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의
2. 발생빈도
3. 원인
4. 분류
5. 수반장애
6. 진단
7. 치료
2. 발생빈도
3. 원인
4. 분류
5. 수반장애
6. 진단
7. 치료
본문내용
를 자극할 경우 신전근이 수축하는 반응을 이용하는 것으로 주로 환자가 서는 것을 도와 준다. 교정성 석고 교정은 근육을 수동적으로 신전시켜 근육의 종적 성장을 촉진시킨다.
4) 보조기 - 뇌성 마비의 치료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경직성이 몹시 강하거나 구축으로 인한 변형의 정도가 심한 경우에는, 보조기의 착용으로 그 변형의 교정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보조기는 주로 수술을 시행한 후 변형의 재발을 방지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족관절-족부 보조기는 역동적 첨족 변형에 수술전 일시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5) 약물요법 - 뇌성 마비의 치료보다는, 수술 후 근육의 경직 완화를 위하여 주로 사용되고 있다. 알콜 이나 페놀을 근육내 신경에 주입하여 신경을 차단하는 방법도 사용되고 있다.
6) 중추 신경계 수술 - 최근에 시도 되는 방법으로, 하지에 심한 경직성을 보이는 경우 척추의 후궁을 절제한 후, 척수 후신경근에 대한 전기 자극을 통하여, 근전도상 하지 근육의 활성도를 보이는 신경근만을 선택적으로 절단하는, 선택적 후방 신경근 절제술이 이용되고 있다.
7) 정형외과적 수술 - 뇌성 마비 환자에서 보는 각종 변형을 교정할 목적으로 수술을 한다.
4) 보조기 - 뇌성 마비의 치료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경직성이 몹시 강하거나 구축으로 인한 변형의 정도가 심한 경우에는, 보조기의 착용으로 그 변형의 교정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보조기는 주로 수술을 시행한 후 변형의 재발을 방지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족관절-족부 보조기는 역동적 첨족 변형에 수술전 일시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5) 약물요법 - 뇌성 마비의 치료보다는, 수술 후 근육의 경직 완화를 위하여 주로 사용되고 있다. 알콜 이나 페놀을 근육내 신경에 주입하여 신경을 차단하는 방법도 사용되고 있다.
6) 중추 신경계 수술 - 최근에 시도 되는 방법으로, 하지에 심한 경직성을 보이는 경우 척추의 후궁을 절제한 후, 척수 후신경근에 대한 전기 자극을 통하여, 근전도상 하지 근육의 활성도를 보이는 신경근만을 선택적으로 절단하는, 선택적 후방 신경근 절제술이 이용되고 있다.
7) 정형외과적 수술 - 뇌성 마비 환자에서 보는 각종 변형을 교정할 목적으로 수술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