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종단철도란 무엇인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본론
첫째, TKR의 의미는 무엇인가?
둘째, 북한의 개방화의 출발인가?
셋째, 북한이 가진 딜레마와 TKR.
넷째, TKR이 남한에 미치는 영향력은 무엇인가?
다섯째, TKR이 북한의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은?
여섯째, TKR이 주변 국가에 미치는 영향력은 무엇인가?
일곱째, TKR을 촉진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

결론

본문내용

는 북한의 군 내부 변화와도 크게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적화통일을 제 1로 여기고 있는 노동당 규약의 전면적인 변화와도 같은 것이다. 이와 같이 북한군에 대한 이해가 먼저 선행되어야만 TKR사업에 그 가속도를 이끌 T 있다.
두 번째, 우리나라의 주변 강대국을 인식하고 TKR에 대한 협조를 이끌어내야 한다. 중국에 있어서 북한은 하나의 전방위적인 거점중의 하나로 분석하고 있다. 미국과의 직접적인 대면을 피하면서 북한의 정권을 존속시키려고 하는 것이다. 여기에 우리는 TKR이 북한에게 있어 이득이 되고 나아가 중국에게도 커다란 이점이 있음을 전방위적으로 설득해야만 한다. 또한 TKR과 직접적인 이해 관계를 같이하는 러시아의 적극적인 노력 또한 이끌어내야 한다. TKR은 정치적, 경제적, 군사적인 측면이 얽힌 동북아의 핵심 이슈이다. 중국에 대한 TKR의 장점을 주지시키고 경제적 협력 관계의 강화 및 동북아 안보의 안정을 위해선 반드시 해야할 것임을 인식시켜야 한다. 즉, 북한이 무너지는 걸 달갑게 여기지 않는 중국으로선 TKR이 그 해결책이라는 걸 알려야 하는 것이다. 여기에 러시아의 전폭적인 지지를 함께 도출하고 TKR은 정치적, 군사적, 경제적으로 모두에게 득이 된다는 것을 적극 홍보해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일본과 미국의 적대적인 대북 정책을 완화시켜 북한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 될 것이다.
세 번째, 국민들에게 북한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함께 TKR의 필요성을 설명해야 한다. TKR은 무조건 퍼주기식의 대북 지원이 아니다. 국민에게 잘못된 이해는 수많은 반발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대부분의 국민들이 북한에 대한 인식과 안보에 대한 위협의 사이에서 TKR이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적극적으로 알려야 한다. TKRDMS 최근의 경제적 프로세스의 변화와 국가의 미래지향적인 경제구조를 형성하는데 지대한 영향을 미칠것이다.
결 론
TKR은 남한과 북한만이 연관된 문제가 아니다. 동북아 전체에 있어 커다란 이슈가 되고 있음을 모두들 인지하고 있으며 이는 TKR의 철도 노선에 대한 다툼과 철도 사업이 합의되고도 2년이 지난 지금도 확실히 해결되지 않는 것으로 유추해볼 수 있다. 각국의 영향력 강화와 함께 북한의 체제 생존을 위해선 필연적인 TKR은 분명 우리에게 많은 것을 시사한다. 최근의 북한은 90년대 이후 체제의 고질적인 모순과 함께 3중고에 시달리고 있다. 체제난, 경제난, 식량난 등 전체적인 모순이 점점 심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몇 년 전의 자연재해와 같은 것은 북한의 체제 유지에 치명적인 타격을 주었다. 여기에 이념의 해체와 함께 중국의 개혁, 개방 정책은 같은 사회주의 국가의 그 이념에 대한 한계를 인식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즉, 지금의 북한으로는 현실에 대한 극복 능력이 부재한 상황인 것이다. 개혁, 개방과 함께 중국의 성공적인 모습은 북한에게 새로운 사회주의 이념의 해답안을 제시한 것으로 풀이된다. 북한에게 있어 TKR은 이전의 제한적인 남북 경협과 같은 방안으로는 그 극복할 수 없는 한계가 있음을 인식한 것에 다름 아니다. 하지만 현재 TKR 사업은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북한 내부의 갈등과 통치 체제의 갈등, 여기에 북한 사회의 모순적인 이념과 현실은 TKR사업에 대해 적극적으로 나서지 못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하지만 TKR 사업은 대세임에 틀림없다.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러시아 방문과 중국 방문은 직접 당사국과 협의를 갖고 북한의 현실을 직시하게 만들었을 것이다. 남한의 입장에서도 TKR은 신속히 해결해야 할 당면 과제중의 하나이다. 당장 눈앞에 효과는 없지만 이는 한반도 전체의 경제 구조를 IMF이후의 새롭게 바뀌어진 경제 체제와 함께 그 성장에 있어 촉매제가 될 것이다.
오늘날 한반도가 처한 상황은 동북아 국가들의 성장과 함께 제 1의 적인 북한과 잠재적인 강대국들로 둘러쌓여 있다. 최근 북한과의 군사적 대치 상황은 현재에 이르러 그 위기를 더해가고 있으며 남한의 경제 성장 또한 이전의 고성장 기조가 아닌 저성장 시대에 이르렀다. 아울러 중국의 성장, 일본의 경기 회복 등 많은 당면 과제가 우리들에게 부닥치고 있다. 작은 의미에서만의 남북 관계가 아닌 미래 지향적인 남북 관계를 형성하여 우리들에게 다가오는 이 위기를 극복해나가는데 있어 TKR은 그 시발점으로 풀이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TKR은 이를 슬기롭게 대처하고 나아가 미래 통일 한국의 밑거름이 될 수 있다.
<각주 설명>
① TKR : 한반도와 중앙아시아 및 유럽의 연결을 목표로 추진하는 철도 노선.
② TCR : 중국 동부의 항구도시 렌윈항[連雲港]에서 네덜란드의 로테르담에 이르는
철도운송망
③ TSR : 러시아 서(西)시베리아 지방의 첼랴빈스크에서 블라디보스토크까지를 연결하는 대륙횡단철도.
④ 광궤 : 궤도에 있어 한 레일과 마주 바라보는 레일과의 거리.
⑤ 나진 선봉 지구 : 북한이 1993년부터 2010년까지 동북아시아의 국제적인 무역·금융·관광 기지로 건설하기 위해 설정한 자유경제무역 지대.
⑥금강산 개발 특구 :
북한이 2002년 11월 금강산 관광지구법에 따라 관광특구로 지정한
금강산 일대의 지역.
⑦6.15남북 공동 선언 : 2000.6.15. 한국의 김대중 대통령과 북한의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합의하여 발표한 공동선언.
<참고자료>
1.시베리아 횡단철도의 경제적 의미 (철도 기술 정보)
2.통일부 통일교육원, 통일문답, (통일교육원/ 2001)
3.유럽으로 가는 ‘철의 실크로드‘ (주간 조선/ 2000.8.17)
<참고 사이트>
1.http://www.unikorea.go.kr/ (통일부 홈페이지)
2.http://cafe.naver.com/parksv.cafe (네이버 통일.외교.통상까페)
3.http://www.korail.go.kr/ (철도청 홈페이지)
4.http://www.donga.com/ (동아일보 홈페이지)
5.http://www.chosun.com/ (조선일보 홈페이지)
6.http://www.hani.co.kr (한겨레 홈페이지)
7.http://www.cargonews.co.kr (카고 뉴스 폼페이지)
  • 가격1,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5.09.30
  • 저작시기2005.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43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