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언
스킬 및 팀 성과 중심의 보상
기본 급여는 스킬 습득 정도에 따라
정교하게 시스템이 설계되어야
보너스는 팀 공동 성과에 따라
팀 성과 기준에 대한 합의가 중요
팀 가속화를 위한 비공식적 보상
팀 성숙도에 따라 차별적으로 활용해야
스킬 및 팀 성과 중심의 보상
기본 급여는 스킬 습득 정도에 따라
정교하게 시스템이 설계되어야
보너스는 팀 공동 성과에 따라
팀 성과 기준에 대한 합의가 중요
팀 가속화를 위한 비공식적 보상
팀 성숙도에 따라 차별적으로 활용해야
본문내용
이션 정도, 다른 팀들과의 협조 정도 등도 고려해야 한다. 평가 방법은 하드 지표의 경우에는 팀별 성과 자료를 분석하여 집계하면 되고, 소프트 지표의 경우에는 설문 조사, 인터뷰, 관찰 등의 방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점수를 계산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우수팀을 선정하여 포상 대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포상 기법으로는 ‘금주의 팀상’ 제도를 통한 팀 선물 제공, 고객 방문 여행, 팀 성과를 기념하기 위한 공식 기념회나 전시회 등이 있다. GE에서는 ‘고객 인식 여행’이라는 독특한 프로그램을 통해 팀에 동기부여도 하고 팀원들의 고객에 대한 이해 정도도 높이고 있다고 한다. 그리고 포상 결과에 대해서는 반드시 게시판 공시나 사보 게재 등의 방법을 통해 조직 전체에 알림으로써 제도 실시에 대한 긍정적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팀 성숙도에 따라 차별적으로 활용해야
보상 방식의 변화는 종업원들에게 매우 민감한 사항이다. 따라서 실제로 위와 같은 여러 보상 방식을 활용하여 조직의 보상 시스템을 새로이 구축하기 위해서는 자율경영팀의 성숙 정도와 조직 여건을 고려하여 매우 조심스럽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는 단계적으로 보상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자율경영팀 도입 초기에는 기존 보상 시스템의 골격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팀 성숙도와 팀 성과에 대한 평가 결과에 따라 우수팀을 선정해서 팀 차원의 공동 선물이나 포상 등을 제공하는 비금전적 보상 방식을 주로 활용하는 것이 좋다. 이것이 어느 정도 활성화되면 팀원 개개인에 대해서도 팀 자체적인 동료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개인별로 포상하는 방식을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율경영팀이 어느 정도 성숙되면 개인 단위의 기본 급여 시스템을 스킬급 체제로 바꾸기 위한 준비 작업을 하고, 부분적으로 스킬급 요소를 가미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기본 급여 시스템을 연공급 50%, 성과급 30%, 스킬급 20% 등의 방식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보너스 시스템은 인정과 포상에 의한 팀 차원의 비금전적 보상 방식에 부분적으로 금전적 요소를 가미하여 팀 보너스 형태로 지급하는 방식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전체 조직에 자율경영팀이 완전히 정착되고 팀 공동 성과에 대한 팀원들의 성숙된 주인 의식과 책임 의식이 배양되었을 때에는 보상 시스템 전체를 완전히 스킬급과 팀 성과급 시스템으로 전환할 수 있다.
팀 성숙도에 따라 차별적으로 활용해야
보상 방식의 변화는 종업원들에게 매우 민감한 사항이다. 따라서 실제로 위와 같은 여러 보상 방식을 활용하여 조직의 보상 시스템을 새로이 구축하기 위해서는 자율경영팀의 성숙 정도와 조직 여건을 고려하여 매우 조심스럽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는 단계적으로 보상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자율경영팀 도입 초기에는 기존 보상 시스템의 골격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팀 성숙도와 팀 성과에 대한 평가 결과에 따라 우수팀을 선정해서 팀 차원의 공동 선물이나 포상 등을 제공하는 비금전적 보상 방식을 주로 활용하는 것이 좋다. 이것이 어느 정도 활성화되면 팀원 개개인에 대해서도 팀 자체적인 동료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개인별로 포상하는 방식을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율경영팀이 어느 정도 성숙되면 개인 단위의 기본 급여 시스템을 스킬급 체제로 바꾸기 위한 준비 작업을 하고, 부분적으로 스킬급 요소를 가미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기본 급여 시스템을 연공급 50%, 성과급 30%, 스킬급 20% 등의 방식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보너스 시스템은 인정과 포상에 의한 팀 차원의 비금전적 보상 방식에 부분적으로 금전적 요소를 가미하여 팀 보너스 형태로 지급하는 방식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전체 조직에 자율경영팀이 완전히 정착되고 팀 공동 성과에 대한 팀원들의 성숙된 주인 의식과 책임 의식이 배양되었을 때에는 보상 시스템 전체를 완전히 스킬급과 팀 성과급 시스템으로 전환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