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그릇된 민족주의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의 그릇된 민족주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민족과 민족주의의 개념과 역사
1) 민족의 개념
2) 민족주의의 개념
3) 민족주의의 역사

2. 한민족의 특징
1) 한국 내 민족주의의 역사
2) 한국의 그릇된 민족주의

3. 결론

본문내용

동체의식은 자유민주적 애국심으로 되었어야 했다. 그러나 비민주적인 헌법질서는 애국심의 대상이 될 수 없었고 그 대신에 반공주의라는 이데올로기가 애국심을 규정해야만 했던 것이다.
(3) 민족주의를 표방한 국가주의
초기 민족주의는 국가의 기반이 되었지만, 군사정권이 들어서면서 국가 혹은 지배계급이 자신의 정당성의 기반을 확보하기 위해 민족주의를 강화하였다. 이때 민족주의는 인종ㆍ언어ㆍ문화의 동질성이라는 문화적 성격보다는 국가의 목표와 질서에 대한 복종, 국가에 대한 헌신이라는 정치적 성격이 그 실제적인 내용을 이루게 된다.
베버(Weber)나 발리바(Balibar)가 말한 것처럼 국가성(statehood)은 민족성(nationhood)에 앞선다. 그것은 국가가 물리력으로 구성원의 행동과 사고에 실제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국기, 애국가, 국화, 국민교육, 국민징병제, 예비군제도 등으로 표상되는 국가에 의한 체계적인 동원은 파시즘하의 독일과 일본이상으로 훨씬 더 완벽하게 진행되었으며, 남한의 주민들은 '민족'의 구성원이 아닌 '국민'으로 철저하게 사회화되었다.
3. 결론
결국 한국에서는 과거 식민지시기와 국제환경에 의해 서구 계몽주의의 전통을 이어받은 어떤 근대적 사상이나 자기완결적 체제를 갖춘 사상이 존립하기보다는 민족주의를 바탕으로 하였고 정치 권력자들의 통치 수단으로 이용되었다. 이때 변질된 민족주의의 폐단을 고치기 위해서는 범 지구적인 보편 타당한 가치관을 민족에 앞서 개인이 정립할 필요성이 있다.
참고 문헌
<당신들의 대한민국> 한겨레 출판사 박노자
<근대의 그늘> 도서출판 당대 김동춘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10.22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66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