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장서개발의 의의
2. 장서개발의 필요성
3. 장서개발의 목적
4. 장서개발의 내용
Ⅲ 결론
참고문헌
별첨 : 장서개발정책의 사례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의 보건과학도서관)
Ⅱ 본론
1. 장서개발의 의의
2. 장서개발의 필요성
3. 장서개발의 목적
4. 장서개발의 내용
Ⅲ 결론
참고문헌
별첨 : 장서개발정책의 사례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의 보건과학도서관)
본문내용
rmatology)
RM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RT (Nursing)
● 장서의 접근
OSCAR(OSU online catalog)를 통해 장서에 접근할 수 있고 이것은 대학 내에서 또는 직장이나 집에서 언제라도 이용이 가능하고 또한 OhioLINK Web site와 online catalog를 통한 다양한 자원의 이용이 가능하다.
● 배제되는 주제
장서개발에 포함되지 않는 주제분야는 다음과 같다.
·수의학
·제약 개발
·아동 보건과 교육
·심리 개발
·농학
● 오하이오주립 대학교 도서관과의 중복도
오하이오 주립대학의 도서관(OSU)과 다음과 같은 주제분야의 장서는 중복되어 제공된다.
·생물학/약학 (약학, 세균학, 생화학, 유전학)
·어린이 병원 (소아과)
·교육, 생태학, 심리학 (신경학, 심리학, 영양학)
·영어, 연극과 커뮤니케이션 (청각, 언어/청각 장애)
·법률 (의료 사고, AIDS, 보건 관리 개정)
·주요 도서관 (의학과 과학의 역사)
·과학과 기술 (생화학, 생체공학)
·수의학 (실험 동물, 해부학, 기생충)
·여성학 (여성 보건)
연구의 방대함과 다양한 장서의 보관 문제 때문에 보건 환경, 신경화학, 신경생리학,
인간공학, 생체 공학 분야의 장서들의 구성에는 결함이 있다. OSU내의 어떠한 도서관 도 이러한 주제분야의 장서를 수집하지 않는다.
● 언어 : 영어로 된 자료를 수집한다.
● 기간 : 전 시대를 포함한다.
● 출판 기간
1649년에 수집된 장서를 포함, 전 시대의 자료를 포함하여 수집한다.
● 지리적인 범위
미국의 자료를 중심으로 영국과 아시아의 출판물도 포함한다. 이들 자료는 공공보건, 질병, 대체의학 등에 관한 것이다.
● 기증 자료
특수장서(교수나 각부서의 출판물, 분실된 저널, 개인적인 기증품, 비디오테이프, 역사적 장서)를 기증 받을 수는 있으나 구입은 하지 않는다. 기증 받은 자료는 다른 도서관이 이용할 수 없으며 판매도 금지된다.
5) 특별히 주제/위치에 관련된 정보원
● 도서관외의 오하이오주립 대학교의 정보원
전문 병원의 요구에 따라 대학/병원 부서에서 장서를 구성 할 수 있다.
● 상호협약
Chemical Abstracts Service, Battelle Labs, OhioLINK, CIC (Big 10) libraries, GMR libraries (Greater Midwest Region of The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The State Library of Ohio, Cleveland Clinic과의 상호 교환이 가능하다.
6) 미래의 집서를 위한 계획
도서관 이용자들에게 중요성이 증가하는 주제분야의 범위는 공중보건, 전염병학, 인 간 공학, 유전학, 신경과학이 포함된다. 또한 관련 장서와 교육적인 프로그램도 증가하고 있다.
정확하고 시의 적절하게 이용자의 요구에 맞는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여야 한다. 도서관은 이용자의 요구가 있는 대학 의학 센터 안에 있는 보건 정보 센터의 직원들과 밀접하게 업무를 처리해야 한다.
