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Ninhydrin 반응
▶ 실험 목적 : Ninhydrin 반응을 이용해 아미노산 및 단백질을 확인한다.
▶ 실험 원리
▶ 시약 및 기구
▶ 실험방법
▶ 실험결과
▶ 고찰
▶ 참고문헌
(2) Xanthoprotein 반응
▶ 실험 목적 : 단백질을 구성하고 있는 특수한 아미노산의 잔기나 카르복실기 또는 아민기와의 반응으로 나타나는 정성반응을 통하여 단백질의 유무를 확인 할 수 있다.
▶ 실험 원리 <짙은 주황색>
▶ 시약 및 기구
▶ 실험방법
▶ 실험결과
▶ 고찰
▶ 참고문헌
(3) Nitroprusside 반응
▶ 실험 목적 : 아미노산 및 단백질 중 SH기를 가진 화합물을 검출해낼 수 있다.
▶ 실험 원리
▶ 시약 및 기구
▶ 실험방법
▶ 실험결과
▶ 고찰
(4) 뷰렛반응
▶ 실험 목적 : 정색반응(Biuret반응)을 통하여 peptide결합(-CO • NH-)의 유무를 알기 위해 사용된다.
▶ 실험 원리
▶ 시약 및 기구
▶ 실험방법
▶ 실험결과
▶ 고찰
▶ 참고문헌
▶ 실험 목적 : Ninhydrin 반응을 이용해 아미노산 및 단백질을 확인한다.
▶ 실험 원리
▶ 시약 및 기구
▶ 실험방법
▶ 실험결과
▶ 고찰
▶ 참고문헌
(2) Xanthoprotein 반응
▶ 실험 목적 : 단백질을 구성하고 있는 특수한 아미노산의 잔기나 카르복실기 또는 아민기와의 반응으로 나타나는 정성반응을 통하여 단백질의 유무를 확인 할 수 있다.
▶ 실험 원리 <짙은 주황색>
▶ 시약 및 기구
▶ 실험방법
▶ 실험결과
▶ 고찰
▶ 참고문헌
(3) Nitroprusside 반응
▶ 실험 목적 : 아미노산 및 단백질 중 SH기를 가진 화합물을 검출해낼 수 있다.
▶ 실험 원리
▶ 시약 및 기구
▶ 실험방법
▶ 실험결과
▶ 고찰
(4) 뷰렛반응
▶ 실험 목적 : 정색반응(Biuret반응)을 통하여 peptide결합(-CO • NH-)의 유무를 알기 위해 사용된다.
▶ 실험 원리
▶ 시약 및 기구
▶ 실험방법
▶ 실험결과
▶ 고찰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 과량의 알칼리 존재 하에서 Na-nitroprusside와 반응하여 붉은 착색화합물을 형성하는 반응이다.
▶ 시약 및 기구
< 시료 >
- 0.1% cysteine
- 0.1% glycine
- 0.1% cystine
- 0.1% methionine
- 1% albumin
< 시약 및 기구 >
- 2% sodium nitroprusside
- 2N ammonia water
- 5% NaCN
- (NH4)2SO4
- pipette
- tip
- 렉 등
▶ 실험방법
① test tube에 시료 2ml과 nitroprusside solution 0.5ml을 넣고 섞는다.
② 여기에 ammonia water 2~3방울을 떨어뜨린다.
③ 잘 섞고 색을 관찰한다.
④ test tube에 2ml의 cysteine을 넣고 ammonia water 5방울을 넣는다.
⑤ 여기에 5방울의 NaCN을 넣는다.
⑥ 1분간 방치해두었다가 1ml의 nitroprusside을 넣는다.
⑦ 색을 관찰한다.
▶ 실험결과
glycine, cystine, methionine, albumin
→ 변화없음
cysteine → 암자색으로 변함
▶ 고찰
SH기를 가진 화합물은 알칼리의 존재 하에서 붉은 화합물을 형성한다. cysteine은 SH기를 가지고 있고, glycine는 SH기를 가지고 있지 않고, cystine, methionine은 S그룹만 가지고 있다. 실험결과, SH기를 가지고 있는 cysteine만 암자색으로 변하였고, glycine, cystine, methionine, albumin은 변화가 없었다.
(4) 뷰렛반응
▶ 실험 목적
정색반응(Biuret반응)을 통하여 peptide결합(-CO NH-)의 유무를 알기 위해 사용된다.
