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 종교계의 현황과 당면문제
유교
1) 한국 역사속의 유교
2) 유교와 여성
3) 유교와 한국사회
불교
1) 세계 종교로서의 불교
2) 불교와 여성
3) 불교와 한국문화
4) 불교와 환경문제
기독교
1) 윤리생활
2) 사회적 태도
3) 결론
유교
1) 한국 역사속의 유교
2) 유교와 여성
3) 유교와 한국사회
불교
1) 세계 종교로서의 불교
2) 불교와 여성
3) 불교와 한국문화
4) 불교와 환경문제
기독교
1) 윤리생활
2) 사회적 태도
3) 결론
본문내용
다. 또 불성은 인간에게만 있는 것이 아니다. 모든 생명이 불성을 갖고 있고, 아니 불성 그 자체인 것이다. 이 논리를 그대로 끌고 나간다면 생명을 파괴하는 것은 바로 불성을 파괴하는 것이 되니 여간 큰 죄가 아닐 수 없다.
기독교
1) 윤리생활
한국 개신교인들의 윤리관은 상당히 보수적이다. 가령, 흡연, 음주, 도박 등에 대하여 아주 부정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다. 사교춤, 성도덕에 대하여도 보수성을 나타내고 있다. 인공 유산에 대하여서도 부정적이다. 이 점은 한국 교회가 청교도적인 윤리훈련을 받은 결과라고도 할 수 있다.
반면에 비 기독교인들이 기독교인들의 윤리생활에 대한 판단에서 기독교인들의 윤리생활에 대한 판단에서 기독교인들의 윤리적 형식성, 폐쇄성, 이중성이 가끔 지적된다. 이런 판단은 정확하게 분석되기 어려운 문제이나 한국 기독교인의 윤리 생활의 위기를 말하여 준다.
한국 기독교 윤리 훈련이 형식주의 내지 율법주의 적이고 또는 격리적 이기 때문에 도덕적 가치관이 복합적으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건전한 윤리 판단이 어렵고,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를 경험한다고 본다. 이런 현실 속에서 무엇보다도 먼저 한국 기독교는 세속 한가운데에서 사랑을 구체적으로 실천 할 수 있는 새로운 원리적 기법을 형성하여야 한다. 전통적으로 가지고 내려오던 몇 개의 윤리 규범을 가지고는 건전한 윤리생활이 어려우며 기독교 윤리의 형식주의, 율법주의, 격리주의의 문제를 극복하기 어려울 것으로 본다.
또 한편으로 보면 전통적 윤리규범이 문제가 됨에 따라 기독교 공동체의 일부에서 흔히 윤리적 무법주의가 노출되기도 한다.
2) 사회적 태도
한국 개신교의 사회적 태도의 문제점은 기본적으로 한국교회가 가지고 있는 조교적소수자 의식이라고 할 수 있다. 종교적 소수집단은 자신이 잔존하기 위하여 환경에 동화하거나, 아니면 환경을 적대시하고 자기를 강하게 보전하려는 태도를 지니기 마련이다.
한국 개신교는 후자의 태도를 취하였다고 본다. 한국 개신교는 선교사들이 제공한 선민과 이방의 도식으로 기족교인과 비기독교 세계를 철저히 구분하고 그 종교적 정체성을 보정하여 왔다. 숱한 핍박도 받고 비판도 받았으나, 내면적으로 하나님과의 특별한 관계를 가졌다는 선택의식을 가지고 있다.
한국 개신교는 이미 800만 이상의 신자를 가지고 있다. 이제는 소수자의식을 극복하고 개방적이고 겸허한 사회생활을 해야 한다. 한국 기독교의 사회적 태도에 있어서 민족의 열망에 호응하는 민족주의적 요소라든지, 민중 지향적인 인권, 사회 정의 의식이라든지 긍정적인 요소도 있지만 위와 같은 부정적 사회적 태도가 나타나는 것은 한국 개신교가 그러한 사회 윤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 아니라 오히려 종교의 사회적 차원에서의 의미를 무시하거나 무분별한 사고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야기된다고 할 수 있다.
3) 결론
한국 기독교는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한국 개신교의 고유한 문제들은 아니다. 어떻게 보면 똑같은 문제들이 급변하는 한국 사회에 내포되어 있고 한국 개신교도 이러한 문제들을 함께 안고 고민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종교와 사회는 분리될 수 없다. 종교는 한 부분일 뿐 아니라 한 차원으로서 사회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한국 기독교의 신앙체계의 정통성은 곧 한국 사회의 이념적 경직성과 연결되고, 한국 교회의 분열도 종교적 요인 뿐 아니라 사회적 요이니 깊이 개재하여 일어나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기독교의 문제를 종교적 하원에서만 생각해서는 안 될 것이다. 전체 한국 사회적 차원에서 보아야 할 것이다. 그래야만 기독교의 역사적 공헌을 평가 할 수 있고 기독교의 문제점을 올바른 방향에서 해결 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기독교
1) 윤리생활
한국 개신교인들의 윤리관은 상당히 보수적이다. 가령, 흡연, 음주, 도박 등에 대하여 아주 부정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다. 사교춤, 성도덕에 대하여도 보수성을 나타내고 있다. 인공 유산에 대하여서도 부정적이다. 이 점은 한국 교회가 청교도적인 윤리훈련을 받은 결과라고도 할 수 있다.