더 많은 자료들이 전자 기기를 위한 부가적인 기금을 통하여 비 인쇄매체로 이용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OhioLINK와 University initiatives는 전자저널, 데이터베이스, 인터넷 자원과 관련된 효과적인 결정을 내리고 도서관이 빠르게 이들을 받아들이도록 해야한다. 선택과 평가, 수서, 이들 자원으로의 접근은 도서관 직원에 의해서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2. 전자정보원 장서정책
1) 소개
직원들이 아닌 이용자의 이용을 위한 전자 자료의 구입에 관한 정책으로 도서관의 전자 정보원은 서지, 데이터베이스, 멀티미디어 자료, 원문 저널과 관련 자료를 포함한다. 이 정책은또한 정부에서 제공하는 무료 자료로의 접근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며 장서개발과 기술서비스 부서의 사서는 매 2년 또는 요구에 따라 평가되고 바뀔 것이다.
2) 범위
도서관의 장서개발정책에 따라 주제분야를 결정해야하며 영어로 된 정보만을 제공한다. 대부분의 경우 이용자의 요구가 아니면 OhioLINK의 복제자료는 포함하지 않고 있다.
3) 이용자
인쇄 장서의 이용자와 같이 교육과 연구를 위한 경우 건강센터의 교수, 직원, 학생, 환자를 포함하여 정보를 원하는 사람들을 모두를 이용자로 한다.
4) 접근
온라인으로 인터넷이나 CD-ROM을 통하여 접근할 수 있다.
5) 선택기준
모든 도서관 이용자와 직원은 장서개발과 기술서비스 사서에게 수서에 관한 제안을 할 수 있다. 그 제안들은 장서개발부서의 사서, 장서개발과 관련된 사서나 그 밖의 책임자, 전자 서비스 위원회, 보건 과학 센터의 교수, 직원, 학생, 그리고 도서관 직원에 의해 평가되고 추천되어 선택될 수 있다.
6) 평가 주안점
자료들은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평가된다.
1) 사무실 용도보다는 도서관 배치의 적절성
2) 도서관의 주요 이용자의 요구에 적합한지 여부
3) 인쇄정보원과 전자정보원 중 이용자가 요구하는 것은 무엇인가?
4) 전자정보원에 관련되어 출판된 평가나 참고자료의 긍정성
5) 이용자 친화성
6) 키워드나 불연산 검색 시 정확성
7) 스크린 레이아웃의 질적인 수준
8) 전문, 전체 이미지, 테이블, 모형 등의 이용가능성
9) 동일 정보 인쇄물의 성공여부
10) 인쇄물을 능가하는 전자정보원의 이점
11) 허가
12) OhioLINK와의 중복성
13) 대행업자의 권위나 명성
14) 필요할 때 대행업자의 서비스나 지원 가능성 여부
15) 검색속도
16) 인쇄자료의 이용가능성
17) 보안문제와의 관계
18) 비용
7) 설비/예산 요구안
1) 설비들은 사용할 수 있도록 미리 제공되어야 한다.
2) 전자 자료는 구매할 수 있고 일년 내 언제든지 도서관의 수서 예산으로 장서로 구성 될 수 있다.
8) 직원/이용자 교육이슈들
정보원들은 간단한 교육을 통하여도 이용이 가능하다. 도서관에서의 교육은 모든 공공
서비스 직원을 위해 제공되는 교육, 대행업자/출판사 직원들에 의한 교육, 대행업자를 이용하지 못할 경우에 사서들에 의한 교육, 최종이용자 교육 또는 필요할 경우 문서에 의한 교육 등으로 나누어져 있다
RM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RT (Nursing)
● 장서의 접근
OSCAR(OSU online catalog)를 통해 장서에 접근할 수 있고 이것은 대학 내에서 또는 직장이나 집에서 언제라도 이용이 가능하고 또한 OhioLINK Web site와 online catalog를 통한 다양한 자원의 이용이 가능하다.
● 배제되는 주제
장서개발에 포함되지 않는 주제분야는 다음과 같다.
·수의학
·제약 개발
·아동 보건과 교육
·심리 개발
·농학
● 오하이오주립 대학교 도서관과의 중복도
오하이오 주립대학의 도서관(OSU)과 다음과 같은 주제분야의 장서는 중복되어 제공된다.
