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의상의 역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극의 상황 설정

2) 극의 스타일 설정

3) 배우의 성격창조

4) 작품의 이해의 시각적 역할

영화 미이라2 속 패션

고대이집트의 복식

<참고자료>

본문내용

태이므로 활동이 불편하였을 것이다. 신왕국시대에 와서는 활동하기에 편하도록 오른쪽 어깨부분을 없애고 왼쪽 어깨만 걸치도록 변형된 것도 있었다. 이와 같이 좁은 튜닉 외에 블라우스처럼 상의로 입은 짧고 넓은 튜닉이 있는데 축제 때 왕족이 입었다. 주로 흰색 튜닉으로 만들어 입었다.
(2) 머리 장식
남녀 모두 짧게 깎거나 삭발한 후 가발을 썼다. 가발은 종교적인 의미의 청결과 기후 조건에 의해서 생겨났다. 초기의 가발은 각이 지고 길이가 짧은 단발형이던 것이 후기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고 길이가 길어졌다. 신왕국 이후의 것은 가발에 금, 구슬, 리본, 꽃 등으로 장식하였다. 가발의 색은 대부분이 검정색이고 짙은 청색이나 황금색으로 물들이기도 하였다.
잘 보일 지는 모르겠지만 싸우고 있는 두 여자 뒤에 건장하게 서있는 두 남자의 머리위에 검은 수건 같은 것을 뒤집어쓰고 있는 것이 보일 것이다. 이것이 커치프라는 것이다. 이집트인들은 가발 외에도 빳빳한 헝겊으로 만든 머리수건을 접어 얹는 풍습도 있었다.
(3) 신발
이집트인들은 실내에서는 맨발이었고 외출시에는 신을 신었다. 그러나 일반 하층민들은 외출시에도 신을 신지 않았다. 더운 기후와 사막과 하천과 같은 환경에서는 매우 간단한 형태의 샌들이 필요하였다. 지위가 높은 사람은 끈은 황금으로 장식한 형태였다. 앞창이 활과 같이 굽어 있는 것은 왕족용이며 일반인의 것은 앞창이 평평하다.
신발을 만드는 재료는 나일강변에서 생장하고 있는 파피루스라는 풀과 종려잎사귀 또는 가죽이었다. 신발은 다른 장신구가 발전한 것에 비하면 늦은 편이었다.
(4) 장신구
이 사진을 잘 보면 싸우고 있는 두 여자뿐만 아니라 구경하고 있는 귀족들 모두 어떤 문양인지는 잘 보이지는 않지만 목걸이, 팔지 등 장신구를 많이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집트의 장신구는 그들의 종교요소로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장신구의 재료는 광범위하며 양도 풍부하였는데 청동과 강철은 왕조초기부터 사용하였다. 중왕국시대에는 황금, 보석, 유리, 점토에 이르기까지 자연계의 모든 재료를 비교적 간단히 가공해서 보기 좋은 장식품으로 만들었다.
지금까지 영화 「미이라2」를 통하여 이집트 복식을 알아보았다. 영화 속 패션에 대해 조사해 보라는 과제를 받았을 때 이집트 복식에 대해 조사하고 싶어 이 영화를 골랐었다.
그런데 이 영화는 그리 오랫동안 이집트 복식이 나오지 않아 많이 아쉬웠다.
그래서 이집트 복식을 관찰하기 위해서 같은 장면을 돌려 보아야했다.
이번 과제를 통하여 무심코 지나쳐 왔던 영화 속 패션을 좀더 확실히 알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영화 속의 시대 , 그 역에 맡는 성격에 따라 옷이 다르게 입혀지고 다른 느낌으로 전달된다는 것을 다시 한번 깨달았다.
<참고자료>
이정옥, 최영옥, 최경순(1992. 8) “서양복식사”, 서울:형설출판사
정흥숙(1997. 3) “서양복식문화사”, 서울:교문사
백영자, 류효순(1991. 2) “서양복식문화사”, 서울:경춘사
영화:미이라2
http://www.movist.com (영화사진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11.05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75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