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과학과 기술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
2. 현대 사회가 과학과 기술에 미치는 영향
3. 과학의 일반적 특성
4. 세계 과학교육과정의 변천
2. 현대 사회가 과학과 기술에 미치는 영향
3. 과학의 일반적 특성
4. 세계 과학교육과정의 변천
본문내용
각 수준이 끝날 때 도달해야 할 개념과 능력 을 구체적으로 언급
③스고프 시퀸스, 코더네이션 프로젝트
-미국 과학교육과정을 비판하는데서 시작
-학생들에게 일정한 내용을 일련의 순서와 통합된 프로그램을 통해 과학을 매년 가 르치자는 취지
④국가과학교육 표준
-국가과학교육 표준에서 표준은
ⓐ미국 초중등 학교 전 과학 과정에서 학생들이 배워야 할 내용들에 대한 표준
ⓑ학생들에게 과학을 학습할 기회를 제공하는 과학 프로그램들의 표준
ⓒ과학 교수의 표준
ⓓ과학교사와 프로그램들을 지원하는 체제의 표준
ⓔ평가와 정책의 표준 등을 정하는 것
2)영국
-오랫동안 보수적 고적주의자들에 의하여 지배
(1)1850년 전후 : 국립고등기술교육기관과 중등학교인 세속학교 설치, 초등과학교육에 관심을 갖게 된 것도 이 이후이다.
(2)1890년대 : 초등학교에 과학 실험실, 공작실 등이 설치 → 과학학습은 실험활동 실시
(3)1900년대 : 과학 과목이 초등학교 교육에서 필수 교과목으로 등장
(4)1960년대 : 새로운 초등 과학교육 프로그램인 너필드 초등과학이 등장하기 전까지 반세기 이상 영국의 초등학교 자연공부중심의 학습 이루어짐 → 자연에 직접 접하여 동물과 식물, 천문과 기상현상에 관심과 흥미를 가지고 학습하여 자연에 대한 초보적 인 지식을 생활 경험으로부터 습득하도록 되어 있다.
(5)1957년 : 영국의 현대 과학교육 개혁운동 시작
(6)1960년대 : 영국의 과학교육 혁신운동 활발 → 과학교사협의회, 여교사협의회
(7)1961년 : 과학과 교육이란 공동성명 발표, 과학의 본성과학과 사회 등에 대해 언급, 학교교육에서 과학교육의 중요성 강조
(8)1962년 : 너필드 재단의 후원으로 중등학교의 과학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과학 교육사업 시작
(9)1966년 : 교육과정 및 시험을 위한 학교심의외가 중심 → 전 연령에 걸친 과학교육 과정 개발이 이루어짐
⇒국가교육과정은 수준별 교육과정을 채택 : 교과내용의 난이도 수준별만 아니라 학생 의 학습능력 수준도 고려 (같은 연령의 학생이라도 능력에 따라 성취수준이 달라질 수 있음을 제도적으로 인정해주고 있다 → ‘수요자 중심 교육과정의 구현’
3)일본
(1)제1기(1945~1956) : 전후 미군의 점령하에서 새로운 교육제도 도입
-1951년 학습지도운령이 처음 성안 공포, 1956년 개정될 때까지의 지도 이념은 미국 의 영향을 받아 표방함
(2)제2기(1956~1971) : 전후의 학교제도 및 교육내용이 너무 지나치게 미국에서 직수입
-필수주의가 대두됨으로서 해서 영향을 받아 최저 필요한 지식 및 능력을 계통적으 로 부여하자는 방향으로 변모
(3)제3기(1971~) : 1950년대에 시작한 세계적 교육혁신의 영향을 받고, 1960년대 초반 일본에서도 많은 과학교육 연구단체의 활동으로 새로운 이과의 프로젝트의 소개, 연 구가 이루어짐 → 1966년 후반에는 일본의 독자적 교육과정 개발연구가 문부성에서 행한 학습지도요령 개정에 크게 작용 : 탐구과정의 중시, 과학적 방법의 개선 등을 강 조하는 방향으로 변함
③스고프 시퀸스, 코더네이션 프로젝트
-미국 과학교육과정을 비판하는데서 시작
-학생들에게 일정한 내용을 일련의 순서와 통합된 프로그램을 통해 과학을 매년 가 르치자는 취지
④국가과학교육 표준
-국가과학교육 표준에서 표준은
ⓐ미국 초중등 학교 전 과학 과정에서 학생들이 배워야 할 내용들에 대한 표준
ⓑ학생들에게 과학을 학습할 기회를 제공하는 과학 프로그램들의 표준
ⓒ과학 교수의 표준
ⓓ과학교사와 프로그램들을 지원하는 체제의 표준
ⓔ평가와 정책의 표준 등을 정하는 것
2)영국
-오랫동안 보수적 고적주의자들에 의하여 지배
(1)1850년 전후 : 국립고등기술교육기관과 중등학교인 세속학교 설치, 초등과학교육에 관심을 갖게 된 것도 이 이후이다.
