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호흡이 맞지 않으면 피작업자는 방사선을 피폭 당할 수 있고, 방사선 피폭을 당하면 목숨에도 위험을 줄만한 작업이다. 이렇듯 항상 모든 작업에는 안전이 우선이다. 이번 실험을 하면서도 약간은 불안했다. 군대에 있던 X-RAY장비와 매우 달랐기 때문이다. 군대에서는 큰 건물안에서 사방으로 납 차폐막이 매우 두껍게 둘러싸져 있었으며, X-RAY를 촬영할 때는 매우 까다롭게 절차를 진행하였다. 하지만, 실습실에 X-RAY장비는 좀 허술해 보였다. 하지만 장비의 내부구조를 설명을 듣고, 직접 장비 내부를 보니 두껍게 납 차폐막이 둘러쌓여져 있어X-RAY선을 차폐하기 때문에 매우 안전하다고 느꼈고, 안전성에 대해서 설명을 들었다.
이 방사선 검사의 좋은점은 작업자가 단순 작업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시험편과 X-RAY 발생기와 직선을 이루도록 시험을 보정하고, 시편에 두께에 따른 전압을 맞춰놓고, 수분을 기다리면 작업은 완료되는 것이다. 하지만, 단순 작업이라 할지라도 현상만큼은 매우 고난이도의 기술을 요하는 것 같다. 촬영을 아무리 잘한다고 하여도, 현상과정에서 매우 흐리거나 매우 검게(필름이 타버리는 현상) 나와버리면 아무런 소용이 없는 것이다.
이렇듯 촬영과정도 매우 중요하지만, 현상과정도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바로 필름판독과 연결되는 전 작업이므로, 현상은 매우 심혈을 기울여서 작업을 해야한다. 만약에 현상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내부 수축공이라든지 헤어크랙등 아주 미세한 균열등을 지나칠 수 있으므로, 현상과정에서 만큼은 숙련자의 작업을 요해야 할 것 같다. 나는 현상과정에서 매우 큰 실수를 한 적이 있어서 그런지 이번 현상에도 쉽게 참여하지를 못하였다. 그 점이 매우 아쉬운 부분이었지만, 다음에 만약 기회가 생긴다면 다시 도전해보고 싶다. 하지만, 방사선 검사를 하면서 매번 느끼는 거지만, X-RAY 발생기의 내부구조는 정확히 어떻게 생겼는지, 전압 KV와 투과력과는 얼마나 비례하는지등을 정확히 구분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것 같다. 그리고 또한, X-RAY를 발생시키는 선원에서 시편간의 거리를 어떻게 측정을 하는것이며, 그 기준은 무엇인지도 궁금하고, 산란 정도는 얼마정되 되는지 눈으로 직접 보고 싶은 부분이지만, 매우 위험한 것이라 볼 수 없다는 점이 매우 궁금하다. 만약에 N.D.T 분야가 많은 발전을 한다면 X-RAY선원에서 발생되는 X선을 눈으로 볼 수 있는 그런 날이 빨리 왔으면 좋겠다.
이 방사선 검사의 좋은점은 작업자가 단순 작업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시험편과 X-RAY 발생기와 직선을 이루도록 시험을 보정하고, 시편에 두께에 따른 전압을 맞춰놓고, 수분을 기다리면 작업은 완료되는 것이다. 하지만, 단순 작업이라 할지라도 현상만큼은 매우 고난이도의 기술을 요하는 것 같다. 촬영을 아무리 잘한다고 하여도, 현상과정에서 매우 흐리거나 매우 검게(필름이 타버리는 현상) 나와버리면 아무런 소용이 없는 것이다.
이렇듯 촬영과정도 매우 중요하지만, 현상과정도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바로 필름판독과 연결되는 전 작업이므로, 현상은 매우 심혈을 기울여서 작업을 해야한다. 만약에 현상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내부 수축공이라든지 헤어크랙등 아주 미세한 균열등을 지나칠 수 있으므로, 현상과정에서 만큼은 숙련자의 작업을 요해야 할 것 같다. 나는 현상과정에서 매우 큰 실수를 한 적이 있어서 그런지 이번 현상에도 쉽게 참여하지를 못하였다. 그 점이 매우 아쉬운 부분이었지만, 다음에 만약 기회가 생긴다면 다시 도전해보고 싶다. 하지만, 방사선 검사를 하면서 매번 느끼는 거지만, X-RAY 발생기의 내부구조는 정확히 어떻게 생겼는지, 전압 KV와 투과력과는 얼마나 비례하는지등을 정확히 구분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것 같다. 그리고 또한, X-RAY를 발생시키는 선원에서 시편간의 거리를 어떻게 측정을 하는것이며, 그 기준은 무엇인지도 궁금하고, 산란 정도는 얼마정되 되는지 눈으로 직접 보고 싶은 부분이지만, 매우 위험한 것이라 볼 수 없다는 점이 매우 궁금하다. 만약에 N.D.T 분야가 많은 발전을 한다면 X-RAY선원에서 발생되는 X선을 눈으로 볼 수 있는 그런 날이 빨리 왔으면 좋겠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