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고당질(탄수화물 200~300g)을 섭취하게 한 후 검사 전 12시간 동안 금식한다. 공복 시 혈당 검사를 하기 위해 채혈하고 당과 acetone 검사를 위해 소변을 채취한다. 그 후 탄산당 음료 또는 버찌맛을 낸 gelatin으로 된 100g의 탄수화물을 섭취한다. 탄수화물 섭취 후 당 측정을 위해 혈청과 소변 검사물을 30분,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 단위로 채취하여 가끔 5시간째도 채취한다. 보행 등 어떤 형태의 운동도 당 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전 과정 동안 환자는 충분히 휴식을 취하도록 한다. 환자에게 검사 전이나 검사 중에 인슐린이나 경구 혈당 강하제를 투여하지 않도록 한다.
<금기 사항>
현재 심한 질병을 앓고 있거나 내분비장애, 감염 환자에게는 당과민성이 관찰될 수 있으므로 이 검사를 실시하지 않는다.
<간호 중재>
환자에게 검사 과정을 설명한다. 검사 후 당뇨병의 진단 가능성에 대한 두려움을 표현할 충 분한 시간을 준다.
많은 환자들이 4~6시간 동안 6번이나 정맥 천자를 해야하므로 이 검사 과정에 대해 매우 불안을 느낀다. 채혈 시 어지러움증을 호소하는 환자는 침대에 앙와위로 눕힌다.
검사 전 환자에게 식이에 관한 설명서를 준다. GTT전 식이가 부적절했다면 당부하 능력이 감소되고 고혈당이 되기도 한다.
검사 중 지루함을 덜기 위해 환자에게 읽기 등을 권유한다.
필요한 양만 채혈한다.
정맥 천자 부위는 돌려가며 한다. 천자 부위에 압박을 가하고 출혈 여부를 관찰한다.
환자에게 소변 채취 용기를 주고 검사물 채취 시간을 적게 한다.
소변 검사물 채취를 돕기 위해 물을 마시도록 권장한다.
검사 동안 물을 제외한 어느 것도 먹지 않도록 한다. 담배, 커피, 차 등도 금한다.
검사 중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약은 절대 먹어서는 안됨을 주지시킨다.
검사 기간동안 진전, 현기증, 다행감 또는 다른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채혈한다. 이때 혈당이 너무 높으면 검사를 중단하고 인슐린을 투여한다.
검사 후 환자에게 식사를 제공하고 지시된 인슐린이나 경구 혈당 강하제를 투여한다.
4) 당결합 헤모글로빈 검사(Glycosylated Hemoglobin Test)
Glycosylated Hemoglobin의 양은 RBC의 수명인 120일 동안 혈류 속에서 존재하는 포도당의 양에 달려있다. 즉 오래된 적혈구는 파괴되고 새로운 적혈구가 계속 생성되므로 glycosylated hemoglobin의 양은 검사 6~8주전의 평균 혈당치를 반영한다. 즉 적혈구가 더 많은 포도당에 노출될수록 glycosylated hemoglobin의 퍼센트는 점점 더 증가한다. 이 검사의 중요한 이점 중의 하나는 검사 결과가 음식물 섭취, 스트레스, 혈당강하제, 환자의 협력 정도와 같은 단기간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어느 때나 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는 점이다.
① 혈당강하제, 식이요법, 인슐린 펌프, 환자 교육 등을 포함한 당뇨 치료의 성공 여부 평가
② 당뇨 치료의 옛날 방법과 새로운 방법 성공의 비교와 대조
③ 새로이 진단된 당뇨 환자에게 있어서 고혈당의 기간을 측정하는데 도움이 된다.
④ 경증 당뇨 환자의 포도당 불균형을 민감하게 평가한다.
⑤ 당뇨 조절 요법의 개별화
⑥ 검사 결과 당뇨가 잘 조절되고 있는 환자들에게 격려를 하여 환자가 보다 더 자신의 치료지 침을 따르고 자신을 돌보는데 능동적이 되도록 한다.
