 실험 4 직육면체 시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