·생물학/약학 (약학, 세균학, 생화학, 유전학)
·어린이 병원 (소아과)
·교육, 생태학, 심리학 (신경학, 심리학, 영양학)
·영어, 연극과 커뮤니케이션 (청각, 언어/청각 장애)
·법률 (의료 사고, AIDS, 보건 관리 개정)
·주요 도서관 (의학과 과학의 역사)
·과학과 기술 (생화학, 생체공학)
·수의학 (실험 동물, 해부학, 기생충)
·여성학 (여성 보건)
연구의 방대함과 다양한 장서의 보관 문제 때문에 보건 환경, 신경화학, 신경생리학,
인간공학, 생체 공학 분야의 장서들의 구성에는 결함이 있다. OSU내의 어떠한 도서관 도 이러한 주제분야의 장서를 수집하지 않는다.
● 언어 : 영어로 된 자료를 수집한다.
● 기간 : 전 시대를 포함한다.
● 출판 기간
1649년에 수집된 장서를 포함, 전 시대의 자료를 포함하여 수집한다.
● 지리적인 범위
미국의 자료를 중심으로 영국과 아시아의 출판물도 포함한다. 이들 자료는 공공보건, 질병, 대체의학 등에 관한 것이다.
● 기증 자료
특수장서(교수나 각부서의 출판물, 분실된 저널, 개인적인 기증품, 비디오테이프, 역사적 장서)를 기증 받을 수는 있으나 구입은 하지 않는다. 기증 받은 자료는 다른 도서관이 이용할 수 없으며 판매도 금지된다.
5) 특별히 주제/위치에 관련된 정보원
● 도서관외의 오하이오주립 대학교의 정보원
전문 병원의 요구에 따라 대학/병원 부서에서 장서를 구성 할 수 있다.
● 상호협약
Chemical Abstracts Service, Battelle Labs, OhioLINK, CIC (Big 10) libraries, GMR libraries (Greater Midwest Region of The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The State Library of Ohio, Cleveland Clinic과의 상호 교환이 가능하다.
6) 미래의 집서를 위한 계획
도서관 이용자들에게 중요성이 증가하는 주제분야의 범위는 공중보건, 전염병학, 인 간 공학, 유전학, 신경과학이 포함된다. 또한 관련 장서와 교육적인 프로그램도 증가하고 있다.
정확하고 시의 적절하게 이용자의 요구에 맞는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여야 한다. 도서관은 이용자의 요구가 있는 대학 의학 센터 안에 있는 보건 정보 센터의 직원들과 밀접하게 업무를 처리해야 한다.
더 많은 자료들이 전자 기기를 위한 부가적인 기금을 통하여 비 인쇄매체로 이용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OhioLINK와 University initiatives는 전자저널, 데이터베이스, 인터넷 자원과 관련된 효과적인 결정을 내리고 도서관이 빠르게 이들을 받아들이도록 해야한다. 선택과 평가, 수서, 이들 자원으로의 접근은 도서관 직원에 의해서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2. 전자정보원 장서정책
1) 소개
직원들이 아닌 이용자의 이용을 위한 전자 자료의 구입에 관한 정책으로 도서관의 전자 정보원은 서지, 데이터베이스, 멀티미디어 자료, 원문 저널과 관련 자료를 포함한다. 이 정책은또한 정부에서 제공하는 무료 자료로의 접근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며 장서개발과 기술서비스 부서의 사서는 매 2년 또는 요구에 따라 평가되고 바뀔 것이다.
2) 범위
도서관의 장서개발정책에 따라 주제분야를 결정해야하며 영어로 된 정보만을 제공한다. 대부분의 경우 이용자의 요구가 아니면 OhioLINK의 복제자료는 포함하지 않고 있다.
3) 이용자
인쇄 장서의 이용자와 같이 교육과 연구를 위한 경우 건강센터의 교수, 직원, 학생, 환자를 포함하여 정보를 원하는 사람들을 모두를 이용자로 한다.
