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의 수수께끼 평가및 감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문화의 수수께끼 평가및 감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우리문화의 수수께끼에 대해...

2,우리문화수수께끼1,2[요약및줄거리]

3,우리문화의 수수께끼를 읽고...

본문내용

자들 조차 민중의 장례문화풍습을 도외시하는 아이러니가 있다.
장례식이란 죽음을 애도하는 통과의례가 아닌, 사회단합과 축제문화의 일환이다
그럼 축제형식의 장례풍습은 어디서 기원을 가졌을까?..
조선 초 부터 엄숙을 요구하는 유교식 장례가 강요 되면서 향도식의 떠들썩한 장례는 거세되었다. 하지만 다행히 진도 제주도 는 이어지고 있다.
상두꾼의 행렬은 죽음에 대하는 우리나라 정서가 잘 나타난 원초적 풍습이고. 달관의 경지까지 볼수 있으며, 기막힌 가락의 상두가 들리면 죽음은 곁에 있는 친숙한 어떤 것처럼 변해버린다. 참고로 오늘날 어불성설 인 것은 ‘묘지문제, 즉 국립묘지부터 바꿔야 되지 않을까한다. 화장은 민중들에게 강요하면서 기득권층들은 화려한 매장을 선호 하는 것 자체가 문제가 아닐까?!.’
조상숭배는 유교식만이 아닌, 무속의 조상섬김 도 있다. 여성들은 제의에서 소외되고 남성들이 제사를 독점하는 식의 형태로 왔다. 그리고 민중적 장례식에는 하나의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기도 한다 ,그릇된 고찰과 삶의 방식은 이제 버려야한다. 서로 돕고 사는 미풍양속을 흘려보내고, 사회과학 주의로 재단하는 우매함을 경계 하는 것이다!
이로써 우리문화의 수수께끼2권을 읽어보았다.
역시 2권에서도 321p부터 자세한 현장이야기가 나와 있다. 2권의 서두에 보면 새로 다시 공부를 하는 맘으로 최선을 다해 모든 이들에게 문화적 도움을 주고 싶다고 한 저자의 마음이 나와 있는데, 역시 ‘최고의 가치를 갖는 사람들의 마음은 다른가?’하는 의구심을 보여주었다.
그리하여 2권 ‘도깨비 없이 자라난 세대를 위한 우리 문화론’을 읽고 잠시 1,2권에 느낀점을 이야기 해보겠다.
3,우리문화의 수수께끼를 읽고...
처음엔 이 독후감을 맡았을때 잠시 놀랐다. 왜냐하면 도서관에서의 책들이 2권^^;이나 놓여있다 라는 데서 소위 귀차니즘이 발동을 하였는데, 하루에 2시간씩 일주일을 나눠 보기로 하였다. 하지만 독특한 구성과 생생한 체험의 전달방식, 이야기형식인 유머스러움 은 단기간에 1,2권을 공략하게 만들었다.
주강현 저자의 깊은 문화 사랑에 감사의 마음을 표현하며,
각각의 내용들은 소위 한국에서 살고 있음에도 잘 듣지도 못한 내용도 있었음은
나를 부끄럽게 만들었다. 실로 문화에 대해 관심을 깊게 가져보지 않은 사람도 분명 나와 같은 마음을 느낄 것이다. 우리문화에 대해 이제는 온고지신의 기반으로 발전시켜 나아가야 할 것이며,보이지 않는 힘에 대한 중요성의 마음가짐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 책을 읽으면서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1권에서 브리지드 바르도와 황구의 비명 이었는데, 거기서 저자가 ‘황구야 꼬리를 내려라!’ 하는 그 대목이 왠지 우리역사의 슬픔, 고통을 말해주는 부분 같아서 마음에 새겨지게 되었다.
이외에도, 솔직히 각각의 부분마다 과반수가 깨달음의 산물이랄까? 하는 마음이다!
이정도면 주강현 저자의 팬이 돼버린 걸까?^^.
요번에 시간을 내어 주강현저자의 2003년 발간한 ‘21세기 우리문화’에 대해서도
읽어볼 예정이다!
REPORT
우리문화의 수수께끼[감상문]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09.16
  • 저작시기2005.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27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