반면에 비 기독교인들이 기독교인들의 윤리생활에 대한 판단에서 기독교인들의 윤리생활에 대한 판단에서 기독교인들의 윤리적 형식성, 폐쇄성, 이중성이 가끔 지적된다. 이런 판단은 정확하게 분석되기 어려운 문제이나 한국 기독교인의 윤리 생활의 위기를 말하여 준다.
한국 기독교 윤리 훈련이 형식주의 내지 율법주의 적이고 또는 격리적 이기 때문에 도덕적 가치관이 복합적으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건전한 윤리 판단이 어렵고,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를 경험한다고 본다. 이런 현실 속에서 무엇보다도 먼저 한국 기독교는 세속 한가운데에서 사랑을 구체적으로 실천 할 수 있는 새로운 원리적 기법을 형성하여야 한다. 전통적으로 가지고 내려오던 몇 개의 윤리 규범을 가지고는 건전한 윤리생활이 어려우며 기독교 윤리의 형식주의, 율법주의, 격리주의의 문제를 극복하기 어려울 것으로 본다.
또 한편으로 보면 전통적 윤리규범이 문제가 됨에 따라 기독교 공동체의 일부에서 흔히 윤리적 무법주의가 노출되기도 한다.
2) 사회적 태도
한국 개신교의 사회적 태도의 문제점은 기본적으로 한국교회가 가지고 있는 조교적소수자 의식이라고 할 수 있다. 종교적 소수집단은 자신이 잔존하기 위하여 환경에 동화하거나, 아니면 환경을 적대시하고 자기를 강하게 보전하려는 태도를 지니기 마련이다.
한국 개신교는 후자의 태도를 취하였다고 본다. 한국 개신교는 선교사들이 제공한 선민과 이방의 도식으로 기족교인과 비기독교 세계를 철저히 구분하고 그 종교적 정체성을 보정하여 왔다. 숱한 핍박도 받고 비판도 받았으나, 내면적으로 하나님과의 특별한 관계를 가졌다는 선택의식을 가지고 있다.
한국 개신교는 이미 800만 이상의 신자를 가지고 있다. 이제는 소수자의식을 극복하고 개방적이고 겸허한 사회생활을 해야 한다. 한국 기독교의 사회적 태도에 있어서 민족의 열망에 호응하는 민족주의적 요소라든지, 민중 지향적인 인권, 사회 정의 의식이라든지 긍정적인 요소도 있지만 위와 같은 부정적 사회적 태도가 나타나는 것은 한국 개신교가 그러한 사회 윤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 아니라 오히려 종교의 사회적 차원에서의 의미를 무시하거나 무분별한 사고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야기된다고 할 수 있다.
3) 결론
한국 기독교는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한국 개신교의 고유한 문제들은 아니다. 어떻게 보면 똑같은 문제들이 급변하는 한국 사회에 내포되어 있고 한국 개신교도 이러한 문제들을 함께 안고 고민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종교와 사회는 분리될 수 없다. 종교는 한 부분일 뿐 아니라 한 차원으로서 사회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한국 기독교의 신앙체계의 정통성은 곧 한국 사회의 이념적 경직성과 연결되고, 한국 교회의 분열도 종교적 요인 뿐 아니라 사회적 요이니 깊이 개재하여 일어나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기독교의 문제를 종교적 하원에서만 생각해서는 안 될 것이다. 전체 한국 사회적 차원에서 보아야 할 것이다. 그래야만 기독교의 역사적 공헌을 평가 할 수 있고 기독교의 문제점을 올바른 방향에서 해결 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추천자료
한국 무속적 측면에서 바라본 한국인의 죽음관
한국 교회와 한국 사회문화
민주주의의 개념,본질, 민주주의의 구현방법, 한국 민주주의의 발전, 민주주의이행과 제도정...
한국 무용의 발달사 - 한국 무용의 시대별 발달
한국과 일본 축제의 비교를 통한 한국 지역 축제의 발전방향
[정책변동][정책변화][여성정책][대기업정책][노동정책][국가정책]정책변동(정책변화)의 원인...
한국어교원을 위한 한국어강사1과정 요약
한국 무용의 이해 -한국 무용이란 무엇인가?
한국 전쟁 이후 외원기관으로 한국에 들어와 사회복지활동을 펼친 기관은 어떠한 곳이 있는지...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도가사상(道家思想) - 도교와 한국 문학, 최승호 시인의 무위자연의 사...
한국경제의이해4E) 한국의 사회복지제도에 관해 논하시오.
한국사회문제4E) 한국사회에서 여성들이 겪는 여러 차별과 불평등 가운데 사회문제로서 해결...
한국사회문제4A)한국 교육에서 드러나고 있는 과도한 경쟁과 격차의 문제의 원인은 무엇이며,...
한국의 사회복지 발달사(한국 사회복지의 역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