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빙하
1)산지 빙하와 빙모
2)대륙빙과 빙붕
3)온빙하와 극빙하
4)빙하의 설선
5)빙하의 크기가 변화하는 이유
2. 빙하작용
1)빙하침식과 지형
3.주빙하 지형과 영구동토
4.빙하기
1)빙하기의 빙하
2)해수면의 하강
3)지각의 변형
4)더 오래 전의 빙하작용
(1)해저의 증거
(2)플라이토세 이전의 빙하작용
(3)소빙하기
5.빙하기의 원인
1)빙하기와 움직이는 대륙
2)대기 조성
3)해류 순환의 변화
4)태양의 변화, 화산 활동, 그리고 소빙하기
1)산지 빙하와 빙모
2)대륙빙과 빙붕
3)온빙하와 극빙하
4)빙하의 설선
5)빙하의 크기가 변화하는 이유
2. 빙하작용
1)빙하침식과 지형
3.주빙하 지형과 영구동토
4.빙하기
1)빙하기의 빙하
2)해수면의 하강
3)지각의 변형
4)더 오래 전의 빙하작용
(1)해저의 증거
(2)플라이토세 이전의 빙하작용
(3)소빙하기
5.빙하기의 원인
1)빙하기와 움직이는 대륙
2)대기 조성
3)해류 순환의 변화
4)태양의 변화, 화산 활동, 그리고 소빙하기
본문내용
를 증촉하는 역할을 한다.
4)태양의 변화, 화산 활동, 그리고 소빙하기 : 수세기나 수십년에 걸친 기후 변동은 소빙하 기나 이와 유사한 빙하의 확장기를 초래하는데 이러한 변동은 주기가 너무 짧아서 대륙의 이동이나 지구 궤도의 변동으로는 설명하기 부족하다. 소빙하기는 태양의 에너지 방출량 이 시간에 따라 변동한다는 것에 기초를 두고 있다. 대규모의 폭발적인 화산 분출은 엄청 난 양의 화산재를 대기 중으로 방출하여 지구를 감싸고도는 미세한 먼지의 장막을 형성할 수 있다. 미세한 입자는 지구로 들어오는 태양 복사 관선을 산란시켜 지구 표면을 약간이 나마 냉각시킬 수 있는데 화산재는 일반적으로 몇 달 또는 일년 이내의 짧은 기간 안에 떨어지지만 화산 분출에 의해 방출된 SO2기체와 수증기가 반응하여 생긴 미세한 황산 방 울들은 태양 광선을 산란시키며 몇 년 동안이나 상층대기에 머무를 수 있는데 대규모 분 출 시 대기 중의 화산재와 기체들은 지구 표면의 기온을 낮출 수 있고 이는 빙하의 질량 수지에 영향을 준다.
목차
제12장 빙하와 빙하작용
1. 빙하
1)산지 빙하와 빙모
2)대륙빙과 빙붕
3)온빙하와 극빙하
4)빙하의 설선
5)빙하의 크기가 변화하는 이유
2. 빙하작용
1)빙하침식과 지형
3.주빙하 지형과 영구동토
4.빙하기
1)빙하기의 빙하
2)해수면의 하강
3)지각의 변형
4)더 오래 전의 빙하작용
(1)해저의 증거
(2)플라이토세 이전의 빙하작용
(3)소빙하기
5.빙하기의 원인
1)빙하기와 움직이는 대륙
2)대기 조성
3)해류 순환의 변화
4)태양의 변화, 화산 활동, 그리고 소빙하기
4)태양의 변화, 화산 활동, 그리고 소빙하기 : 수세기나 수십년에 걸친 기후 변동은 소빙하 기나 이와 유사한 빙하의 확장기를 초래하는데 이러한 변동은 주기가 너무 짧아서 대륙의 이동이나 지구 궤도의 변동으로는 설명하기 부족하다. 소빙하기는 태양의 에너지 방출량 이 시간에 따라 변동한다는 것에 기초를 두고 있다. 대규모의 폭발적인 화산 분출은 엄청 난 양의 화산재를 대기 중으로 방출하여 지구를 감싸고도는 미세한 먼지의 장막을 형성할 수 있다. 미세한 입자는 지구로 들어오는 태양 복사 관선을 산란시켜 지구 표면을 약간이 나마 냉각시킬 수 있는데 화산재는 일반적으로 몇 달 또는 일년 이내의 짧은 기간 안에 떨어지지만 화산 분출에 의해 방출된 SO2기체와 수증기가 반응하여 생긴 미세한 황산 방 울들은 태양 광선을 산란시키며 몇 년 동안이나 상층대기에 머무를 수 있는데 대규모 분 출 시 대기 중의 화산재와 기체들은 지구 표면의 기온을 낮출 수 있고 이는 빙하의 질량 수지에 영향을 준다.
목차
제12장 빙하와 빙하작용
1. 빙하
1)산지 빙하와 빙모
2)대륙빙과 빙붕
3)온빙하와 극빙하
4)빙하의 설선
5)빙하의 크기가 변화하는 이유
2. 빙하작용
1)빙하침식과 지형
3.주빙하 지형과 영구동토
4.빙하기
1)빙하기의 빙하
2)해수면의 하강
3)지각의 변형
4)더 오래 전의 빙하작용
(1)해저의 증거
(2)플라이토세 이전의 빙하작용
(3)소빙하기
5.빙하기의 원인
1)빙하기와 움직이는 대륙
2)대기 조성
3)해류 순환의 변화
4)태양의 변화, 화산 활동, 그리고 소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