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문제제기
II. 이론적 배경
1. 지속이론(Continuity Theory)
2. 라이프스타일
3. 노인과 인터넷
1) 노인의 인터넷 이용실태
2) 노인의 인터넷 이용에 대한 긍정적 효과
III. 연구방법
1.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2. 조사 도구
3. 분석 방법
IV. 연구결과
1. 조사 응답자의 일반적 특징
2. 인터넷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 유형
3. 인터넷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인터넷 사용행태
4. 인터넷 비사용자의 향후 사용 의도 분석
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II. 이론적 배경
1. 지속이론(Continuity Theory)
2. 라이프스타일
3. 노인과 인터넷
1) 노인의 인터넷 이용실태
2) 노인의 인터넷 이용에 대한 긍정적 효과
III. 연구방법
1.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2. 조사 도구
3. 분석 방법
IV. 연구결과
1. 조사 응답자의 일반적 특징
2. 인터넷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 유형
3. 인터넷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인터넷 사용행태
4. 인터넷 비사용자의 향후 사용 의도 분석
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본문내용
전략을 가지고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본 연구는 인터넷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초기 연구이기 때문에 이론적 근거와 기존 연구가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보다 일반화할 수 있는 조사를 수행하고 다양한 변수를 고려하는 정교한 모델과 방법론을 도입함으로써 보다 풍부하고 전략적 시사점이 많은 연구를 수행하여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구자순(2002),『노인과 인터넷 문화』, 한국노인과학학술단체연합회.
김나민(2001), \"우리나라 인터넷 이용자의 시장 세분화 연구\", 연세대 대학원 경영학과 석사학위 논문.
김재휘·김지호·신상화(2002), \"노인들의 인터넷 이용에 관한 연구\",「사회과학연구」제14집, 67-91.
김혜경(2002),『노인정보화 교육의 실태 및 문제점』, 한국노인과학학술단체연합회.
김훈·권순일(1999), \"인터넷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과 구매의사결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경영학연구」, 제28권 제 2호.
손연기(2000), \"노인복지에 있어서 정보화의 역할\",「노인복지연구」, 8(여름), 7-29.
송원영·이명희(2001), \"인터넷 쇼핑에서의 의복구매행동과 라이프스타일과의 관계 연구 - 인터넷 이용자를 중심으로 -\", 복식문화 연구기술 연합회.
안미리(2001), \"디지털 디바이드 해소를 위한 노인 정보화교육과 사이버 문화의 확산-세대간의 차이와 정보소외 경험을 중심으로-\",「한국사회이론학회」, 2001년 봄·여름, 147-172.
이금룡(2002), \"한국노인의 사회활동: 노년기 여가활동과 자원봉사활동을 중심으로\",「한국성인교육학회」, Vol.5 No.2, 1-22.
______(2004),『한국 사회 노년기 연령규범과 사회활동에 관한 사회학적 고찰』, 성곡 논총.
이신숙(1999), \"노인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생활실태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석사학위 논문.
이학식 외(2002),『소비자행동-마케팅전략적 접근』, 법문사.
유성호·김형수·모선희·윤경아(2002),『노인복지론』, 아시아미디어리서치
전중옥·이상원·박재관(2002),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인터넷 광고의 효과 연구\",「마케팅관리연구」, 제7권 제2호.
조전근·김화동(2001),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광고정보탐색활동에 관한 연구\",「한국광고학보」, 제3권 제1호, 35-61.
한국인터넷 정보센터(2000), 인터넷 이용자 수 및 이용 행태에 관한 설문조사 및 결과 보고서.
___________________(2002), 인터넷이용자수 설문조사 결과보고서.
___________________(2003), 인터넷 이용자 수 및 이용 행태에 관한 설문조사 및 결과 보고서.
한국전산원(2001), 취약계층의 컨텐츠 이용실태 및 지원방안 연구.
홍명신(2003), \"노인의 인터넷 이용에 관한 연구: 초기 노인을 중심으로\",「한국노년학회지」, Vol. 23 No. 2, 187-203.
채서일(1992), \"체계적 분석의 틀에 따른 라이프스타일 연구\", 소비자학연구.
채정숙(1999), \"PC통신서비스 이용자의 라이프스타일 특성에 관한 연구\",「사회과학연구」, 113-142.
Atchley Rbert C.(2000), Social Forces and Aging(9th), Wadsworth.
Assael, H.(1983), Consumer Behavior and Marketing Action(2nd ed.), Boston: Kent Pub. Co..
Erikson, E. H.(1963), Childhood and society(2nd ed), NewYork: Norton.
Furlong, M. S(1989), An eletronic community for older adults: The Senior Net network . Journal of Communication, 39(3), 145-153.
Gatz & A. Smyer(2001), Mental Health and Aging at the Outset of the Twenty-First Century, Handbook of the Psychology of Aging, Academic Press.
Gutmann D. L.(1974), Alternatives to disengagement: Aging among the highland Druze. In R. A. Levine (Ed.), Culture and personality: Contemporary readings, Chicago:Aldine.
Hooyman Nancy R. and H. Asuman Kiyak(1993), Social Gerontology, University of Washington.
Lazer, W.(1963), Life Style Concepts and Marketing, in S. A. Greyser(ed.), Toward Scientific Marketing, Chicago, IL: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140-149.
Neugarten, B., R. J. Havighurst and S. S. Tobin, in B. L. Neugarten(Ed.), Personality and patterns of aging in middle age and aging,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White et al.(1999), Surfing the Net in later life: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pilot study of computer use and quality of life, Journal of Applied Gerontology.
Wind, Y. and P. Green(1974), Some Conceptual Measurement and Analytic Problems in Life Style Research, in W. D. Wells(ed.), Life Style and Psychographics, Chicago, IL: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97-126.
