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시론 (A+완성)] 김현승의 시세계의 특성의 시기별 연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대시론 (A+완성)] 김현승의 시세계의 특성의 시기별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김현승시의 일반적 특징

Ⅲ. 김현승의 시세계의 시기별 특징
가. 1기(30년대 ~ 8.15해방) - 자연과 민족
나. 2기(8.15해방 ~ 60년대 중반) - 양심과 기도
다. 3기(60년대 중반 이후) - 신과 고독
라. 4기(70년대 초반 이후) - 고독의 극복

Ⅳ. 맺으며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닌 것도 오직 이뿐!
아름다운 나무의 꽃의 시듦을 보시고
열매를 맺게 하는 당신은,
나의 웃음을 만드신 후에
새로이 나의 눈물을 지어 주시다.
-『눈물』전문
1967년 12월<현대문학>에 발표된 이 시는 사랑하는 어린 아들을 일고 그 슬픔을 눈물로 승화시킨 것으로 여기에서의 '눈물'은 가장 진실된 가치의 실체인 것이다. 자신의 상처를 믿음으로 달래며 내향적이고 정신적인 양심의 옹호와 더불어 심화된 생명의 순결성을 내보인 그는 이때부터 내면세계로 로 의식을 전환한다.
라. 4기(70년대 초반 이후) - 고독의 극복
그의 고독은 1970년 초반부터 극복양상을 보여 준다. 이 변화는 다음 글에서 볼 수 있다.
이러한 중에 나는 지금으로부터 3년 전의 어느 겨울에 갑자기 쓰러지고 말았다. 나의 느낌으로 죽었던 것이다. 그러나 며칠 만인가,얼마 만에 나는 다시 의식을 회복하고 살아나게 되었다. 죽은 가운데서 누가 과연 나를 살렸을 까? 나는 확신한다! 그분은 나의 하나님이시다. 나의 부모와 나의 형제를, 나의 온 집안이 모두 믿고 지금도 믿고 있는 우리의 신인 하나님이 나에게 회개의 마지막 기회를 주시려고 이 어리석은 나를 살려 놓으신 것이다.
신과의 단절에도 불구하고 신과의 관계를 은밀하게 유지해 오던 그는 위 글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졸도를 계기로 고독을 극복하여 신과의 관계를 회복한다. 그가 "회개의 마지막 기회"라고 말한 것은 신을 상실하고 부정한 데 따른 회개인데 그것은 신이 인간에 우선하기 때문이라는 깨달음에서 비롯된 것이다.
당신의 불꽃 속으로
나의 눈송이가
뛰어듭니다.
당신의 불꽃은
나의 눈송이를
자취도 없이 품어 줍니다.
-『절대신앙』전문
위의 시는 1968년 12월<세대>에 발표된 것인데 이 때부터 그는 신 앞에 승복하고자 한다. 이 시에서 '불꽃'과 '눈송이'는 상반된 사물로 '불꽃'은 '신'의 뜨거운 사랑을,'눈송이'는 자신의 신앙심을 말한다. 눈송이와 불꽃이 맞서는 것이 아니라 눈송이가 불꽃속으로 뛰어들어"나의 눈송이를 자취도 없이"품어준다는데에서 '나'의 소멸이 종교적 사상으로 승화되고자 하는 의지임을 알 수 있다.
몸 되어 사는 동안
시간을 거스를 아무도 우리에겐 없사오니,
새로운 날의 흐름 속에서도
우리에게 주신 사랑과 희망-당신의 은총을
깊이깊이 간직하게 하소서
육체는 낡아지나 마음으로 새로웁고
시간은 흘러가도 목적으로 새로워지나이다!
목숨의 바다 - 당신의 넓은 품에 닿아 안기우기까지
오는 해도 줄기줄기 흐르게 하소서.
이 흐름의 노래 속에
빛나는 제목의 큰 북소리 산천에 울려퍼지게 하소서!
-『신년기원』에서
신과의 관계를 완전히 회복하고 '당신의 은총"을 갈구하고 있다. 신에 몰입한 그는 "우리에게 주신 사랑과 희망", "당신의 은총"을 깊이깊이 간직할 수 있도록 염원하고 있다는 것-그는 신과의 단절된 관계를 "참된 본질을 알게하는"고독을 통해 화해함으로써 다시 신을 인정한다.
