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우석 교수의 업적과 찬성과 반대 나의 의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황우석 교수의 업적과 찬성과 반대 나의 의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1. 황우석교수의 연구업적 요약
□ 사람의 복제 배반 포에서 유래한 전능성의 배아줄기세포 주 (SCNT-hES-1)를 확립하였다.
□ 입증
1) SCNT-hES-1 세포 주는 전형적인 배아줄기세포의 형태를 나타내고
2) 세포표면 표지인자를 발현하고 있으며,
3) 체외배양 시 배아 체로서 분화하는 능력을 지니고 있고,
4)마우스의 체내에서 세 배엽으로 분화하는 세포를 포함하는 기형 종을 형성하였다.
5) 이후 70번 이상 배양을 통한 계속적인 증식 이후 SCNT-hES-1 세포는 정상적인 유전자 핵 형을 유지했으며,
6) 증여된 체세포와 유전적으로 동일함을 검증하였다.
□ 기대
환자로부터 체세포를 얻어 환자와 유전형질이 동일한 맞춤형 치료용 줄기
세포의 적용의 가능성을 확립하게 되었다.
2. 황우석교수에 대한 추천위원회의 심사의견
□ 업적의 국제적 공인
2005년 과학잡지 Nature는 황우석 교수에 대한 특별 인물소개와 뉴스를 실었다. 황우석 교수에 대해 “서구에서 수수께끼 같은 인물이다. 그의 고국에서는 아마도 너무나 많은 영향력을 지닌 과학자이다. 전 세계적으로 그는 줄기세포의 스타이다(In the West, Woo-Suk Hwang is an enigma. In his country, he is a scientist with perhaps too much power. In either place, he is a stem cell star.)라고 평하며 황교수의 하루 일과 및 연구실에 대해 자세히 적었다. 서구의 시각에서 볼 때 동양의 무시하고 싶은 작은 나라에서 시작되어 엄청나게 일어나는 복제배아줄기세포의 과학적 후 폭풍을 인정하면서도 무언가 인정하고 싶지 않은 것을 찾으려는 기사인 듯하다. 이렇듯 황우석 교수는 세계 과학계에서 주목을 받는 학자이고, 그의 업적은 미래의학의 새로운 개념을 정립시키게 되었기에 대한민국의 “ 최고과학자”로 추천하는 것에 전혀 주저하고 싶지 않다.
□ 지속적인 관련기술의 개발선상에서 이룬 획기적 업적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황우석 교수는 2004년 세계 최초로 체세포 복제 유래 인간 배아로부터 줄기세포의 성공적으로 확립하였다. 이러한 성공은 우연히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이미 1993년 국내 최초로 시험관 송아지의 생산, 1999년에는 체세포 복제 젖소(영롱이) 및 한우(진희)의 생산, 2003년 면역조절 HDAF유전자 돼지생산에 이르는 연구결과의 선상에서 이루어진 업적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5.10.15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3159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