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미군부의 국가정비
2. 일본에 대한 미군부의 정책
3. 한국(남한)에 대한 미군정의 정책
4. 마치며....
[참고문헌]
2. 일본에 대한 미군부의 정책
3. 한국(남한)에 대한 미군정의 정책
4. 마치며....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국의 건설에 이었던 것이다.
4. 마치며....
미군정에게 일본은 경계의 대상이었으며 한국은 자신의 우호적 국가 건설이 목표였던 것으로 인식이 된다. 이에 따라 일본의 경우 과거 타파라는 목표에 맞추어 정책이 진행되었던 것에 반해 한국의 경우 분할 점령한 소련과의 갈등이 더해지면서 자신을 옹호해 줄 수 있는 힘있는 사람이 필요하였고, 이는 일제의 잔재 속에서 권력을 알고 움직일 수 있는 사람이었던 것이다. 이러한 목표의 차이에서 결국 미군정은 한국에 있어서 좌익을 탄압하고 우익을 지원해 줄 수 있는 방안이 정책으로 나타나게 되었으며, 이는 강력한 군대, 경찰력을 키우는데 주안점을 두게 된 것으로 생각된다.
자료가 부족하여 일본과의 비교가 잘 되지 않았다는 생각도 들지만 일본에서는 노동자의 힘을 키워주거나 토지개혁 등이 이루어진것에 비해 한국은 미군정시기가 아닌 이승만정부시기에 토지개혁이 일어나는 등이 결국 그 차이를 알 수 있게 해 주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차이가 지금 현재 일본과 한국의 차이를 만들어 준 것이 아닌가 생각하게 한다.
[참고문헌]
-일본관련문헌-
존 W. 홀, 일본산-선사시대부터 현대까지, 영민사, 1996.
숙명대 교양학부 일본사연구실편, 일본사개설, 지영사, 1994.
이노우에 키요시, 일본의 역사, 차광수 역, 대광서림, 1995.
-한국관련문헌-
부르스 커밍스 외, 분단전후의 현대사, 일월서각, 1983.
김병오, 민족분단과 통일문제, 한울, 1985
신복룡·김원덕 편역, 한국분단보고서 하, 풀빛, 1992.
김동춘 역, 한국현대사연구I, 이성과 현실사, 1988.
4. 마치며....
미군정에게 일본은 경계의 대상이었으며 한국은 자신의 우호적 국가 건설이 목표였던 것으로 인식이 된다. 이에 따라 일본의 경우 과거 타파라는 목표에 맞추어 정책이 진행되었던 것에 반해 한국의 경우 분할 점령한 소련과의 갈등이 더해지면서 자신을 옹호해 줄 수 있는 힘있는 사람이 필요하였고, 이는 일제의 잔재 속에서 권력을 알고 움직일 수 있는 사람이었던 것이다. 이러한 목표의 차이에서 결국 미군정은 한국에 있어서 좌익을 탄압하고 우익을 지원해 줄 수 있는 방안이 정책으로 나타나게 되었으며, 이는 강력한 군대, 경찰력을 키우는데 주안점을 두게 된 것으로 생각된다.
자료가 부족하여 일본과의 비교가 잘 되지 않았다는 생각도 들지만 일본에서는 노동자의 힘을 키워주거나 토지개혁 등이 이루어진것에 비해 한국은 미군정시기가 아닌 이승만정부시기에 토지개혁이 일어나는 등이 결국 그 차이를 알 수 있게 해 주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차이가 지금 현재 일본과 한국의 차이를 만들어 준 것이 아닌가 생각하게 한다.
[참고문헌]
-일본관련문헌-
존 W. 홀, 일본산-선사시대부터 현대까지, 영민사, 1996.
숙명대 교양학부 일본사연구실편, 일본사개설, 지영사, 1994.
이노우에 키요시, 일본의 역사, 차광수 역, 대광서림, 1995.
-한국관련문헌-
부르스 커밍스 외, 분단전후의 현대사, 일월서각, 1983.
김병오, 민족분단과 통일문제, 한울, 1985
신복룡·김원덕 편역, 한국분단보고서 하, 풀빛, 1992.
김동춘 역, 한국현대사연구I, 이성과 현실사, 1988.
추천자료
박정희 정권과 경제 정책 평가
박정희 대통령에 관하여
루즈벨트와 트루먼의 대 한반도 정책과 민주주의
한국 내 반미주의의 기원
한미행정협정 (SOFA) 체결 및 변천과정
오발탄 요약과 기지촌여성
대미관계(한미관계) 역사, 필요성, 대한민국임시정부, 제2공화국(윤보선대통령, 장면정부) 대...
[제주 4 3항쟁]제주 4 3항쟁(제주 4 3사건)의 의의, 발생원인, 제주 4 3항쟁(제주 4 3사건)의...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역사적 의미, 인식,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특별법, 초...
[제주 4 3사건]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원인, 민주화,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
이승만정부의 정치행정적 특성연구
다시 보는 미국의 해방전후 대한 정책
8 15해방직후 소련(소비에트연방, 러시아) 정보활동, 8 15해방직후 소련(소비에트연방, 러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