당신의 핏자욱에선
꽃이 피어-사랑 꽃이 피어,
따 끝에서 따 끝에서
당신의 못자욱은 우리를 더욱
당신에게 열매 맺게 합니다.
당신은 지금 무덤 밖
온 천하에 계십니다-두루 계십니다
당신은 당신의 손으로
로마를 정복하지 않았으나,
당신은 그 손의 피로 로마를 물들게 하셨읍니다
당신은 지금 유태인으 예 수의를 벗고
모든 4월의 관에서 나오십니다.
-『부활절에』전문
1975년 4월에 발표된 이 시는 그의 생존시 마지막 작품으로 기독교 정신인 사랑의 충만함을 노래한 것이다. '당신'의 희생으로 이 세상에는 사랑이 결실되고, 따라서 '당신'에게 "더욱 얽매이게"할 수밖에 없는 믿음과 부활의 기쁨,그리고 생명의 환희를 노래하고 있다.
이와같이 그의 "견고한 고독"이 극복된 데에는 놀리보다는 휴머니티를 바탕으로 한 성찰과 삶의 체험에서 온 결과라고 해야 할 것이다.
Ⅳ. 맺으며
지금까지 김현승 시의 특징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 기독교 가정에서 태어난 그는 신앙정신에 충실하였으나 신에 회의하고 신과의 관계를 단절,고독의 세계로 빠져들었다. 그러나 참다운 자아 발견으로 이를 극복하고 '절대신앙'앞에 무릎 끓고 '당신의 은총'에 감사하였다.
김현승의 시세계를 크게 4단계로 나누어, 인간중심의 세계관과 신중심의 세계관의 관계 속에서 그 중심의 위치변화에 따른 시인의 시정신의 변모를 밝히려 하였다.
첫째 단계는 『김현승전집』 뒤편에 실린 초기 발표작인 『새벽교실』에 묶인 시편들로 시대적 불행에 대한 인식을 민족적 센티멘탈리즘의 서정으로 자연을 인격화시켜 노래한 시기이다.
둘째 단계는 해방 이후 『김현승 시초』와 『옹호자의 노래』에 묶여진 시편들로 신을 통해 인간의 존재론적 한계와 인간적 삶의 정의를 노래한 시기이다.
셋째 단계는 『견고한 고독』과 『절대 고독』에 묶여진 시편들로 천상보다는 지상을, 신보다는 인간에 의한 인간적 삶의 본질을 추구해 가던 시기이다.
넷째 단계는 『날개』와 『마지막 지상에서』의 1부에 해당하는 시편들로 인간적 삶의 한계와 허무를 깨닫고 오로지 절대자인 신에게 감사와 참회의 기도를 시로 형상화하던 시기이다. '회개'로 다시 신의 세계로 돌아와 구원의 신념을 갖는다. 그리고 작고하기 까지 신에 몰두한다. 김현승은 초기부터 신앙의식을 기본으로 하여 관념어와 종교적 언어로 시를 썼다. 그러나 그가 일생 동안 인간 중심적인 의식을 가지고 시를 썼기 때문에 그것이 꼭 종교시일 수 없다는 결론에 이른다. 더구나 그가 보여준 주지주의 와 이미지즘은 한국시사에 큰 성과로 남는다.
Ⅴ. 참고문헌
1. 곽광수, 『김현승의 고독』, 숭실어문학회편, 『다형 김현승 연구』, 보고사.
2. 권영진, "김현승 시와 기독교적 상상력", 숭실어문학회 편, 『다형 김현승 연구』, 보고 사.
3. 기진오, 『한국 기독교 문학사론』, 성서신학서원, 1995.
4. 김옥성, 『김현승 시에 나타난 전이적 상상력 연구』, 서울대 대학원 석사 논문, 2001.
5. 김희보, 『김현승 시와 기독교적인 실존』, 『한국문학과 기독교』, 현대사상사, 1979.
6. 김용직 편, 『한국현대시 작품론』, 문장, 1994.
7. 오세영, 『한국 근대문학론과 근대시』, 민음사, 1996.
  • 가격3,8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5.09.30
  • 저작시기2005.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42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