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담배와 건강
① 담배의 역사
② 담배의 성분과 인체에 미치는 영향
③ 흡연과 수명과의 상관관계
④ 흡연으로 인해 발생되는 질병
(2) 술과 건강
① 술의 역사
② 알코올 중독과 그 원인
③ 알코올 중독단계
④ 술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3) 커피와 건강
① 커피 안의 카페인
② 긍정적인 영향
③ 부정적인 영향
① 담배의 역사
② 담배의 성분과 인체에 미치는 영향
③ 흡연과 수명과의 상관관계
④ 흡연으로 인해 발생되는 질병
(2) 술과 건강
① 술의 역사
② 알코올 중독과 그 원인
③ 알코올 중독단계
④ 술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3) 커피와 건강
① 커피 안의 카페인
② 긍정적인 영향
③ 부정적인 영향
본문내용
과가 있다. 특히 마늘의 냄새를 없애는 효과가 높다. 단, 커피에 우유나 크림을 넣으면 Furan류가 먼저 이쪽에 결합을 하 기 때문에 효과가 없어진다.
마). 위암예방 효과
일본 아이치현 암센터연구소 연구진(다케자키 토시로 등)은 약 2만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역학 조사에서 커피를 매일 3잔 이상 마시는 습관이 있는 사람은 마시지 않는 사람보다 위암에 걸릴 위험률이 절반 정도밖에 안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발표했다.
이처럼 커피가 위암 발생률을 낮추는 것은△커피에 포함되어 있는 항산화물질 등 이 암세포 발생을 억제하고 △커피를 즐겨 마시는 사람들이 좋아하는 서양식 식생 활이 위암에 대해 예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바). 간암예방 효과
일본 산교의과대학 연구진(도쿠이 노리타카 등)은 7천여명을 대상으로 커피와 간 암예방효과를 조사, 발표했다. 커피를 종종 마시는 사람은 전혀 마시지 않는 사람 보다 간암으로 사망할 위험률이 30%낮고, 커피를 매일 마시는 사람의 경우는 60%나 사망률이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사). 혈압강화 효과
커피를 마시면 일시적으로 혈압이 올라간다. 그래서 이제까지는 커피는 혈압을 올 라가게 한다는 생각이 상식처럼 돼왔다. 일본 호이 의과대학 연구진(와카바야시 카오스 등)은 약 4천명의 중년 남성들을 대상으로 커피를 마시는 습관과 혈압과의 관계를 조사했다. 그 결과 커피를 즐겨 마시는 사람은 오히려 혈압이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그에 따르면 커피를 매일 1잔 마시면 확실히 최대혈압이 0.6mmHg, 최소혈압이 0.4mmHg내려가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매일 커피를 마시는 양이 늘어남에 따라 혈압이 내려가는 정도가 비례했다.
이밖에 하루에 커피 4잔 이상을 마시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대장암에 걸릴 확률이 24%가량 낮았으며, △커피가 우울증과 자살률을 떨어뜨려 알코올 중 독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는 외국의 연구보고도 있다. △운동의 지구력을 높인다. 마라톤 선수가 레이스 중에 마시는 드링크에 카페인음료가 많은 것은 이때문이다.
③ 부정적인 영향
가). 커피를 마시면 나타나는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숙면을 취할 수 없다는 것이 다. 커피 속의 카페인이 중추신경을 자극하기 때문이다. 카페인의 혈중농도가 절 반으로 줄어드는 반감기는 대개 4시간이다. 따라서 숙면을 취하기 위해서는 저녁 식사 후 잠들 때까지는 커피를 삼가야 한다.
나). 커피는 건강한 사람에게는 중추신경을 자극, 기분전환과 함께 작업능률을 올 려주지만 피로가 쌓인 경우 피로를 더욱 가중시키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다). 커피가 위벽을 자극, 위산분비를 촉진하고 위장과 식도를 연결하는 괄약근을 느슨하게 만들어 위산이 식도에 역류, 속쓰림을 악화시킬 수 있다.
