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혈관조영의 일반적 기술
1) 혈관조영술의 역사
2)혈관조영술의 적용
3)혈관 조영술의 방법
4) 혈관 조영법
5) 반전기법
제 2 장
1. 혈관진단용 X선 장치의 특성 및 부속기구
2. DSA 촬영장치
3. 혈관조영 부속기구
4. 조영제와 합병증
제 3 장
심장 및 폐혈관 조영술
1. 심장의 구조 및 진단법
2. 심장카테터법의 종류
3. 심장혈관조영법
4. 검사 방법
5. 관상동맥 조영술
6. 관상동맥 협착의 중재적 시술
7. 폐혈관 조영술
제 4 장
뇌혈관 조영술
1. Transfemoral cerebral angiography ; TFCA
2. 검사 목적
3. 주요 뇌혈관질환
4. 대동맥궁 조영술
제 5 장
복부혈관 조영술
1. 복부대동맥 조영술
2. 복강동맥 조영술
4. 주요 간동맥 질환
5. 비동맥 조영술
6. 위동맥 조영술
7. 상장간막동맥 조영술
8. 하장간막동맥 조영술
9. 신동맥 조영술
10. 상 ․ 하대정맥 조영술
11. 문맥조영술
제 6 장
사지혈관계 조영술
1. 상지동맥 조영술
2. 하지동맥 조영술
3. 주요 하지혈관 질환
제 7 장
중재적 방사선학
1. 동맥 재개통술
2. 색전술
3. 신경계 중재적 시술
4. 비혈관계 중재적 시술
1) 혈관조영술의 역사
2)혈관조영술의 적용
3)혈관 조영술의 방법
4) 혈관 조영법
5) 반전기법
제 2 장
1. 혈관진단용 X선 장치의 특성 및 부속기구
2. DSA 촬영장치
3. 혈관조영 부속기구
4. 조영제와 합병증
제 3 장
심장 및 폐혈관 조영술
1. 심장의 구조 및 진단법
2. 심장카테터법의 종류
3. 심장혈관조영법
4. 검사 방법
5. 관상동맥 조영술
6. 관상동맥 협착의 중재적 시술
7. 폐혈관 조영술
제 4 장
뇌혈관 조영술
1. Transfemoral cerebral angiography ; TFCA
2. 검사 목적
3. 주요 뇌혈관질환
4. 대동맥궁 조영술
제 5 장
복부혈관 조영술
1. 복부대동맥 조영술
2. 복강동맥 조영술
4. 주요 간동맥 질환
5. 비동맥 조영술
6. 위동맥 조영술
7. 상장간막동맥 조영술
8. 하장간막동맥 조영술
9. 신동맥 조영술
10. 상 ․ 하대정맥 조영술
11. 문맥조영술
제 6 장
사지혈관계 조영술
1. 상지동맥 조영술
2. 하지동맥 조영술
3. 주요 하지혈관 질환
제 7 장
중재적 방사선학
1. 동맥 재개통술
2. 색전술
3. 신경계 중재적 시술
4. 비혈관계 중재적 시술
본문내용
A 등을 주입하여 혈전을 용해시켜 혈류의 재개통을 이루는 방법으로 혈관 협착이 동반된 경우에는 혈관확장술을 함께 시행한다.
4주 이내의 급성 동맥 혈전증에 적응증이며 정맥혈전에도 사용한다.
- 혈관조영술을 실시하여 혈전의 범위를 파악하고 catheter tip을 혈전 원위부보다 2~3cm 더 밀어 넣어 원위부 혈전과 혈전용해제의 접촉면을 넓게 한다. 혈전용해제인 urokinase를 생리식염수와 혼합하여 일정속도로 주사하며 혈전 용해 후 잔존협착이 있으면 풍선확장술이나 스텐트를 삽입한다.
혈전용해제를 이용한 혈전용해술은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용해제의 의한 부작용이 있어 근래에는 여러 가지 기구를 이용한 혈전제거술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기구는 혈전을 흡입, 제거하는 방식이며 빠른 시술시간이 장점이지만 혈액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2. 색전술
1) 색전물질
Gelform : 비 항원성의 젤라틴 성분으로써 간동맥, 신동맥, 상, 하지동맥, 위장관출혈 등에 다양하게 이용되는 색전물질로 폐색부위의 용도에 맞게 잘게 썰어서 조영제와 섞어 사용한다. 색전물질 중에 가장 많이 사용되며 비교적 장기적인 색전효과가 있다.