<정상>
성인: 2.2~4.8%
어린이: 1.8~4.0%
잘 조절되는 당뇨병: 2.5~6%
어느 정도 조절되는 당뇨병: 6.1~8%
잘 조절되지 않는 당뇨병: 8%이상
<검사 과정>
금식은 필요 없다. 말초 정맥을 천자하여 3~5ml정도 채혈한다.
<금기 사항>
겸상 적혈구 빈혈과 임산부에서는 인위적으로 낮은 측정치가 나오며, thalassemi에서와 같 이 적혈구 수명이 길어질 때는 인위적으로 높은 수치가 나온다.
<간호 중재>
환자에게 glycohemoglobin검사와 이 검사가 치료에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에 대해 설명한다. 환자가 치료지침을 따르고 자기 관리에 더욱 능동적이 되도록 동기화 시킨다.
공복은 필요 없다고 환자에게 알린다.
채혈 후 정맥 천자 부위에 압박을 가하고 출혈이나 혈종이 있는지 관찰한다.
5) 혈청 삼투질 농도 검사(Serum Osmolality Test)
환자 혈청 kg당 입자수를 측정하는 검사로 혈액 속의 입자수가 증가하면 혈청 삼투질 농도도 증가한다. 당뇨환자에 있어서 혈청에 포도당 분자수가 현저히 증가하면 혈청 삼투질 농도가 400mOsm/kg H2O까지 상승하게 되는데 보통 이 수준에 도달하면 혼수 상태에 빠진다. 고나트륨혈증, 케톤증, 탈수, 요붕증 또한 혈청 삼투질 농도를 높이는 원인이 되며 혈청 삼투질 농도가 낮은 것은 대개는 수분의 과량 섭취나 항이뇨호르몬의 부적절한 분비의 결과로 일어난다. 이 검사와 관련된 합병증은 없다.
<정상> 275~300mOsm/kg H2O
<검사 과정>
말초정맥혈 7ml를 채혈한 후 검사실로 보낸다. 공복은 필요 없다. 정맥천자 때문에 불편감을 줄 수 있다.
6) 혈장 인슐린 측정(Plasma Insulin Assay)
인슐린은 방사면역측정법에 의해 측정이 가능하다.
인슐린은 혈액에서 세포 내로 포도당 이동을 촉진함으로써 혈당을 조절하며 인슐린 분비는 일차적으로 혈당에 의해 결정된다. 정상적으로 혈당이 상승하면 인슐린의 분비도 증가하고 혈당이 낮아지면 인슐린 분비는 중지된다.
경구 당부하검사와 비교했을 때 인슐린 검사는 특징적인 곡선을 그리게 된다. 예를 들어 소아 당뇨병에서는 공복 시 인슐린치가 낮고 인슐린의 증가가 거의 없기 때문에 평평한 곡선을 그리는 반면, 경증 당뇨 환자는 공복 시 인슐린치가 정상이며 인슐린이 지연되어 상승하므로 GTT곡선이 지연되어 나타난다.
정상인에서 12~14시간 금식 후 인슐린과 당의 비율은 0.3이하여야 하며 인슐린종 환자에서는 이보다 높은 비율로 나타난다.
<정상> 5~20μU/ml
<검사 과정>
환자에게 8시간 동안 금식 후에 공복 시 혈액을 채취한다. 만약 GTT동안 측정되면 당섭취전에 채혈하며 공복 시 인슐린치도 측정한다.
<금기 사항>
현재 심한 질병을 앓고 있거나 내분비장애, 감염 환자에게는 당과민성이 관찰될 수 있으므로 이 검사를 실시하지 않는다.
<간호 중재>
환자에게 검사 과정을 설명한다. 검사 후 당뇨병의 진단 가능성에 대한 두려움을 표현할 충 분한 시간을 준다.
