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9장 맥관계 건강문제와 간호
I. 구조와 기능
1. 맥관구조
2. 조직의 순환 요구
3. 모세혈관의 여과와 재흡수
4. 맥관계 혈류의 조절
5. 신경성 조절
6. 호르몬 및 화학적 조절
7. 혈류의 국소 조절기전
8. 혈관 운동 반사(vasomotor reflexes)
9. 정맥압에 영향을 주는 요인
II. 건강사정
1. 신체사정
1) 간호력
2) 시진
3) 촉진
4) 청진
2. 임상진단 방법
1) Doppler 초음파 혈류검사(Doppler Ultrasound Flow Studies)
2) 발목ㆍ팔 지수(ankle-brachial index; ABI)
3) 간헐정 파행증 검사(intermittent claudication)
4) 말초 박동 측정
5) 초음파 이중 스캔(ultrasonic duplex scanning)
6) 전산화 단층 촬영(computerized tomography; CT)
7) 자기공명 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8) 공기 혈량 측정법(air plethysmography)
9) 전기적 저항 혈량 측정법(impedence plethysmography; IPG)
10) 혈관내 초음파 검사
11) 방사선 동위원소 검사(isotope study)
12) 혈관조영술
13) 요부 교감신경 차단법
14) 정맥 조영술(contrast venography)
15) 맥관경 검사(vascular endoscopy; angioscopy)
III. 일반적 간호
1. 말초조직 관류의 증진
1) 체위
2) 혈관 확장의 증진 방법
3) 운동요법
2. 통증의 예방
I. 구조와 기능
1. 맥관구조
2. 조직의 순환 요구
3. 모세혈관의 여과와 재흡수
4. 맥관계 혈류의 조절
5. 신경성 조절
6. 호르몬 및 화학적 조절
7. 혈류의 국소 조절기전
8. 혈관 운동 반사(vasomotor reflexes)
9. 정맥압에 영향을 주는 요인
II. 건강사정
1. 신체사정
1) 간호력
2) 시진
3) 촉진
4) 청진
2. 임상진단 방법
1) Doppler 초음파 혈류검사(Doppler Ultrasound Flow Studies)
2) 발목ㆍ팔 지수(ankle-brachial index; ABI)
3) 간헐정 파행증 검사(intermittent claudication)
4) 말초 박동 측정
5) 초음파 이중 스캔(ultrasonic duplex scanning)
6) 전산화 단층 촬영(computerized tomography; CT)
7) 자기공명 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8) 공기 혈량 측정법(air plethysmography)
9) 전기적 저항 혈량 측정법(impedence plethysmography; IPG)
10) 혈관내 초음파 검사
11) 방사선 동위원소 검사(isotope study)
12) 혈관조영술
13) 요부 교감신경 차단법
14) 정맥 조영술(contrast venography)
15) 맥관경 검사(vascular endoscopy; angioscopy)
III. 일반적 간호
1. 말초조직 관류의 증진
1) 체위
2) 혈관 확장의 증진 방법
3) 운동요법
2. 통증의 예방
본문내용
머리를 15cm 정도 올린다. 정맥 부전의 경우 다리를 심장 높이 이상으로 올리고, 장기간 서 있거나 앉아 있는 자세를 피한다.
2) 혈관 확장의 증진 방법
(1) 보온
(2) 맥관 수축의 예방
(3) 약물 투여
(4) 내ㆍ외과적 중재 : 교감신경 절제술
(5) 혈관 폐색의 예방 : 콜레스테롤 제한 식이, 운동, 비만증의 조절. 아스피린이나 dipyridamole 및 dextran과 같은 혈소판 작용을 억제하는 약물은 혈관폐색을 예방하는데 도움. 헤파린과 같은 항응고요법. 공기 압박부츠 신기
3) 운동요법
- Buerger-Allen 운동 : 맥관질환자에게 좋은 운동. 다리의 궤양, 안정시 통증이 있는 환자, 봉와직염 환자, 심부 정맥혈전증 환자 및 괴저상태에는 금기
- 심부 정맥혈전증 환자에게는 절대 안정이 필요. 활동시 혈전으로 인한 색전증의 위험성이 크기 때문
2. 통증의 예방
측관술이나 보온, 적절한 체위, 혈관확장제 투여 및 금연 등. 진통제. 순환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이 좋다.
3. 피부 손상 및 합병증의 예방
말초 맥관질환자는 순환부전 때문에 감염에 민감하고 다리의 궤양이 발생하기 쉽다. 특히 당뇨병이 있는 경우 거의 치유되지 않는다.
2) 혈관 확장의 증진 방법
(1) 보온
(2) 맥관 수축의 예방
(3) 약물 투여
(4) 내ㆍ외과적 중재 : 교감신경 절제술
(5) 혈관 폐색의 예방 : 콜레스테롤 제한 식이, 운동, 비만증의 조절. 아스피린이나 dipyridamole 및 dextran과 같은 혈소판 작용을 억제하는 약물은 혈관폐색을 예방하는데 도움. 헤파린과 같은 항응고요법. 공기 압박부츠 신기
3) 운동요법
- Buerger-Allen 운동 : 맥관질환자에게 좋은 운동. 다리의 궤양, 안정시 통증이 있는 환자, 봉와직염 환자, 심부 정맥혈전증 환자 및 괴저상태에는 금기
- 심부 정맥혈전증 환자에게는 절대 안정이 필요. 활동시 혈전으로 인한 색전증의 위험성이 크기 때문
2. 통증의 예방
측관술이나 보온, 적절한 체위, 혈관확장제 투여 및 금연 등. 진통제. 순환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이 좋다.
3. 피부 손상 및 합병증의 예방
말초 맥관질환자는 순환부전 때문에 감염에 민감하고 다리의 궤양이 발생하기 쉽다. 특히 당뇨병이 있는 경우 거의 치유되지 않는다.
키워드
추천자료
[성인간호학][COPD][만성폐쇄성폐질환]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CPR][심폐소생술]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응급실케이스)
[성인간호학][DM][당뇨]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Diabetes mellitus].
[성인간호학][ICH][뇌출혈]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cerebral hemorrhage]
[성인간호학][ICH][뇌출혈]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cerebral hemorrhage).
[성인간호학][COPD][만성폐쇄성폐질환]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간호과정,간호진단
[성인간호학][생식세포종양][germ cell tumer]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GB stone][담석증]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Gallbladder stone)
[성인간호학][ICH][뇌출혈]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Intracerebal Hemorrhage)
[성인간호학][퇴행성관절염][degenerative arthritis]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기흉][pneumothorax]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ICH][뇌출혈]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Intra Cerebral Hemorrhage)
[성인간호학][쯔쯔가무시][tsutsugamushi]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