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파피루스의 의미
2. 종류 및 특성
3. 재배법
4. 서사재료의 파피루스
5. 종이 제조방법
6. 크기
7. 필사도구
8. 파피루스의 내용
9. 파피루스 기록자
10. 파피루스 대체 서사재료
2. 종류 및 특성
3. 재배법
4. 서사재료의 파피루스
5. 종이 제조방법
6. 크기
7. 필사도구
8. 파피루스의 내용
9. 파피루스 기록자
10. 파피루스 대체 서사재료
본문내용
있다. 이집트에서는 길이가 46피트, 폭이 10인치 이하의 두루마리를 일반적으로 사용하였다.
7. 필사도구
필사하는데 사용되는 잉크는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하였으나 가장 널리 사용된 것은 램프 검댕이에 고무용액을 섞어서 만든 검은 잉크와 빨간 진흙이나 산화철로 만든 빨간 잉크가 있다. 그 밖에 녹색-갈색-노란색잉크도 사용되었다. 필기도구로는 연필모양의 끝이 뾰쪽한 나무막대기의 끝을 붓 모양으로 만들어 사용하였다.
8. 파피루스의 내용
곡선이나 도형표현에 있어 쐐기문자보다 유리하였으며, 그림과 조각으로 형성된 초기의 신성문자(神聖文字:Hieratic Writing)에서 발달한 상형문자(象形文字:Hieroglyphic)를 기록하였다. 주로 기록된 내용은 왕실의 기념물이나 종교적 기념물, 그리고 장례상의 기념물에 대한 것이었다.
9. 파피루스 기록자
당시의 기록자들은 사제단과 집권자에 속한 엘리트로 대우받았다. 기원전 3,000년대 말에는 기록자들을 위한 직업학교의 성격을 띤 최초의 중앙 수련소들이 발생하였다.
10. 파피루스 대체 서사재료
파피루스는 지중해 연안지역과 유럽지역 등에 많은 양이 수출되다가 기원전 15세기 무렵 수출이 금지되었다.
파피루스를 수입하여 기록재료로 사용하던 지중해 연안지역과 유럽지역에서는 파피루스의 수출이 금지되자, 다른 기록재료로의 대체가 시급하게 되었다.
이것은 양피지가 제2의 기록재료로 폭넓게 사용되는 계기를 마련하게 하였다. 원래 양피지는 기원전 2,000년경 발명되었으며, 기원전 150년 무렵 소아시아의 페르가몬(Pergamun)왕에 의해 그 제작법이 개발되었다.
7. 필사도구
필사하는데 사용되는 잉크는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하였으나 가장 널리 사용된 것은 램프 검댕이에 고무용액을 섞어서 만든 검은 잉크와 빨간 진흙이나 산화철로 만든 빨간 잉크가 있다. 그 밖에 녹색-갈색-노란색잉크도 사용되었다. 필기도구로는 연필모양의 끝이 뾰쪽한 나무막대기의 끝을 붓 모양으로 만들어 사용하였다.
8. 파피루스의 내용
곡선이나 도형표현에 있어 쐐기문자보다 유리하였으며, 그림과 조각으로 형성된 초기의 신성문자(神聖文字:Hieratic Writing)에서 발달한 상형문자(象形文字:Hieroglyphic)를 기록하였다. 주로 기록된 내용은 왕실의 기념물이나 종교적 기념물, 그리고 장례상의 기념물에 대한 것이었다.
9. 파피루스 기록자
당시의 기록자들은 사제단과 집권자에 속한 엘리트로 대우받았다. 기원전 3,000년대 말에는 기록자들을 위한 직업학교의 성격을 띤 최초의 중앙 수련소들이 발생하였다.
10. 파피루스 대체 서사재료
파피루스는 지중해 연안지역과 유럽지역 등에 많은 양이 수출되다가 기원전 15세기 무렵 수출이 금지되었다.
파피루스를 수입하여 기록재료로 사용하던 지중해 연안지역과 유럽지역에서는 파피루스의 수출이 금지되자, 다른 기록재료로의 대체가 시급하게 되었다.
이것은 양피지가 제2의 기록재료로 폭넓게 사용되는 계기를 마련하게 하였다. 원래 양피지는 기원전 2,000년경 발명되었으며, 기원전 150년 무렵 소아시아의 페르가몬(Pergamun)왕에 의해 그 제작법이 개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