2) 간동맥 색전술 ; TACE
간암의 가장 좋은 치료방법은 외과적 수술이지만 환자의 대부분은 종양이 상당히 진행된 상태에서 진단되기 때문에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이러한 환자에게 간동맥 색전술은 매우 유용한 치료법으로 중재적 시술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간 실질은 간동맥에서 1/3, 문맥에서 2/3의 혈액을 공급받으며 이들은 동양혈관에서 하나로 합쳐진 다음 간정맥을 통해 IVC로 유입된다. 간암의 특징은 혈관분포가 풍부하고 문맥에서 공급받는 혈류는 없고 간동맥에서만 혈류를 공급받는다. 따라서 색전술로 간암으로 유입되는 간동맥을 차단하면 종양은 괴사되고 정상조직은 문맥으로부터의 혈류가 있어 간장 대사에 별다른 지장을 받지 않는다.
간 동맥 색전술은 항암제와 lipiodol울 함께 주입한 후 gelfoam 등의 색전물질을 이용하여 종양으로의 유입동맥을 색전시키면 항암제가 고농도로 장시간 종양에 체류된다.
- SMA조영을 실시하여 문맥의 폐쇄여부를 확인하고 간동맥조영술에서 종양의 위치와 크기, 종양으로의 유입혈관을 확인한다. 종양으로의 유입동맥은 micro catheter를 이용하여 superselective catheterization을 하는 것이 좋으며 catheter를 통해 항암제와 Lipiodol을 주입한다. 이후 gelfoam 등의 색전물질을 환자의 상태에 맞게 선택하여 종양으로의 유입동맥만 색전시킨다.
3) 신동맥 색전술
신종양의 수술전 처치, 외상으로 인한 출혈, 동정맥루, 동정맥 기형의 치료를 위해 시행한다. 색전술 전에 먼저 pigtail catheter를 사용하여 신동맥 2~3cm 상방에서 양측 신동맥을 촬영하여 병변부위를 확인하고 신종양인 경우는 또 다른 유입동맥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종양이나 다른 혈관이 있는 혈관에 선택적 도관삽입술을 하여 색전물질을 주입하거나 coil를 사용한다.
4) 정계정맥류 색전술
신정맥 혈류가 정소정맥으로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실시한다.
대퇴정맥이나 우측 내경정맥을 이용하여 시행한다. 정소정맥을 선택하여 catheter를 골반부위까지 삽입한다. 혈관의 직경 및 coil의 삽입부위를 결정하고 원위부에서부터 2~3개의 coil을 삽입시킨다.
3. 신경계 중재적 시술
1) 경동맥 스텐트 삽입술
경동맥 협착의 치료로 뇌허혈증이나 뇌경색의 예방 및 치료를 목적으로 시행한다.
시술 3일 전부터 항응고제를 사용한다. 혈관조영술을 통해 진단적 영상을 얻고 catheter를 총경동맥에 위치시킨 후 협착이 매우 심하면 풍선확장술 또는 스텐트를 설치한다.
2) 뇌동맥 색전술
뇌혈관 질환의 완전치유, 임상증상의 일시적 호전, 출혈의 경감을 위해 실시하며 대상질환은 동정맥기형, 뇌경막동정맥기형, 혈관종, 경동맥 해면정맥동류, 수막종, 혈관섬유종, 뇌출혈 등에 적용한다.
- 4 vessels angiography를 먼저 시행하여 병변의 위치, 크기, 그리고 병변으로 유입되는 동맥을 정확히 확인해야 한다. 종양으로의 유입 혈관을 접착력이 뛰어난 cyanoacrylate와 유용성 조영제인 Lipiodol을 혼합하여 말초혈관의 색전을 실시함으로써 완전 치유도 가능하다.
3) 급성 뇌경색의 동맥내 치료
뇌동맥을 막고 있는 혈전 내부에 직접 혈전용해제를 주입하여 혈전을 제거함으로써 경색 위험에 빠진 뇌조직의 혈류를 최대한 신속하게 재개통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뇌경색이 발생한지 6시간 이 내의 환자에게 대상으로 하며 혈관조영을 통한 폐색부위, Willis circle의 상태, 측부혈관의 발달 상태 등을 평가한다. 폐색이 의심되는 뇌혈관을 가장 먼저 검사하고 필요한 정보다 얻어지면 바로 혈전용해술을 시행한다.
