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퀀스제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
·상개 접점(normally open contact)
(no 접점 : 항상 열려있는 접점)
b 접점
『닫혀있는 접점』
break contact
·브레이크 접점(break contact)
·상폐 접점(normally close contact)
(nc 접점 : 항상 닫혀있는 접점)
c 접점
『전환접점』
change - over contact
·브레이크 메이크 접점
(break make contact)
·트랜스퍼 접점(transfer contact)
● a접점
릴레이의 a접점이란 릴레이의 코일에 전류가 흐르지 않은 상태(복귀상태)에서는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이 떨어져서 {개로}하고 있지만,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동작상태) 가동접점이 고정접점에 접촉되어 폐로하는 접점을 말한다..
● b접점
릴레이의 b접점이란 릴레이의 코일에 전류가 흐르지 않은 상태(복귀상태)에서는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이 접촉되어서, {폐로}하고 있지만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동작상태)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에 떨어져서 {개로}하는 접점을 말한다.
● c접점
릴레이의 c접점이란 a접점과 b접점이 1개의 가동접점을 공유해서 조합된 구조의 접점을 말한다. 따라서 c접점이 있는 릴레이의 전자코일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복귀상태에서는 a접점은 {개로}하고 있고, b접점은 {폐로}하고 있으나 전자코일에 전류가 흘러 동작상태가 되면 상호공통인 가동접점이아래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a접점은 {폐로}하고, b접점은 {개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릴레이의 c접점은 회로를 전환할 수 있다.
(3)타이머(한시계전기)
일반적으로 전자계전기는 전자코일에 전류를 흐르게 하면, 그 접점은 순간적으로 폐로 또는 개로한다. 그러나, 한시계전기(T :Timer) 또는 타이머는 전기적 또는 기계적 입력을 부여하면, 전자계전기와는 달리 이미 정해진 시한이 경과한 후에 그 접점이 폐로 또는 개로하는 것으로서 인위적으로 시간지연을 만들어내는 계전기를 말한다. 타이머의 시간차를 만들어내는 방법에 따라서 모터식 타이머, 전자식 타이머, 제동식 타이머 등이 있다. 타이머의 출력접점에는 동작시에 시간지연이 있는 것과 복귀시에 시간지연이 있는 것이 있다.
(4)전자접촉기와 서멀릴레이
전자접촉기(MC : Electromagnetic Contact)의 동작원리는 전자계전기의 동작원리와 동일하다. 즉, 전자석에 의한 흡인력을 이용하여 접촉부를 동작시키며, 주로 주회로 전류와 같이 대전류의 개폐나 전동기의 빈번한 시동, 정지, 제어 등에 사용된다.
서멀릴레이(THR : Thermal Relay)는 열동과전류 계전기라고도 부르며 설정치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접점을 동작시키는 계전기로서, 전동기의 과부하 보호에는 필수적인 부품이다. 주회로에 삽입된 히터에 과전류(모터 등의 과부하 전류)가 흐르면 바이메탈이 열을 받아서 굽어져 접점이 동작된다.
전자접촉기와 서멀릴레이를 조합하여 하나로 합친 것을 전자개폐기(MS ; Electromagnetic Switch)라 하고, 마그넷 스위치라고도 한다.
(5)기타
이외에도 미소한 접점 간격과 스냅액션 구조로 되어 일정한 힘을 가하면 동작하는 마이크로 스위치, 비접촉으로 물체가 가까이 접근하였다는 것을 감지하는 근접스위치, 가시광선 , 적외선 등의 투광부에서 신호광으로 발사하여 검출 물체에 의해서 반사되는 빛을 수광부에서 검출하거나 차광된 광량의 변화를 수광부에서 검출하여 출력 신호로 얻는 광전 스위치 등이 시퀀스 제어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센서라 할 수 있다.
3. 시퀀스 제어와 부울대수
시퀀스 제어 회로는 논리회로를 중심으로 성립한다. 논리회로는 대수식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이 대수식을 부울대수식이라 하고, 부울대수식으로 표현한 식을 일반적으로 논리식이라 부른다. 무접점 시퀀스 제어의 논리회로에서 입력, 출력의 상태를 판단하는데는 전압의 H레벨과 L레벨이 있으며 유접점 시퀀스제어의 논리회로에서는 접점의 개·폐, 코일의 소자·여자 등으로 상태를 표시하며 무접점, 유접점의 공통적인 논리 표시로 "0", "1"을 이용한다.
0 ····· L 레벨, 접점 OPEN, 코일 소자
1 ····· H 레벨, 접점 CLOSE, 코일 여자
(1) 부정(NOT) 연산
2개의 변수 A와 S가 있을 때, A가 아니면 S이다. 또는 A이면 S가 아닌 경우에 A와 S는 부정 의 관계에 있다고 한다. 즉, A가 "1"이면 S는 "0", A가 "0"이면 S는 "1"이 된다.
(2) 논리적(AND) 연산
3개의 변수 A, B, S의 관계에서 A와 B가 모두 성립할 때, S가 성립하면 S는 A와 B의 논리적(論理積)이라고 한다. 즉, S가 "1"이 되기 위해서는 A가 "1"이고 또한 B가 "1"이 되어야 한다. 즉, AND회로의 논리식은 입력의 곱으로 출력에 나타난다. .
(3) 논리합(OR) 연산
3개의 변수 A, B, S의 관계에서 A와 B 중에서 어느 한쪽이 성립할 때, S가 성립하면 S는 A와 B의 논리합(論理合)이라고 한다. S가 "1"이 되기 위해서는 A가 "1" 또는 B가 "1"이면 된다. 즉, OR회로의 논리식은 입력의 합으로 출력에 나타난다..
(4) 부울대수의 공리
부울대수는 다른 대수와 마찬가지로 여러 개의 기호와 규칙들로 이루어져 있다. 부울대수에서
다루는 기호는 앞에서 설명한 NOT, AND, OR 등이 있고, 이 기호들이 포함된 기본적인 공리
(公理, postulate)에는 4가지가 있다.
(공리 1) 부울대수에서 사용되는 모든 변수는 2개의 값 "0" 또는 "1" 중 하나만 가질 수 있다.
= 1 이 아니면 = 0
= 0 이 아니면 = 1
(공리 2) 부정의 동작은"  ̄ "로 표시하고,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부울변수 = 0 일때 = 1
부울변수 = 1 일때 = 0
(공리 3) 논리연산 OR는 기호를 "+"로 나타내고,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0 + 0 = 0
0 + 1 = 1
1 + 0 = 1
1 + 1 = 1
(5) 부울대수의 기본법칙
이들 법칙을 기초로 하여 교환법칙, 분배법칙, 누승법칙, 보원법칙, 0과 1에 관한 법칙, 흡수의 법칙, 자기쌍대 등 부울대수의 기본법칙들이 만들어진다.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5.11.21
  • 저작시기2005.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42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