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의 역사적 기초(교육학 개론)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의 역사적 기초(교육학 개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절 교육사 연구의 의의
1. 교육사의 개념 규정
2. 교육사 연구의 목적(의의)
우리는 왜 교육사를 연구해야 하는가?
1) 역사적 교훈을 배울 수 있음(소박한 경험주의)
2) 역사법칙의 발견과 적용
3) 교육사관의 정립
3. 교육사 연구의 태도
1) 진실을 밝히려는 태도
2) 비판적 태도
3) 개방적인 태도
4. 교육사 연구의 영역
1) 교육사상사 연구
2) 교육제도사 연구

제 2절 한국 교육사
1. 원시시대의 교육
2. 삼국시대의 교육(기원전1-후7C)
3. 고려시대의 교육(918-1392)
4. 조선시대의 교육
5. 18세기 실학파의 학풍과 교육
6. 19세기 동학운동과 교육
7. 구한말의 근대교육
8. 일제 침략기의 교육

제 3절 서양 교육사
Ⅰ. 고대의 교육
1) 그리스(Greece)의 교육
2) 로마(Rome)의 교육
Ⅱ. 중세의 교육
Ⅲ. 근대의 교육
Ⅳ. 현대의 교육(20C- )
Ⅴ. 최근의 교육(20C 후반∼ )