4. 비혈관계 중재적 시술
1) 경피경간 담즙배액술 (PTBD)
담도폐쇄의 원인은 원발성 담관암, 담낭암, 췌장암, 팽대부 유두암, 간, 십이지장 인대 내 림프절 전이암 등과 담석으로 주로 발생한다. 담즙을 배액함으로써 합병증을 예방하고 황달로 인한 전신소양감, 담관염, 손상된 간기능을 회복시키고 환자의 전신상태 호전에도 좋은 효과를 보인다.
8시간 이상 금식하고 우측 액와중심선에서 8~10번째 Rib 사이로 천자하여 조영제 주입 검사를 한 후 담즙을 천천히 배액한다.
2) 담도관 스텐트 설치술
간, 담도계가 악성종양으로 폐쇄된 환자, 특히 총담관 폐쇄환자에서 담즙배설에 필요한 내경 확보가 목적이다.
PTBD를 시행하고 1주일 후 시행한다. PTBD 경로를 통하여 guide wire를 십이지장 하부까지 넣고 담관의 직경과 협착 길이를 고려하여 스텐트의 크기와 길이를 결정한다. 스텐트를 협착부위에 위치시키고 introducer를 제거하면서 스텐트를 협착부위에 정확히 위치시킨다.
3) 경피적 신루설치술
요관 폐쇄시 체외로의 배뇨를 위해 시행한다.
초음파로 유도하에 chiba needle로 신배를 천자하고 주사기로 요가 배설되는지 확인한다. 카테터를 삽입하여 외류법으로 배액시키거나 스텐트를 설치해 내류법으로 배액시킨다.
4주 이내의 급성 동맥 혈전증에 적응증이며 정맥혈전에도 사용한다.
- 혈관조영술을 실시하여 혈전의 범위를 파악하고 catheter tip을 혈전 원위부보다 2~3cm 더 밀어 넣어 원위부 혈전과 혈전용해제의 접촉면을 넓게 한다. 혈전용해제인 urokinase를 생리식염수와 혼합하여 일정속도로 주사하며 혈전 용해 후 잔존협착이 있으면 풍선확장술이나 스텐트를 삽입한다.
혈전용해제를 이용한 혈전용해술은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용해제의 의한 부작용이 있어 근래에는 여러 가지 기구를 이용한 혈전제거술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기구는 혈전을 흡입, 제거하는 방식이며 빠른 시술시간이 장점이지만 혈액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2. 색전술
1) 색전물질
Gelform : 비 항원성의 젤라틴 성분으로써 간동맥, 신동맥, 상, 하지동맥, 위장관출혈 등에 다양하게 이용되는 색전물질로 폐색부위의 용도에 맞게 잘게 썰어서 조영제와 섞어 사용한다. 색전물질 중에 가장 많이 사용되며 비교적 장기적인 색전효과가 있다.
2) 간동맥 색전술 ; TACE
간암의 가장 좋은 치료방법은 외과적 수술이지만 환자의 대부분은 종양이 상당히 진행된 상태에서 진단되기 때문에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이러한 환자에게 간동맥 색전술은 매우 유용한 치료법으로 중재적 시술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간 실질은 간동맥에서 1/3, 문맥에서 2/3의 혈액을 공급받으며 이들은 동양혈관에서 하나로 합쳐진 다음 간정맥을 통해 IVC로 유입된다. 간암의 특징은 혈관분포가 풍부하고 문맥에서 공급받는 혈류는 없고 간동맥에서만 혈류를 공급받는다. 따라서 색전술로 간암으로 유입되는 간동맥을 차단하면 종양은 괴사되고 정상조직은 문맥으로부터의 혈류가 있어 간장 대사에 별다른 지장을 받지 않는다.
간 동맥 색전술은 항암제와 lipiodol울 함께 주입한 후 gelfoam 등의 색전물질을 이용하여 종양으로의 유입동맥을 색전시키면 항암제가 고농도로 장시간 종양에 체류된다.
- SMA조영을 실시하여 문맥의 폐쇄여부를 확인하고 간동맥조영술에서 종양의 위치와 크기, 종양으로의 유입혈관을 확인한다. 종양으로의 유입동맥은 micro catheter를 이용하여 superselective catheterization을 하는 것이 좋으며 catheter를 통해 항암제와 Lipiodol을 주입한다. 이후 gelfoam 등의 색전물질을 환자의 상태에 맞게 선택하여 종양으로의 유입동맥만 색전시킨다.