한편 본 연구는 인터넷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초기 연구이기 때문에 이론적 근거와 기존 연구가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보다 일반화할 수 있는 조사를 수행하고 다양한 변수를 고려하는 정교한 모델과 방법론을 도입함으로써 보다 풍부하고 전략적 시사점이 많은 연구를 수행하여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구자순(2002),『노인과 인터넷 문화』, 한국노인과학학술단체연합회.
김나민(2001), \"우리나라 인터넷 이용자의 시장 세분화 연구\", 연세대 대학원 경영학과 석사학위 논문.
김재휘·김지호·신상화(2002), \"노인들의 인터넷 이용에 관한 연구\",「사회과학연구」제14집, 67-91.
김혜경(2002),『노인정보화 교육의 실태 및 문제점』, 한국노인과학학술단체연합회.
김훈·권순일(1999), \"인터넷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과 구매의사결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경영학연구」, 제28권 제 2호.
손연기(2000), \"노인복지에 있어서 정보화의 역할\",「노인복지연구」, 8(여름), 7-29.
송원영·이명희(2001), \"인터넷 쇼핑에서의 의복구매행동과 라이프스타일과의 관계 연구 - 인터넷 이용자를 중심으로 -\", 복식문화 연구기술 연합회.
안미리(2001), \"디지털 디바이드 해소를 위한 노인 정보화교육과 사이버 문화의 확산-세대간의 차이와 정보소외 경험을 중심으로-\",「한국사회이론학회」, 2001년 봄·여름, 147-172.
이금룡(2002), \"한국노인의 사회활동: 노년기 여가활동과 자원봉사활동을 중심으로\",「한국성인교육학회」, Vol.5 No.2, 1-22.
______(2004),『한국 사회 노년기 연령규범과 사회활동에 관한 사회학적 고찰』, 성곡 논총.
이신숙(1999), \"노인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생활실태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석사학위 논문.
이학식 외(2002),『소비자행동-마케팅전략적 접근』, 법문사.
유성호·김형수·모선희·윤경아(2002),『노인복지론』, 아시아미디어리서치
전중옥·이상원·박재관(2002),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인터넷 광고의 효과 연구\",「마케팅관리연구」, 제7권 제2호.
조전근·김화동(2001),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광고정보탐색활동에 관한 연구\",「한국광고학보」, 제3권 제1호, 35-61.
한국인터넷 정보센터(2000), 인터넷 이용자 수 및 이용 행태에 관한 설문조사 및 결과 보고서.
___________________(2002), 인터넷이용자수 설문조사 결과보고서.
___________________(2003), 인터넷 이용자 수 및 이용 행태에 관한 설문조사 및 결과 보고서.
한국전산원(2001), 취약계층의 컨텐츠 이용실태 및 지원방안 연구.
홍명신(2003), \"노인의 인터넷 이용에 관한 연구: 초기 노인을 중심으로\",「한국노년학회지」, Vol. 23 No. 2, 187-203.
채서일(1992), \"체계적 분석의 틀에 따른 라이프스타일 연구\", 소비자학연구.
채정숙(1999), \"PC통신서비스 이용자의 라이프스타일 특성에 관한 연구\",「사회과학연구」, 113-142.
Atchley Rbert C.(2000), Social Forces and Aging(9th), Wadsworth.
Assael, H.(1983), Consumer Behavior and Marketing Action(2nd ed.), Boston: Kent Pub. Co..
Erikson, E. H.(1963), Childhood and society(2nd ed), NewYork: Norton.
Furlong, M. S(1989), An eletronic community for older adults: The Senior Net network . Journal of Communication, 39(3), 145-153.
Gatz & A. Smyer(2001), Mental Health and Aging at the Outset of the Twenty-First Century, Handbook of the Psychology of Aging, Academic Press.
Gutmann D. L.(1974), Alternatives to disengagement: Aging among the highland Druze. In R. A. Levine (Ed.), Culture and personality: Contemporary readings, Chicago:Aldine.
Hooyman Nancy R. and H. Asuman Kiyak(1993), Social Gerontology, University of Washington.
Lazer, W.(1963), Life Style Concepts and Marketing, in S. A. Greyser(ed.), Toward Scientific Marketing, Chicago, IL: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140-149.
Neugarten, B., R. J. Havighurst and S. S. Tobin, in B. L. Neugarten(Ed.), Personality and patterns of aging in middle age and aging,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White et al.(1999), Surfing the Net in later life: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pilot study of computer use and quality of life, Journal of Applied Gerontology.
Wind, Y. and P. Green(1974), Some Conceptual Measurement and Analytic Problems in Life Style Research, in W. D. Wells(ed.), Life Style and Psychographics, Chicago, IL: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97-126.
추천자료
[노인문제 레포트] 현대사회와 노인문제
우리나라 치매노인을 위한 노인복지 정책과제
미국 지방자치단체 노인복지정책 실태와 한국 노인복지정책의 시사점
현대사회의 노인문제, 노인 복지
노인부양의 의미와 여성의 노인부양부담 완화를 위한 성인지적 정책과제
생활체육의 참여실태와 활성화방안 - 생활체육의 목표와 역할, 참가정도, 참여 효과와 실태, ...
현대사회의 노인문제와 노인복지정책의 방향
인구고령화에 의한 노인문제와 그에 따른 노인복지정책
노인의료비 증가 추이 분석 및 노인의료비 경감 대책
[노인복지] 노인의 특성과 복지 정책
[노인복지론] 노인문제의 원인과 문제점 및 대책방안
인터넷 윤리 인터넷 강의 레포트 입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