본문내용

구현하는 일
o 대표사상가: 부데(G. Budde), 린데(E. Linde)
문화주의 교육사상
o 주장: 교육의 목적은 역사적으로 발달한 문화를 후대에 전달하는 일
o 대표사상가: 슈프랑거(E. Spranger), 릿트(T. Litt)
2) 미국의 4대 교육사조(1910년경- )
진보주의(progressivism) 교육사상: Dewey, Child, Counts, Bode
항존주의(perenialism) 교육사상: Hutchins, Adler
본질주의(essentialism) 교육사상: Bagley, Morrison, Briggs, Kandel, Breed, Brickman, Bestor,
재건주의(reconstrucionism) 교육사상: Brameld
3) John Dewey(1859-1952)의 교육사상
ㅇ사상적 배경: 헤겔로부터 변증법(변증법)을, 다윈으로 부터 생물학적 진화론을, 퍼어스(C.S. Perice)로부터 논리학을, 제임스(W. James)로부터 심리학을 받아들임.
ㅇ철학의 특징: 방법론적인 측면- 도구주의(이 세상의 모든 것은 인간의 삶을 진보시키기 위한 하나의 도구에 지나지 않음---> 절대적인 사상, 법칙, 주의, 주장, 이론, 학설은 있을 수 없음.-->상대론적 윤리설(상황윤 리설), 실험주의(새로운 결과를 얻어내기 위한 실험과 검증이 필요함)
존재론적인 측면- 경험적 자연주의, 인본적 자연주의(철학이나 사상은 인간 삶의 경험을 확대하기 위한 것이며, 결국 휴머니즘의 실현에 그 궁 극적 목적이 있음)
사회이론의 측면- 새로운 개인주의, 공적 사회주의(개인의 자유, 권리가 존중될 뿐 아니라 분배적 정의가 실현되어야 함)
ㅇ교육이론: 교육은 생활이다. -->교육은 미래를 준비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삶 그 자체임.--> 교육은 다른 무엇의 수단일 수 없음
교육은 성장이다. --> 교육은 신체적, 정서적, 지적 성장을 도모하는 일
교육은 경험의 끊임없는 재구성이다.-->경험을 통해 개인적 자아를 형성하고 나아 가 사회적 자아가 형성됨
교육은 사회적 과정이다.--> 학교의 사회화, 사회의 학교화(지역사회학교)
ㅇ듀이 교육론의 비판: -- 과학적 방법에 대한 지나친 맹신,
-- 인간의 비극적 상황에 대한 이해의 부족(예: 한계상황-죽음, 병, 전쟁 등)
-- 인간성에 대한 지나친 낙관-지성에 대한 지나친 낙관
^^
Ⅴ. 최근의 교육(20C 후반∼ )
1) 분석교육철학: Wittgenstein의 일상언어학파의 영향-> 교육철학의 주요기능은 교육언어를 분석하 는 일->명료화, 언어의 교통정리(대표학자: R.S. Peters, P.H. Hirst, I. Scheffler, J. F. Soltis등)
2) 실존주의 교육론: 현대의 과학주의(scientism)에 대한 비판,-->기계문명에 매몰되어 가고 있는 인 간의 본래성 회복을 강조--> 현대적 휴머니즘(modern humanism) (대표학자: Kneller, Soderquist등)
3) 현상학적 교육론: 판단중지(에포케)를 통해 교육에 대한 기존의 모든 개념, 주장, 이론들을 뒤집어 생각해 봄-->예) 과연 교사만이 가르칠 수 있는 것일까? 교육은 반드시 학교에 서만 이루어져야 하나? 교육은 수업은 교실에서만 이루어져야 하는가? 교사는 과연 성직자인가? 오늘의 교육은 과연 인간다운 인간을 길러내고 있는가?
결국, 지금까지 당연시되어온 것들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고 그릇된 논리를 뒤집 어봄으로써 교육현상에 대한 새로운 통찰과 이해를 시도함--> 교육에 대한 새 로운 지평이 열림(대표학자: Husserl, Heidegger, Sartre, M. Merleau-Ponty, M. Buber)
4) 해석학적 교육론: 텍스트의 내용을 분석, 의미를 찾아냄-->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텍스트를 쓴 사 람의 감정이해가 필요하며(감정이입), 그가 처했던 상황에서 문제를 바라보고 이 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함. 따라서 고전 연구는 이 해석학적 연구의 필수적인 단계 임. 예) 플라톤의 사상에 대한 좀 더 의미있는 연구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플라 톤처럼 생각하고 그의 관점에서 인간과 세계를 바라보아야 함. 그의 저작(텍스 트)을 해석하고 이해하는 일은 그의 세계를 이해하는 일임(대표학자: H.G. Gadamer, P. Ricoeur, T.S. Kuhn)
5) 비판교육론:
(1) 일리치(I. Illich)의 탈학교론(학교교육병폐론)-->탈학교사회
현대산업사회의 병리적인 현상들(비인간화, 소외현상, 빈부격차, 불평등)은 학교제도의 모순 으로부터 기인된 것이라고 비판. 따라서 이 같은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사회의 "탈학교 화"를 꾀해야 한다는 것. 이는 학교를 폐지하자는 것이 아니라 학교제도로 인하여 생겨난 사회문제들을 비판하고 인간사회가 친화주의로 진보하여 공생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것.
(2) 라이머(E. Reimer)의 학교교육 무용론 및 사망론--->학교는 죽었다
자본주의의 교육은 제도적으로 강자에게 유리하게, 약자에게 불리하게 만들어져 있기 때 문에 교육을 받으면 받을수록 불리한 계층은 사회경제적 지위의 향상이 어려워진다고 지 적, 비판함. 또 교육은 가진 자들의 지배이데올로기를 전달하는 도구로 전락하였으며, 전인 을 기른다는 본래의 사명을 상실하였기 때문에 "학교는 죽었다"고 선언함.
(3) 프레이리(P. Freire)의 의식화교육론---> 피압박자를 위한 교육
오늘날의 학교교육은 학생을 피압박자로 길들여진다고 지적하고 이를 그는 "은행저축식 교육"(banking concept of education)이라고 부르고 이를 참된 교육으로서의 "문제제기식 교육"(problem-posing concept of education)과 구별하였다. 그는 억압과 차별을 깨트리는 방법으로서 "의식화교육"을 제안함. 그는 의식화 단계를 (i) 반고착적 의식단계(복종과 물리적인 의식의 단계- 억압하는 누구이며 왜 억압받아야 하는지에 대한 의식이 없는 상 태) (ii) 소박한 의식의 단계(감정적 공상적 의식의 단계), (iii) 비판적 의식의 단계(참된 의식의 단계)-->이 단계에서 인간해방을 위한 행동(praxis)가 이루어짐.
  • 가격1,2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5.10.03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44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