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2호에서는 우리별 1호 운영중에 발 견된 미비점을 개선보완하고 가능한 많은 국산부품을 사용하였으며 국내 기술진의 힘으로 제작 하였다. 그리고 보다 많은 장비를 탑재하여 우주에서 여러 가지 실험을 실시하며 지상에서 원격 운용을 시험하였다. 이들 두 과학실험 위성은 크기도 작고 기능도 상업용 위성에 비해 보잘 것 없다하더라도 황금알을 낳는 우주 산업의 주역이 인공 위성이라고 볼때, 위성을 한번 제작해 보고 운영해 본다는 의미와 위성 연구 인력을 집단적으로 양성한다는 측면에서 우리별의 성공적인 발사는 충분히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1995년 8월 5일 국내 최초로 상업용 방송통신 위성인 무궁화호가 성공적으로 발사되었다. 이로서 우리나라는 세계 23번째 위성 보유국이 되었으며, 우리의 주권을 하늘의 영역까지 연 장하였다. 무궁화 위성의 발사는 우주 경쟁에 본격적인 참여를 의미하며, 비로소 우리도 우주 산 업을 시작하는 계기가 되었다. 우리는 이미 두 차례의 인공 위성을 발사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궁화호의 발사에 더 큰 의미를 부여하며, 위성보유국이란 용어도 이제 사용 하고 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1992년과 93년에 발사된 우리별 1, 2호는 과학 실험 위성이다. 과학 위성에 '실험'자 하나가 더붙은 셈이다. 과학 위성은 상업용 위성보다 한 단계 낮은 수준의 순수한 탐사나 관측을 위한 과학 연 구용 위성이다. 더구나 실험 위성은 추후 정식 위성을 발사하기 위하여 연습삼아 한번 발사하여 운영을 시험하는 위성을 말한다. 이미 수많은 위성을 소유한 국가에서 실험 위성이 정부 주도가 아닌 학교나 연구소 단독으로 그것도 수시로 발사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는 것이다. 한편, 방송 위 성이나 통신 위성은 활용도가 높은 상업 위성인 동시에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우주산업의 총체이다. 따라서 국민의 실생활과 산업 전반에 걸쳐 그 파급 효과는 매우 크다 하겠다. 무궁화 위성이 본격적으로 상용 서비스가 시작되는 96년 하반기부터 우리의 생활 패턴과 삶의 질 에 큰 변화가 올 것이다. 무궁화 위성에는 12개의 통신용 중계기와 3개의 방송용 중계기가 탑재 되었다. 방송용 중계기는 한 중계기당 4개 채널이 개설, 모두 12개 채널의 새로운 위성방송이 가능하다. 위성방송은 난시청 지역없이 전국 어디서나 선명한 화질의 TV시청이 가능하고, 고음질의 입체 음향과 최대 3개 언어의 다중방송을 가능게한다. 또한 방송국에서 다양한 데이터를 송출하 면 가정에서 PC를 통해 뉴미디어 방송도 가능하다. 통신 서비스로는 비디오 중계, 뉴스현장 중계 (SNG), 케이블TV 중계(분배망), 위성 기업통신망 사업 등을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위성 이동전화 등 고품질의 첨단 통신 서비스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언제 어디서나 화상회의, 원격교육, 원격의료 등 국민 복지 통신 서비스가 가능해진다. 이밖에 태풍이나 지진 등 천재에 의한 지상 통 신망 장애와 상관없이 긴급 통신망을 구축할 수 있으며, 지상 통신이 어려운 도서산간 지역 통 신용으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추천자료
좋은광고의 나쁜광고의 선정 및 비교분석
두 신문사의 열흘간 헤드라인 비교ㆍ분석-언론과 사회(주제:태풍매미)
교회사회사업 과 일반사회사업 의 비교분석
한국과 일본의 원조교제 비교분석
전북권 대기오염도 조사와 비교분석
프로이드와 에릭슨 이론의 비교분석 - 프로이드 심리성적 발달이론,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
맥도날드와 롯데리아 마케팅 비교분석
[문헌정보학]검색엔진 비교분석
소셜미디어- 국내 마이크로블로그 서비스 비교분석 및 마케팅 활용 고려점과 사례
우리나라와 미국의 사회복지사 윤리강령 비교분석 - 유사점과 차이점
국내외의 보육정책을 조사하여 비교분석하기
도쿄 디즈니랜드와 유로 디즈니랜드의 비교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