▶ 실험 원리
뷰렛반응 시약 속에는 Cu2+이 들어 있기 때문에 푸른색을 띤다. 시약이 단백질과 만나면 보라색으로 색이 변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단백질의 검출에 사용한다. 색이 변하는 것은 단백질의 펩티드 결합(=아미드 결합)이 Cu2+와 반응하여 보라색의 착화합물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 시약 및 기구
< 시료 >
- 0.3% albumin
< 시약 및 기구 >
- 40% NaOH
- 1% CuSO4
- H2O
- 저울
- test tube
- pipette
- tip
- 렉 등
▶ 실험방법
① tube를 준비하고 sample을 각각 2ml씩 넣는다.
② 40% NaOH 2ml를 넣어 알칼리성으로 만든다.
③ 1% CuSO4 1~2drop 떨어뜨린다.
④ 색을 관찰한다.
▶ 실험결과
청자색에서 자색으로 변함
▶ 고찰
뷰렛반응은 단백질이나 펩타이드를 검출하는 실험이다. 뷰렛구조가 2가의 구리 이온과 반응하여 보라색의 착화합물을 형성하여 용액의 색깔이 보라색으로 변하는 특성을 이용한다. 여기서 사용한 0.3%의 albumin시료는 보라색으로 변하였으므로 뷰렛반응을 통해 단백질임을 확인할 수 있다.
▶ 참고문헌
http://www.jagemann-net.de/index.php?section=naturstoffe12lk
▶ 시약 및 기구
< 시료 >
- 0.1% cysteine
- 0.1% glycine
- 0.1% cystine
- 0.1% methionine
- 1% albumin
< 시약 및 기구 >
- 2% sodium nitroprusside
- 2N ammonia water
- 5% NaCN
- (NH4)2SO4
- pipette
- tip
- 렉 등
▶ 실험방법
① test tube에 시료 2ml과 nitroprusside solution 0.5ml을 넣고 섞는다.
② 여기에 ammonia water 2~3방울을 떨어뜨린다.
③ 잘 섞고 색을 관찰한다.
④ test tube에 2ml의 cysteine을 넣고 ammonia water 5방울을 넣는다.
⑤ 여기에 5방울의 NaCN을 넣는다.
⑥ 1분간 방치해두었다가 1ml의 nitroprusside을 넣는다.
⑦ 색을 관찰한다.
▶ 실험결과
glycine, cystine, methionine, albumin
→ 변화없음
cysteine → 암자색으로 변함
▶ 고찰
SH기를 가진 화합물은 알칼리의 존재 하에서 붉은 화합물을 형성한다. cysteine은 SH기를 가지고 있고, glycine는 SH기를 가지고 있지 않고, cystine, methionine은 S그룹만 가지고 있다. 실험결과, SH기를 가지고 있는 cysteine만 암자색으로 변하였고, glycine, cystine, methionine, albumin은 변화가 없었다.
(4) 뷰렛반응
▶ 실험 목적
정색반응(Biuret반응)을 통하여 peptide결합(-CO NH-)의 유무를 알기 위해 사용된다.
▶ 실험 원리
뷰렛반응 시약 속에는 Cu2+이 들어 있기 때문에 푸른색을 띤다. 시약이 단백질과 만나면 보라색으로 색이 변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단백질의 검출에 사용한다. 색이 변하는 것은 단백질의 펩티드 결합(=아미드 결합)이 Cu2+와 반응하여 보라색의 착화합물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 시약 및 기구
< 시료 >
- 0.3% albumin
< 시약 및 기구 >
- 40% NaOH
- 1% CuSO4
- H2O
- 저울
- test tube
- pipette
- tip
- 렉 등
▶ 실험방법
① tube를 준비하고 sample을 각각 2ml씩 넣는다.
② 40% NaOH 2ml를 넣어 알칼리성으로 만든다.
③ 1% CuSO4 1~2drop 떨어뜨린다.
④ 색을 관찰한다.
▶ 실험결과
청자색에서 자색으로 변함
▶ 고찰
뷰렛반응은 단백질이나 펩타이드를 검출하는 실험이다. 뷰렛구조가 2가의 구리 이온과 반응하여 보라색의 착화합물을 형성하여 용액의 색깔이 보라색으로 변하는 특성을 이용한다. 여기서 사용한 0.3%의 albumin시료는 보라색으로 변하였으므로 뷰렛반응을 통해 단백질임을 확인할 수 있다.
▶ 참고문헌
http://www.jagemann-net.de/index.php?section=naturstoffe12lk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