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의 시장동향과 한국의 진출전략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브라질의 시장동향과 한국의 진출전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국가개요

2.일반사항

3.경제지표 및 전망

4.시장특성

5.진출방안

6.유의사항

7.기업사례

8.시장진출의 의미

본문내용

신제품 출시 전에 고급백화점을 중심으로 사전 제품홍보를 추진하는 것도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제품전략
삼성은 1996년 현지투자진출 이래 일반제품보다는 첨단기술을 요하는 고품질.고가제품시장 진출 전략을 일관성 있게 추진해왔다. 이는 브라질시장이 고가시장과 중저가시장으로 크게 양분되어 있고 첨단제품의 경우 안정적인 시장형성이 가능하며 자사 제품특성을 고려할 때 고가제품 시장진출이 바람직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LCD 모니터의 제품전략도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첨단디자인을 이용한 신제품 출시를 통하여 고소득층을 겨냥한 첨단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제품생산 라인도 15,17,18,19,21,24 인찌를 모두 포함한 Full line-up체제를 구축했으며 가장 많이 생산되고 있는 제품은 현지수요가 많은 15인찌 제품이다.
유통전략
유통전략 역시 고가 첨단제품 취급 유통망을 통해 추진하고 있다. 즉, 첨단제품을 주로 취급하는 토탈서비스제공업체(VAR)와 고급제품을 주로 취급하는 전자제품전문점을 통해 제품공급이 이루워지고 있다.
■ 의의
삼성은 LG와 함께 일반 브라운관을 브라질에 생산한 이후 2년 만에 브라질시장에서 최대 공급업체로 부상했으며 LCD 모니터의 경우도 2년 만에 최대 공급업체로 부상했다.
브라질의 LCD 모니터 시장이 최근 급성장세를 보이고 있고 첨단고가제품시장을 중심으로 한국제품에 대한 이미지가 높아지고 있어 한국제품의 시장확대가 유력시되고 있다
8.시장진출의 의미
브라질로의 진출은 중남미 교두보 확보라는 측면과 이제 지구상에 얼마 남아있지 않은 자원 공급국의 확보라는 점에서 중요한 과제이다. 게다가 현재 남미공동시장 Mercosur의 리더로서 그리고 2005년 창설예정인 미주자유무역지대 FTAA의 남미 선두 국가로서 브라질의 위상은 점차 높아만 가고 있다. 이러한 상황속에서 브라질 진출은 21세기 글로벌 시대의 우리 기업에겐 선택이 아닌 생존을 위한 필수요건이 될 것이다.
※참고자료 및 자료출처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홈페이지 www.kotra.co.kr
-한국무역협회 홈페이지 www.kita.net
-브라질 문화센터 www.brazilcenter.co.kr
-한국 수출입은행 www.koreaexim.go.kr
-삼성경제연구소 www.seri.org
-야후경제사전 www.kr.ecodic.yahoo.com
-주브라질 대사관 www.mofat.go.kr/brazil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10.26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73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