하루6잔의 커피를 마시는 사람에게서 위궤양 발병률이 높다는 보고가 있다. 레귤 러(regular)커피나 저카페인(decaffeinated)커피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므로 위산과 다가 있거나 속쓰림 등 위궤양 증상이 있는 사람도 되도록 커피를 마시지 말아야 한다.
라). 커피는 장의 연동작용을 촉진하므로 급,만성 장염이나 복통을 동반한 과민성 대장질환이 있는 경우도 마시지 않는 것이 좋다.
마). 커피와 심장병 또는 동맥경화와의 관계는 지금까지 연구결과에서 드러나진 않았지만 하루 5잔 이상의 커피를 마시면 심근경색 발생률이 2, 3배 증가하게 된 다.
바). 심장이 예민한 사람에서는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는 부정맥을 유발하여 혈압 과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일 수 있다. 대개 카페인 250mg은 호흡수를 늘림과 함 께 1시간내에 수축기 혈압을 10mmHg상승시키고, 2시간 내에 심박수를 증가시 킨다. 또 600mg정도를 마시면 기관지가 확장된다.
사). 이 밖에 커피는 콩팥에 작용, 소변량을 늘려 탈수현상을 초래하고 목소리를 잠기게 하는가 하면 불안, 흥분과 같은 부작용을 유발하기도 한다.
아). 하루에 커피 석잔 이상 마시면 여성은 임신이 잘 안될 수 있고, 임신한 여성 은 조산의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 커피는 기호식품일 뿐이다. 건강과 관련지어 지나친 걱정이나 기대를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중요한 것은 사람마다 유전적으로 카페인 분해효소의 능 력에 차이가 있으므로 스스로 경험을 통해 적당량을 조절해 마셔야 한다.
참고자료 및 문헌
네이버 www.naver.com
네이버 지식인 검색
교양보건학/백원칠 어은실 공저
운동과 건강/황보연 외 지음
최신보건학/김건수 지음
커피이야기/김성윤 지음
마). 위암예방 효과
일본 아이치현 암센터연구소 연구진(다케자키 토시로 등)은 약 2만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역학 조사에서 커피를 매일 3잔 이상 마시는 습관이 있는 사람은 마시지 않는 사람보다 위암에 걸릴 위험률이 절반 정도밖에 안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발표했다.
이처럼 커피가 위암 발생률을 낮추는 것은△커피에 포함되어 있는 항산화물질 등 이 암세포 발생을 억제하고 △커피를 즐겨 마시는 사람들이 좋아하는 서양식 식생 활이 위암에 대해 예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바). 간암예방 효과
일본 산교의과대학 연구진(도쿠이 노리타카 등)은 7천여명을 대상으로 커피와 간 암예방효과를 조사, 발표했다. 커피를 종종 마시는 사람은 전혀 마시지 않는 사람 보다 간암으로 사망할 위험률이 30%낮고, 커피를 매일 마시는 사람의 경우는 60%나 사망률이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사). 혈압강화 효과
커피를 마시면 일시적으로 혈압이 올라간다. 그래서 이제까지는 커피는 혈압을 올 라가게 한다는 생각이 상식처럼 돼왔다. 일본 호이 의과대학 연구진(와카바야시 카오스 등)은 약 4천명의 중년 남성들을 대상으로 커피를 마시는 습관과 혈압과의 관계를 조사했다. 그 결과 커피를 즐겨 마시는 사람은 오히려 혈압이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그에 따르면 커피를 매일 1잔 마시면 확실히 최대혈압이 0.6mmHg, 최소혈압이 0.4mmHg내려가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매일 커피를 마시는 양이 늘어남에 따라 혈압이 내려가는 정도가 비례했다.
이밖에 하루에 커피 4잔 이상을 마시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대장암에 걸릴 확률이 24%가량 낮았으며, △커피가 우울증과 자살률을 떨어뜨려 알코올 중 독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는 외국의 연구보고도 있다. △운동의 지구력을 높인다. 마라톤 선수가 레이스 중에 마시는 드링크에 카페인음료가 많은 것은 이때문이다.
