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제너다이오드(Zener Diode)
■ 반도체 내의 전기적 특성
■ 다이오드의 개요
■ 다이오드의 종류
■ 정전압 다이오드(Zener Diode)
■ 반도체 내의 전기적 특성
■ 다이오드의 개요
■ 다이오드의 종류
■ 정전압 다이오드(Zener Diode)
본문내용
것을 나타내고 있다.
순방향으로 흘릴 수 있는 전류는 다이오드에 따라 규정되어 있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다이오드 자체의 저항성분에 의해
강하하는 전압은 0.6~1V(VF) 정도이다(실리콘 다이오드의 경우, 대략 0.6V).
여러 개의 다이오드를 직렬로 접속하여 사용하는 회로에서는 이 전압강하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정류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순방향의 전류 허용값은 중요한 체크 포인트이다.
역방향으로 전압을 가했을 경우, 역방향전류는 흐르기 어렵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역방향으로 가할 수 있는 전압은 다이오드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으므로 용도에 따라 선택한다.
그리고 역방향 전류는 매우 작어 수μA에서 수 mA이며, 다이오드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정류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역방향의 전압 허용값은 중요한 체크 포인트이다.
●정류용, 스위칭용, 전압 안정용 다이오드:
다이오드에는 어느 한쪽의 리드선에 띠 모양의 마크가 붙어 있다. 이 표시가 캐소드측을 나타내고 있다.
사진의 경우, 우측에서 좌측으로는 전류가 흐르고, 좌측에서 우측으로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사진에서 맨 위에 있는 것과 두 번째의 것은 전류의 정류용이다.
맨 위의 것이 6A의 전류가 흘릴 수 있는 것이고, 그 밑에 있는 것이 1A의 전류를 흘릴 수 있는 것이다.
이 전류값은 최대정격이므로, 실제 사용할 때에는 최대라도 70% 정도 사용하는 편이 무난하다.
세 번째의 적색을 띠고 있는 것은 1S1588이라 부르는 스위칭용 다이오드이다.
최대전류는 120mA이지만, ON/OFF의 전환을 고속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스위칭용으로 사용되며,
디지털 회로에서 흔히 사용한다. 역방향 전압의 최대값은 30V로 되어 있다.
맨 아래에 있는 것은 제너 다이오드로 6V의 것이다. 역방향으로 전압을 가했을 경우, 약 6V에서 일정하게 되며, 입력전압을 더욱 높이려고 하면 다이오드를 흐르는 전류가 증가하
고, 전압은 변하지 않는다(약간 변한다). 그러나 흘릴 수 있는 전류는 30mA 정도에서 파괴되므로 너무 흐르지 않도록 전류의 보호를 생각하지 않으면 안된다.
전원의 안정화에는 통상 3단자 레귤레이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 다이오드의 용도는 순간적인 과전압(너무 높지 않은 경우)으로부터 회로를 보호하는 용도 등에 사용한다.
3단자 레귤레이터는 내부에서 제너 다이오드를 사용하고 있다.
참고문헌:http://home.sunchon.ac.kr
순방향으로 흘릴 수 있는 전류는 다이오드에 따라 규정되어 있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다이오드 자체의 저항성분에 의해
강하하는 전압은 0.6~1V(VF) 정도이다(실리콘 다이오드의 경우, 대략 0.6V).
여러 개의 다이오드를 직렬로 접속하여 사용하는 회로에서는 이 전압강하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정류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순방향의 전류 허용값은 중요한 체크 포인트이다.
역방향으로 전압을 가했을 경우, 역방향전류는 흐르기 어렵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역방향으로 가할 수 있는 전압은 다이오드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으므로 용도에 따라 선택한다.
그리고 역방향 전류는 매우 작어 수μA에서 수 mA이며, 다이오드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정류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역방향의 전압 허용값은 중요한 체크 포인트이다.
●정류용, 스위칭용, 전압 안정용 다이오드:
다이오드에는 어느 한쪽의 리드선에 띠 모양의 마크가 붙어 있다. 이 표시가 캐소드측을 나타내고 있다.
사진의 경우, 우측에서 좌측으로는 전류가 흐르고, 좌측에서 우측으로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사진에서 맨 위에 있는 것과 두 번째의 것은 전류의 정류용이다.
맨 위의 것이 6A의 전류가 흘릴 수 있는 것이고, 그 밑에 있는 것이 1A의 전류를 흘릴 수 있는 것이다.
이 전류값은 최대정격이므로, 실제 사용할 때에는 최대라도 70% 정도 사용하는 편이 무난하다.
세 번째의 적색을 띠고 있는 것은 1S1588이라 부르는 스위칭용 다이오드이다.
최대전류는 120mA이지만, ON/OFF의 전환을 고속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스위칭용으로 사용되며,
디지털 회로에서 흔히 사용한다. 역방향 전압의 최대값은 30V로 되어 있다.
맨 아래에 있는 것은 제너 다이오드로 6V의 것이다. 역방향으로 전압을 가했을 경우, 약 6V에서 일정하게 되며, 입력전압을 더욱 높이려고 하면 다이오드를 흐르는 전류가 증가하
고, 전압은 변하지 않는다(약간 변한다). 그러나 흘릴 수 있는 전류는 30mA 정도에서 파괴되므로 너무 흐르지 않도록 전류의 보호를 생각하지 않으면 안된다.
전원의 안정화에는 통상 3단자 레귤레이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 다이오드의 용도는 순간적인 과전압(너무 높지 않은 경우)으로부터 회로를 보호하는 용도 등에 사용한다.
3단자 레귤레이터는 내부에서 제너 다이오드를 사용하고 있다.
참고문헌:http://home.sunchon.ac.kr
추천자료
지너다이오드
다이오드
발광다이오드
쇼트키다이오드
발광다이오드 LED (Light Emitting Diode)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OP-amp 실험
다이오드 응용
포토다이오드, 포토 트랜지스터에 대해서 - 정의, 센서의 원리, 센서의 종류 및 특징, 응용분...
광센서 - 포토 다이오드와 포토 트랜지스터(광센서,Photo diode,photo transistor,포토 다이...
광센서 - 포토 다이오드와 포토 트랜지스터(광센서,photodiode,phototransistor,포토다이오드...
광센서의 종류 (포토다이오드의 외관과 회로 기호, 포토다이오드의 장점과 단점, 포토다이오...
다이오드, pn접합다이오드 다이오드 소신호등가회로 알찬.PPT
포토다이오드(Photo diode) 및 포토트랜지스터(Phototransistor) 완벽정리 {포토다이오드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