많은 환자들이 4~6시간 동안 6번이나 정맥 천자를 해야하므로 이 검사 과정에 대해 매우 불안을 느낀다. 채혈 시 어지러움증을 호소하는 환자는 침대에 앙와위로 눕힌다.
검사 전 환자에게 식이에 관한 설명서를 준다. GTT전 식이가 부적절했다면 당부하 능력이 감소되고 고혈당이 되기도 한다.
검사 중 지루함을 덜기 위해 환자에게 읽기 등을 권유한다.
필요한 양만 채혈한다.
정맥 천자 부위는 돌려가며 한다. 천자 부위에 압박을 가하고 출혈 여부를 관찰한다.
환자에게 소변 채취 용기를 주고 검사물 채취 시간을 적게 한다.
소변 검사물 채취를 돕기 위해 물을 마시도록 권장한다.
검사 동안 물을 제외한 어느 것도 먹지 않도록 한다. 담배, 커피, 차 등도 금한다.
검사 중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약은 절대 먹어서는 안됨을 주지시킨다.
검사 기간동안 진전, 현기증, 다행감 또는 다른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채혈한다. 이때 혈당이 너무 높으면 검사를 중단하고 인슐린을 투여한다.
검사 후 환자에게 식사를 제공하고 지시된 인슐린이나 경구 혈당 강하제를 투여한다.
4) 당결합 헤모글로빈 검사(Glycosylated Hemoglobin Test)
Glycosylated Hemoglobin의 양은 RBC의 수명인 120일 동안 혈류 속에서 존재하는 포도당의 양에 달려있다. 즉 오래된 적혈구는 파괴되고 새로운 적혈구가 계속 생성되므로 glycosylated hemoglobin의 양은 검사 6~8주전의 평균 혈당치를 반영한다. 즉 적혈구가 더 많은 포도당에 노출될수록 glycosylated hemoglobin의 퍼센트는 점점 더 증가한다. 이 검사의 중요한 이점 중의 하나는 검사 결과가 음식물 섭취, 스트레스, 혈당강하제, 환자의 협력 정도와 같은 단기간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어느 때나 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는 점이다.
① 혈당강하제, 식이요법, 인슐린 펌프, 환자 교육 등을 포함한 당뇨 치료의 성공 여부 평가
② 당뇨 치료의 옛날 방법과 새로운 방법 성공의 비교와 대조
③ 새로이 진단된 당뇨 환자에게 있어서 고혈당의 기간을 측정하는데 도움이 된다.
④ 경증 당뇨 환자의 포도당 불균형을 민감하게 평가한다.
⑤ 당뇨 조절 요법의 개별화
⑥ 검사 결과 당뇨가 잘 조절되고 있는 환자들에게 격려를 하여 환자가 보다 더 자신의 치료지 침을 따르고 자신을 돌보는데 능동적이 되도록 한다.
<정상>
성인: 2.2~4.8%
어린이: 1.8~4.0%
잘 조절되는 당뇨병: 2.5~6%
어느 정도 조절되는 당뇨병: 6.1~8%
잘 조절되지 않는 당뇨병: 8%이상
<검사 과정>
금식은 필요 없다. 말초 정맥을 천자하여 3~5ml정도 채혈한다.
<금기 사항>
겸상 적혈구 빈혈과 임산부에서는 인위적으로 낮은 측정치가 나오며, thalassemi에서와 같 이 적혈구 수명이 길어질 때는 인위적으로 높은 수치가 나온다.
<간호 중재>
환자에게 glycohemoglobin검사와 이 검사가 치료에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에 대해 설명한다. 환자가 치료지침을 따르고 자기 관리에 더욱 능동적이 되도록 동기화 시킨다.
공복은 필요 없다고 환자에게 알린다.
채혈 후 정맥 천자 부위에 압박을 가하고 출혈이나 혈종이 있는지 관찰한다.
