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리말
2. 지난 30년간의 석유위기와 유가변동
3. 국제석유시장의 정치경제학
4. 미국의 국가에너지계획과 이라크의 석유자원
5. 향후 석유산업 재편 전망
6. 맺는 말
2. 지난 30년간의 석유위기와 유가변동
3. 국제석유시장의 정치경제학
4. 미국의 국가에너지계획과 이라크의 석유자원
5. 향후 석유산업 재편 전망
6. 맺는 말
본문내용
주축을 이루는 석유메이저들이 주도하고 있다. 이들은 서로가 필요로 하는 것을 주고받을 수 있는 입장에 있다. 석유메이저들은 중동 산유국에서 직접 원유를 개발하고 싶지만 자원국유화 이후 이것이 여의치 않게 되었다. 한편 OPEC은 두 차례에 걸친 세계적 오일쇼크와 유가 폭등 이후 축소된 시장점점유율을 아직까지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석유메이저와의 협력을 통해 대규모 석유개발투자자본과 안정적인 판매처를 확보할 수 있다면 OPEC 으로서는 대찬성일 것이다. 앞으로 이라크의 증산 노력이 계속되고 러시아와 카스피해 연안등의 유전에서 산유량이 증가하게 되면 유가가 약세로 반전될 위험이 있다. 석유메이저들은 이 기회를 이용하여 중동 진출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게 될 것이다.
이라크의 석유증산을 위한 서방의 투자가 활성화되면 원유생산량이 향후 8년 이내에 600만-800만 배럴로 급증할 것으로 예상하기도 한다. 이라크의 증산은 OPEC의 결속력을 급격히 약화시키게 될 것이다. 미국은 이라크 석유산업의 민영화를 추진할 가능성이 높고 이 경우 미국과 영국의 석유메이저와 OPEC 산유국 석유회사들이 손을 잡고 새로운 국제석유질서를 창출해 낼 것이라는 예상도 가능하다.
6. 맺는 말
우리나라는 에너지자원이 빈약하여 무연탄이 국내에서 생산되는 유일한 화석연료이며 그 매장량도 보잘 것 없다. 1962년에 제1차 경제개발5개년계획을 시작한 이후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이룩해 왔으나 그와 함께 에너지의 대외의존도는 심화되어 왔고 원유수입을 위한 외화지출의 부담도 크게 증가하였다. 2002년 현재 우리나라의 에너지소비는 세계 10위, 석유소비는 5위, 석유수입은 세계 4위이고, 1차에너지 소비중 석유의 비중은 49 퍼센트, 에너지 해외의존도는 97.3 퍼센트, 원유의 중동의존도는 73.4 퍼센트이다.
이와 같이 에너지의 해외의존도와 석유의 중동의존도가 높은 상황에서 중동산 원유공급의 차질은 우리 경제에 심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미국의 이라크 진출이 본격화됨에 따라 겉으로는 중동 정세가 안정된 것처럼 보이나 이 지역에서 반미감정이 고조되고 테러 발생이 장기화된다면 이 지역이 세계 평화질서를 깨는 새로운 불씨를 제공할 수도 있다. 우리는 이에 대비하여 석유비축을 늘리고 에너지절약, 대체에너지로의 전환, 해외석유개발수입 확대 및 산유국과의 자원외교 강화 등 에너지안보를 강화하는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라크의 석유증산을 위한 서방의 투자가 활성화되면 원유생산량이 향후 8년 이내에 600만-800만 배럴로 급증할 것으로 예상하기도 한다. 이라크의 증산은 OPEC의 결속력을 급격히 약화시키게 될 것이다. 미국은 이라크 석유산업의 민영화를 추진할 가능성이 높고 이 경우 미국과 영국의 석유메이저와 OPEC 산유국 석유회사들이 손을 잡고 새로운 국제석유질서를 창출해 낼 것이라는 예상도 가능하다.
6. 맺는 말
우리나라는 에너지자원이 빈약하여 무연탄이 국내에서 생산되는 유일한 화석연료이며 그 매장량도 보잘 것 없다. 1962년에 제1차 경제개발5개년계획을 시작한 이후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이룩해 왔으나 그와 함께 에너지의 대외의존도는 심화되어 왔고 원유수입을 위한 외화지출의 부담도 크게 증가하였다. 2002년 현재 우리나라의 에너지소비는 세계 10위, 석유소비는 5위, 석유수입은 세계 4위이고, 1차에너지 소비중 석유의 비중은 49 퍼센트, 에너지 해외의존도는 97.3 퍼센트, 원유의 중동의존도는 73.4 퍼센트이다.
이와 같이 에너지의 해외의존도와 석유의 중동의존도가 높은 상황에서 중동산 원유공급의 차질은 우리 경제에 심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미국의 이라크 진출이 본격화됨에 따라 겉으로는 중동 정세가 안정된 것처럼 보이나 이 지역에서 반미감정이 고조되고 테러 발생이 장기화된다면 이 지역이 세계 평화질서를 깨는 새로운 불씨를 제공할 수도 있다. 우리는 이에 대비하여 석유비축을 늘리고 에너지절약, 대체에너지로의 전환, 해외석유개발수입 확대 및 산유국과의 자원외교 강화 등 에너지안보를 강화하는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다.
추천자료
이라크 전쟁 작전명의 의미
이라크 전쟁에 대하여
한국전쟁 원인의 국제정치적 재해석(스탈린의 롤백이론)
언론 보도의 현 주소-이라크 전쟁 보도를 통해서 본 언론의 현실왜곡
화씨 911을 보고 이라크 전쟁에 대한 생각을 새로운 시나리오로 구성(영작)
911 테러이후 이라크 전쟁까지...
아편전쟁의 국제사회와 일본
[근현대한일관계와국제사회]청일전쟁과 러일전쟁이 미친 한일관계의 분석
[헤겔][라이프니츠][마르크스][윤리학][미학]헤겔의 생애, 헤겔의 의지, 헤겔의 윤리학, 헤겔...
2008년 1학기 근현대한일관계와국제사회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청일,러일전쟁)
이라크 전쟁시 미3사단의 작전분석
[경영(經營)의 초국적화] 경제전쟁, 세계경제의 3대 추세(지구화, 상호주의, 지역화), 국제기...
환율이 국제무역에 미치는 영향-중미 환율전쟁 발생원인,마샬-러너 조건,환율과 무역의 상관...
국제國際 테러리즘과 대리전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