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친구란 무엇인가?
2. 친구의 긍정적인 면
(1) 친구와 함께하여 성공한 사례
1)혼다
(2) 참다운 친구의 역사적 사례
1) 정효성 이야기
2) 관포지교
3) 지음(백아절현)
(3) 참다운 친구에 관련된 명언
(4) 참다운 친구를 사귀는 방법
3. 친구의 부정적인 면
(1) 부정적인 면의 역사적 사례
1) 가리옷 유다
2) 최배달과 역도산
3) 장보고
4) 비틀즈의 존 레론과 폴 매카트니
(2) 친구에 관한 부정적인 속담
(3) 친구의 부정적인 면을 소재로 한 영화
4. 결론
2. 친구의 긍정적인 면
(1) 친구와 함께하여 성공한 사례
1)혼다
(2) 참다운 친구의 역사적 사례
1) 정효성 이야기
2) 관포지교
3) 지음(백아절현)
(3) 참다운 친구에 관련된 명언
(4) 참다운 친구를 사귀는 방법
3. 친구의 부정적인 면
(1) 부정적인 면의 역사적 사례
1) 가리옷 유다
2) 최배달과 역도산
3) 장보고
4) 비틀즈의 존 레론과 폴 매카트니
(2) 친구에 관한 부정적인 속담
(3) 친구의 부정적인 면을 소재로 한 영화
4. 결론
본문내용
같이 친구였던 걸로 알려져 있다고 한다.
그리고 지금 텔레비전에서 방영되는 해신에서는 염문이라 한다. >
4) 비틀즈의 존 레론과 폴 매카트니
둘은 비틀즈 구성 전부터 친구였었다. 그러나 비틀즈 활동중 음악적 주장이 다르고 서로 경쟁심이 지나치게 생겨서 비틀즈는 해체 되었고 서로 각자의 길을 걷게 되었다 그 도중에도 서로 비교 하면서 서로를 비방하고 서로에게 적대감을 품었다 물론 존 레론 사후에는 폴이 레론을 이해한다며 인터뷰 하게 되었지만. 당시 절친했던 친구였던 둘은 서로간의 지나친 경쟁이 우정에 금을 그었던 것이다.
(2) 친구에 관한 부정적인 속담
1) 근묵자흑
-흔히 말하는 '끼리끼리 어울린다.'는 말과 비슷하다
2) 까마귀 노는 곳에 백로야 가지마라
3) 술친구는 친구가 아니다.
(3) 친구의 부정적인 면을 소재로 한 영화
친구, 글레디에이터 등 친구의 배신이나 지나친 경쟁들을 소재로 한 영화들이 생각보다 많다.
4. 결론
친구에는 긍정적인 면이 있고 당연히 부정적인 면도 있다. 처음에는 친구의 긍정적인 면만을 생각하고 글을 작성하려 했었는데 교수님의 지도를 받고 자료를 찾다보면서 이런 생각이 들었다. 정말 친구는 부정적인 면이 없을까? 보통 대부분의 책들은 친구의 교훈적인 내용만을 우리에게 보여준다. 이래서 친구는 사귀어야 합니다. 내지는 잘못된 친구를 사귀면 이렇게 됩니다. 앞으로 친구를 사귈 때는 이런 것을 조심하세요...
그래서 친구는 당연히 좋은 것이 다다라는 생각을 했던 것 같다. 그러나 우리 주위에는 친구를 잘못 만나서 인생을 망쳤다는 신문기사도 있고, 친구가 인연이 아닌 악연이라고 까지 표현 되는 경우도 있다. 역사적인 일들만 봐도 절친했던 친구사이가 이해관계와 맞물리면서 우정을 배신하는 경우도 허다했다. 그리고 영화나 드라마 같은 경우도 친구의 부정적인 면을 소재로 한 경우가 꽤 많았다. 요즘 유행하는 삼각관계의 드라마나 영화 친구등.... 확대 해석인지는 몰라도 역사적으로도 수없이 벌어졌기 때문에 다양하게 소재로 쓰이지 않았을까 하고 조심스럽게 해석해 본다.
물론 친구란 좋은 것이다 내 속내를 가식 없이 보여줄 수도 있고, 부모님께 하지 못한 말도 할 수 있는 것이 친구이다 역사적으로 보나 사회적으로 보나 그런 예는 많다 그렇지만 한번쯤은 친구의 부정적인 면을 생각해 보아도 좋지 않을까? 그만큼 친구의 부정적인 요소는 긍정적인 측면에 묻혀버리기에는 너무 크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지금 텔레비전에서 방영되는 해신에서는 염문이라 한다. >
4) 비틀즈의 존 레론과 폴 매카트니
둘은 비틀즈 구성 전부터 친구였었다. 그러나 비틀즈 활동중 음악적 주장이 다르고 서로 경쟁심이 지나치게 생겨서 비틀즈는 해체 되었고 서로 각자의 길을 걷게 되었다 그 도중에도 서로 비교 하면서 서로를 비방하고 서로에게 적대감을 품었다 물론 존 레론 사후에는 폴이 레론을 이해한다며 인터뷰 하게 되었지만. 당시 절친했던 친구였던 둘은 서로간의 지나친 경쟁이 우정에 금을 그었던 것이다.
(2) 친구에 관한 부정적인 속담
1) 근묵자흑
-흔히 말하는 '끼리끼리 어울린다.'는 말과 비슷하다
2) 까마귀 노는 곳에 백로야 가지마라
3) 술친구는 친구가 아니다.
(3) 친구의 부정적인 면을 소재로 한 영화
친구, 글레디에이터 등 친구의 배신이나 지나친 경쟁들을 소재로 한 영화들이 생각보다 많다.
4. 결론
친구에는 긍정적인 면이 있고 당연히 부정적인 면도 있다. 처음에는 친구의 긍정적인 면만을 생각하고 글을 작성하려 했었는데 교수님의 지도를 받고 자료를 찾다보면서 이런 생각이 들었다. 정말 친구는 부정적인 면이 없을까? 보통 대부분의 책들은 친구의 교훈적인 내용만을 우리에게 보여준다. 이래서 친구는 사귀어야 합니다. 내지는 잘못된 친구를 사귀면 이렇게 됩니다. 앞으로 친구를 사귈 때는 이런 것을 조심하세요...
그래서 친구는 당연히 좋은 것이 다다라는 생각을 했던 것 같다. 그러나 우리 주위에는 친구를 잘못 만나서 인생을 망쳤다는 신문기사도 있고, 친구가 인연이 아닌 악연이라고 까지 표현 되는 경우도 있다. 역사적인 일들만 봐도 절친했던 친구사이가 이해관계와 맞물리면서 우정을 배신하는 경우도 허다했다. 그리고 영화나 드라마 같은 경우도 친구의 부정적인 면을 소재로 한 경우가 꽤 많았다. 요즘 유행하는 삼각관계의 드라마나 영화 친구등.... 확대 해석인지는 몰라도 역사적으로도 수없이 벌어졌기 때문에 다양하게 소재로 쓰이지 않았을까 하고 조심스럽게 해석해 본다.
물론 친구란 좋은 것이다 내 속내를 가식 없이 보여줄 수도 있고, 부모님께 하지 못한 말도 할 수 있는 것이 친구이다 역사적으로 보나 사회적으로 보나 그런 예는 많다 그렇지만 한번쯤은 친구의 부정적인 면을 생각해 보아도 좋지 않을까? 그만큼 친구의 부정적인 요소는 긍정적인 측면에 묻혀버리기에는 너무 크다고 생각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