5) 혈청 삼투질 농도 검사(Serum Osmolality Test)
환자 혈청 kg당 입자수를 측정하는 검사로 혈액 속의 입자수가 증가하면 혈청 삼투질 농도도 증가한다. 당뇨환자에 있어서 혈청에 포도당 분자수가 현저히 증가하면 혈청 삼투질 농도가 400mOsm/kg H2O까지 상승하게 되는데 보통 이 수준에 도달하면 혼수 상태에 빠진다. 고나트륨혈증, 케톤증, 탈수, 요붕증 또한 혈청 삼투질 농도를 높이는 원인이 되며 혈청 삼투질 농도가 낮은 것은 대개는 수분의 과량 섭취나 항이뇨호르몬의 부적절한 분비의 결과로 일어난다. 이 검사와 관련된 합병증은 없다.
<정상> 275~300mOsm/kg H2O
<검사 과정>
말초정맥혈 7ml를 채혈한 후 검사실로 보낸다. 공복은 필요 없다. 정맥천자 때문에 불편감을 줄 수 있다.
6) 혈장 인슐린 측정(Plasma Insulin Assay)
인슐린은 방사면역측정법에 의해 측정이 가능하다.
인슐린은 혈액에서 세포 내로 포도당 이동을 촉진함으로써 혈당을 조절하며 인슐린 분비는 일차적으로 혈당에 의해 결정된다. 정상적으로 혈당이 상승하면 인슐린의 분비도 증가하고 혈당이 낮아지면 인슐린 분비는 중지된다.
경구 당부하검사와 비교했을 때 인슐린 검사는 특징적인 곡선을 그리게 된다. 예를 들어 소아 당뇨병에서는 공복 시 인슐린치가 낮고 인슐린의 증가가 거의 없기 때문에 평평한 곡선을 그리는 반면, 경증 당뇨 환자는 공복 시 인슐린치가 정상이며 인슐린이 지연되어 상승하므로 GTT곡선이 지연되어 나타난다.
정상인에서 12~14시간 금식 후 인슐린과 당의 비율은 0.3이하여야 하며 인슐린종 환자에서는 이보다 높은 비율로 나타난다.
<정상> 5~20μU/ml
<검사 과정>
환자에게 8시간 동안 금식 후에 공복 시 혈액을 채취한다. 만약 GTT동안 측정되면 당섭취전에 채혈하며 공복 시 인슐린치도 측정한다.
추천자료
통사론(문장론, 구문론)의 구조, 부사절의 통사구조, -이-의 통사구조와 의미기능, -시-의 통...
[관료제, 관료제 성격, 관료제 기능, 관료제 구조, 관료제 발달요인, 관료제 정치적 통제]관...
[병원, 병원 개념, 병원 구분, 병원 기능과 역할, 병원 구조조정, 병원 금연구역, 시장수요예...
(조직구조론) NC소프트 조직구조 (NC소프트의 조직구조, 조직유형, 조직구조의 기능 분석, 장...
다양화가 진행되는 사회 속에서 한국 가족은 어떻게 변할지(가족의 구조, 가족의 기능, 가족...
배뇨 PBL 발표자료 (배뇨의 정의, 비뇨기계의 구조와 기능, 배뇨의 기전, 배뇨에 영향을 미치...
[뇌의 구조와 기능] 뇌구조, 뇌기능 - 뉴런, 신경계의 조직(말초신경계와 중추신경계), 뇌의 ...
중추신경계의 구조와 기능 - 뇌(대뇌,소뇌,뇌간,간뇌)와 척수의 구조와 기능
[심장과 혈관의 구조와 기능] 심장의 구조와 기능, 혈관의 구조와 기능
[소화기의 구조와 기능] 소화기계(소화기관)의 구조와 기능(구강, 인두, 식도, 위의 구조와 ...
소화기관의 구조와 기능 - 구강과 식도, 위의 구조와 기능, 장의 구조와 기능
간과 담도계의 구조와 기능(간의 구조와 기능, 담도계의 구조와 기능)
간과 담도계의 구조와 기능 - 간의 구조와 기능, 담도계(담낭과 담즙)의 구조와 기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