(2)1890년대 : 초등학교에 과학 실험실, 공작실 등이 설치 → 과학학습은 실험활동 실시
(3)1900년대 : 과학 과목이 초등학교 교육에서 필수 교과목으로 등장
(4)1960년대 : 새로운 초등 과학교육 프로그램인 너필드 초등과학이 등장하기 전까지 반세기 이상 영국의 초등학교 자연공부중심의 학습 이루어짐 → 자연에 직접 접하여 동물과 식물, 천문과 기상현상에 관심과 흥미를 가지고 학습하여 자연에 대한 초보적 인 지식을 생활 경험으로부터 습득하도록 되어 있다.
(5)1957년 : 영국의 현대 과학교육 개혁운동 시작
(6)1960년대 : 영국의 과학교육 혁신운동 활발 → 과학교사협의회, 여교사협의회
(7)1961년 : 과학과 교육이란 공동성명 발표, 과학의 본성과학과 사회 등에 대해 언급, 학교교육에서 과학교육의 중요성 강조
(8)1962년 : 너필드 재단의 후원으로 중등학교의 과학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과학 교육사업 시작
(9)1966년 : 교육과정 및 시험을 위한 학교심의외가 중심 → 전 연령에 걸친 과학교육 과정 개발이 이루어짐
⇒국가교육과정은 수준별 교육과정을 채택 : 교과내용의 난이도 수준별만 아니라 학생 의 학습능력 수준도 고려 (같은 연령의 학생이라도 능력에 따라 성취수준이 달라질 수 있음을 제도적으로 인정해주고 있다 → ‘수요자 중심 교육과정의 구현’
3)일본
(1)제1기(1945~1956) : 전후 미군의 점령하에서 새로운 교육제도 도입
-1951년 학습지도운령이 처음 성안 공포, 1956년 개정될 때까지의 지도 이념은 미국 의 영향을 받아 표방함
(2)제2기(1956~1971) : 전후의 학교제도 및 교육내용이 너무 지나치게 미국에서 직수입
-필수주의가 대두됨으로서 해서 영향을 받아 최저 필요한 지식 및 능력을 계통적으 로 부여하자는 방향으로 변모
(3)제3기(1971~) : 1950년대에 시작한 세계적 교육혁신의 영향을 받고, 1960년대 초반 일본에서도 많은 과학교육 연구단체의 활동으로 새로운 이과의 프로젝트의 소개, 연 구가 이루어짐 → 1966년 후반에는 일본의 독자적 교육과정 개발연구가 문부성에서 행한 학습지도요령 개정에 크게 작용 : 탐구과정의 중시, 과학적 방법의 개선 등을 강 조하는 방향으로 변함
추천자료
사회기술의 개념과 정신치체의 사회기술 특성
[유아사회교육D형]유아의 사회적기술이 무엇인지 설명하고, 유아의 사회적기술을 유아교육기...
사회복지실천기술에서 종결유형에 따른 종결기술과 클라이언트의 종결 반응에 따른 종결기술...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집단중심 사회복지실천기술 - 초기단계에 필요한 사회복지실천과 변화...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집단중심 사회복지실천기술 - 개입단계를 위한 기법과 종결단계의 기법...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사회복지실천 평가 - 사회복지실천 평가를 위한 기술과 지침들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사회복지사의 가치 - 전반적인 가치와 구체적인 상황에서의 가치 및 사...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사회복지와 사회사업 - 사회복지와 사회사업의 관계, 사회사업실천의 ...
[사회복지실천기술론] 면접 기술과 의사소통의 기술 - 듣는 기술, 질문기술, 관찰기술(비언어...
[사회복지실천기술론 3공통] 잔여적 사회복지실천과 제도적 사회복지실천의 차이를 논의, 하...
지역사회복지 (지역사회복지개념, 재가복지서비스,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과기술, 지역사회복...
심리사회모델(사회복지실천모델, 사회복지실천기술, 심리사회모델적용, 심리사회모델기법)
[로스만] [사회복지실천기술론]로스만의 세 가지 모델(지역사회개발모델, 사회계획정책모델, ...
사회복지실천기술론)심리사회모델을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클라이언트에게 적용함에 있어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