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결론
결론
본문내용
램을 작성하면서 컴퓨터가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한 원리를 이해할 수 있게 하였다. 이 책에서는 가위 바위 보 게임을 제시하고 있는데 가위 바위 보에서 이기려면 다음 번엔 무엇을 낼 것인지 생각을 해야 할 것이다. 이런 사고 과정을 프로그램으로 나타낸 후 컴퓨터에 기억시키는 방법으로 생각하는 컴퓨터를 만든다. 쉽게 이야기 하면 사람의 육감이나 착상과 비슷한 사고를 표현하는 프로그램으로 나타내는 것인데 이 때 확률밀도함수의 값이 상수인 난수를 사용한다. 비주얼 베이직에서는 난수를 만드는 식의 실체가 숨겨져 있기 때문에 Rnd함수를 호출하면 결과(난수)만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일정한 수식으로 얻어지는 난수는 규칙에 의존해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진짜 난수라고는 하기 어렵고 의사난수라고 부른다. 이 외에도 사람은 사고방식의 리듬이라고 할 수 있는 사고패턴을 가지고 있다. 이런 사고 패턴을 프로그램으로 나타내려면 일반적으로 리스트를 사용한다. 리스트란 여러 개의 데이터가 줄과 같이 앞뒤로 이어진 데이터의 구조로서 서로 연관된 기호를 표현하기에 적합하다. 이러한 것들을 이용하여 인공지능이 가능해 졌다.
이상 12장에 걸쳐 요약해 보았다. 책이 두껍고 구하기도 어렵고 해서 많이 힘들었지만 다 읽고 나니 남는 것도 많고 기본 지식들을 많이 쌓게 되었다. 무엇이든 그 기본 원리를 알아야 응용이 잘 되듯이, 이 프로그래밍 원리에 대한 책을 읽음으로써 컴퓨터가 운용되는 원리를 잘 이해해서 실제와 잘 결부시키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컴퓨터에 대해서 인터넷과 한글2002밖에 모르던 나에게 유익한 과제였던 것 같다.
이상 12장에 걸쳐 요약해 보았다. 책이 두껍고 구하기도 어렵고 해서 많이 힘들었지만 다 읽고 나니 남는 것도 많고 기본 지식들을 많이 쌓게 되었다. 무엇이든 그 기본 원리를 알아야 응용이 잘 되듯이, 이 프로그래밍 원리에 대한 책을 읽음으로써 컴퓨터가 운용되는 원리를 잘 이해해서 실제와 잘 결부시키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컴퓨터에 대해서 인터넷과 한글2002밖에 모르던 나에게 유익한 과제였던 것 같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