3) 신동맥 색전술
신종양의 수술전 처치, 외상으로 인한 출혈, 동정맥루, 동정맥 기형의 치료를 위해 시행한다. 색전술 전에 먼저 pigtail catheter를 사용하여 신동맥 2~3cm 상방에서 양측 신동맥을 촬영하여 병변부위를 확인하고 신종양인 경우는 또 다른 유입동맥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종양이나 다른 혈관이 있는 혈관에 선택적 도관삽입술을 하여 색전물질을 주입하거나 coil를 사용한다.
4) 정계정맥류 색전술
신정맥 혈류가 정소정맥으로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실시한다.
대퇴정맥이나 우측 내경정맥을 이용하여 시행한다. 정소정맥을 선택하여 catheter를 골반부위까지 삽입한다. 혈관의 직경 및 coil의 삽입부위를 결정하고 원위부에서부터 2~3개의 coil을 삽입시킨다.
3. 신경계 중재적 시술
1) 경동맥 스텐트 삽입술
경동맥 협착의 치료로 뇌허혈증이나 뇌경색의 예방 및 치료를 목적으로 시행한다.
시술 3일 전부터 항응고제를 사용한다. 혈관조영술을 통해 진단적 영상을 얻고 catheter를 총경동맥에 위치시킨 후 협착이 매우 심하면 풍선확장술 또는 스텐트를 설치한다.
2) 뇌동맥 색전술
뇌혈관 질환의 완전치유, 임상증상의 일시적 호전, 출혈의 경감을 위해 실시하며 대상질환은 동정맥기형, 뇌경막동정맥기형, 혈관종, 경동맥 해면정맥동류, 수막종, 혈관섬유종, 뇌출혈 등에 적용한다.
- 4 vessels angiography를 먼저 시행하여 병변의 위치, 크기, 그리고 병변으로 유입되는 동맥을 정확히 확인해야 한다. 종양으로의 유입 혈관을 접착력이 뛰어난 cyanoacrylate와 유용성 조영제인 Lipiodol을 혼합하여 말초혈관의 색전을 실시함으로써 완전 치유도 가능하다.
3) 급성 뇌경색의 동맥내 치료
뇌동맥을 막고 있는 혈전 내부에 직접 혈전용해제를 주입하여 혈전을 제거함으로써 경색 위험에 빠진 뇌조직의 혈류를 최대한 신속하게 재개통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뇌경색이 발생한지 6시간 이 내의 환자에게 대상으로 하며 혈관조영을 통한 폐색부위, Willis circle의 상태, 측부혈관의 발달 상태 등을 평가한다. 폐색이 의심되는 뇌혈관을 가장 먼저 검사하고 필요한 정보다 얻어지면 바로 혈전용해술을 시행한다.
4. 비혈관계 중재적 시술
1) 경피경간 담즙배액술 (PTBD)
담도폐쇄의 원인은 원발성 담관암, 담낭암, 췌장암, 팽대부 유두암, 간, 십이지장 인대 내 림프절 전이암 등과 담석으로 주로 발생한다. 담즙을 배액함으로써 합병증을 예방하고 황달로 인한 전신소양감, 담관염, 손상된 간기능을 회복시키고 환자의 전신상태 호전에도 좋은 효과를 보인다.
8시간 이상 금식하고 우측 액와중심선에서 8~10번째 Rib 사이로 천자하여 조영제 주입 검사를 한 후 담즙을 천천히 배액한다.
2) 담도관 스텐트 설치술
간, 담도계가 악성종양으로 폐쇄된 환자, 특히 총담관 폐쇄환자에서 담즙배설에 필요한 내경 확보가 목적이다.
PTBD를 시행하고 1주일 후 시행한다. PTBD 경로를 통하여 guide wire를 십이지장 하부까지 넣고 담관의 직경과 협착 길이를 고려하여 스텐트의 크기와 길이를 결정한다. 스텐트를 협착부위에 위치시키고 introducer를 제거하면서 스텐트를 협착부위에 정확히 위치시킨다.
3) 경피적 신루설치술
요관 폐쇄시 체외로의 배뇨를 위해 시행한다.
초음파로 유도하에 chiba needle로 신배를 천자하고 주사기로 요가 배설되는지 확인한다. 카테터를 삽입하여 외류법으로 배액시키거나 스텐트를 설치해 내류법으로 배액시킨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