③ 부정적인 영향
가). 커피를 마시면 나타나는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숙면을 취할 수 없다는 것이 다. 커피 속의 카페인이 중추신경을 자극하기 때문이다. 카페인의 혈중농도가 절 반으로 줄어드는 반감기는 대개 4시간이다. 따라서 숙면을 취하기 위해서는 저녁 식사 후 잠들 때까지는 커피를 삼가야 한다.
나). 커피는 건강한 사람에게는 중추신경을 자극, 기분전환과 함께 작업능률을 올 려주지만 피로가 쌓인 경우 피로를 더욱 가중시키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다). 커피가 위벽을 자극, 위산분비를 촉진하고 위장과 식도를 연결하는 괄약근을 느슨하게 만들어 위산이 식도에 역류, 속쓰림을 악화시킬 수 있다.
하루6잔의 커피를 마시는 사람에게서 위궤양 발병률이 높다는 보고가 있다. 레귤 러(regular)커피나 저카페인(decaffeinated)커피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므로 위산과 다가 있거나 속쓰림 등 위궤양 증상이 있는 사람도 되도록 커피를 마시지 말아야 한다.
라). 커피는 장의 연동작용을 촉진하므로 급,만성 장염이나 복통을 동반한 과민성 대장질환이 있는 경우도 마시지 않는 것이 좋다.
마). 커피와 심장병 또는 동맥경화와의 관계는 지금까지 연구결과에서 드러나진 않았지만 하루 5잔 이상의 커피를 마시면 심근경색 발생률이 2, 3배 증가하게 된 다.
바). 심장이 예민한 사람에서는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는 부정맥을 유발하여 혈압 과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일 수 있다. 대개 카페인 250mg은 호흡수를 늘림과 함 께 1시간내에 수축기 혈압을 10mmHg상승시키고, 2시간 내에 심박수를 증가시 킨다. 또 600mg정도를 마시면 기관지가 확장된다.
사). 이 밖에 커피는 콩팥에 작용, 소변량을 늘려 탈수현상을 초래하고 목소리를 잠기게 하는가 하면 불안, 흥분과 같은 부작용을 유발하기도 한다.
아). 하루에 커피 석잔 이상 마시면 여성은 임신이 잘 안될 수 있고, 임신한 여성 은 조산의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 커피는 기호식품일 뿐이다. 건강과 관련지어 지나친 걱정이나 기대를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중요한 것은 사람마다 유전적으로 카페인 분해효소의 능 력에 차이가 있으므로 스스로 경험을 통해 적당량을 조절해 마셔야 한다.
참고자료 및 문헌
네이버 www.naver.com
네이버 지식인 검색
교양보건학/백원칠 어은실 공저
운동과 건강/황보연 외 지음
최신보건학/김건수 지음
커피이야기/김성윤 지음
추천자료
욕창 ( Pressure sore ) 케이스 레포트
국순당의 성공기업 경영 및 마케팅전략
[화학공업실험] 접촉각 측정 실험 예비레포트
James Joyce의 The boarding house조사 분석 레포트
[사회과학] 성매매 관련법에 대한 평가 및 개선점
자폐아를 둔 가족-환자 가족 사례연구보고서
한국 일본 음식 문화 비교
동아병원의 품질경영 성공 사례와 분석
심장(에 대한 총체적인 요약정리 레포트)
투석(복막투석, 혈액투석) 레포트
청소년들의행동 및사회성,청소년들의 행동의 원인 레포트
칼로저스생애,칼로저스의 이론발달과정,칼로저스의 주요개념 레포트
[간호학개론] DNR [Do-Not-Resuscitate] 레포트 (DNR의 이론적 정의와 배경, DNR 실태, DNR결...
하이퍼텍스트(Hypertext) 문학 이해 레포트 (하이퍼텍스트의 정의, 중요성, 역사, 특징, 유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