4) 접근
온라인으로 인터넷이나 CD-ROM을 통하여 접근할 수 있다.
5) 선택기준
모든 도서관 이용자와 직원은 장서개발과 기술서비스 사서에게 수서에 관한 제안을 할 수 있다. 그 제안들은 장서개발부서의 사서, 장서개발과 관련된 사서나 그 밖의 책임자, 전자 서비스 위원회, 보건 과학 센터의 교수, 직원, 학생, 그리고 도서관 직원에 의해 평가되고 추천되어 선택될 수 있다.
6) 평가 주안점
자료들은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평가된다.
1) 사무실 용도보다는 도서관 배치의 적절성
2) 도서관의 주요 이용자의 요구에 적합한지 여부
3) 인쇄정보원과 전자정보원 중 이용자가 요구하는 것은 무엇인가?
4) 전자정보원에 관련되어 출판된 평가나 참고자료의 긍정성
5) 이용자 친화성
6) 키워드나 불연산 검색 시 정확성
7) 스크린 레이아웃의 질적인 수준
8) 전문, 전체 이미지, 테이블, 모형 등의 이용가능성
9) 동일 정보 인쇄물의 성공여부
10) 인쇄물을 능가하는 전자정보원의 이점
11) 허가
12) OhioLINK와의 중복성
13) 대행업자의 권위나 명성
14) 필요할 때 대행업자의 서비스나 지원 가능성 여부
15) 검색속도
16) 인쇄자료의 이용가능성
17) 보안문제와의 관계
18) 비용
7) 설비/예산 요구안
1) 설비들은 사용할 수 있도록 미리 제공되어야 한다.
2) 전자 자료는 구매할 수 있고 일년 내 언제든지 도서관의 수서 예산으로 장서로 구성 될 수 있다.
8) 직원/이용자 교육이슈들
정보원들은 간단한 교육을 통하여도 이용이 가능하다. 도서관에서의 교육은 모든 공공
서비스 직원을 위해 제공되는 교육, 대행업자/출판사 직원들에 의한 교육, 대행업자를 이용하지 못할 경우에 사서들에 의한 교육, 최종이용자 교육 또는 필요할 경우 문서에 의한 교육 등으로 나누어져 있다
추천자료
[인사관리제도][인사관리]사례를 통해 본 인사관리제도의 현황과 과제 및 개선방향(인사관리...
[인적자원개발][HRD]인적자원개발(HRD) 조건, 인적자원개발(HRD) 필요성, 인적자원개발(HRD) ...
[ERP][전사적자원관리]ERP(전사적자원관리)의 정의, 특징과 ERP(전사적자원관리)의 개발 현황...
[CS]학교종합정보관리시스템(CS)의 의의와 기본사양, 학교종합정보관리시스템(CS)의 개발대상...
학교종합정보관리시스템(CS)의 개발배경, 학교종합정보관리시스템(CS)의 필요성, 학교종합정...
[중소기업 인적자원][중소기업][인적자원][기업][중소기업 인적자원 중요성][E커머스]중소기...
제조기업(제조업)의 공동화, 근로의식, 제조기업(제조업) 제품개발, 제조기업(제조업) ERP(전...
개인과 개인정보, 개인주의, 개인과 개인중심방법, 개인과 개인화서비스, 개인무의식, 개인과...
[NGO 사례] 월드비전 (WORLD VISION) 소개, 주요사업, 국제개발사업, 국내사업, 국제구호, 북...
[다국적기업의 전략] 다국적기업(국제기업,글로벌기업)의 전략 : 자금조달전략, 연구개발, ...
입양사업의 사후관리제도 및 사후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입양사업의 사후관리제도 및 사후관...
[교육공학 공통] 교육공학의 주요 영역에 대해서 설명~~~!!! (설계 영역, 개발 영역, 활용 영...
[중소기업][인력난][실업자지원체계]중소기업의 특성, 중소기업의 역할,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아동복지정책에서 2013년 이후 방과후학교 활성화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이 계속 불거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