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조직환경의 의의
1. 조직환경의 개념
2. 환경관의 변천
Ⅱ. 조직환경의 유형
1. 조직의 일반적 환경
2. 환경적 특성의 유형
Ⅲ. 조직과 환경의 교호작용
1. 조직의 환경에의 적응
2. 조직의 환경에의 영향
3. 조직과 조직간의 관계
1. 조직환경의 개념
2. 환경관의 변천
Ⅱ. 조직환경의 유형
1. 조직의 일반적 환경
2. 환경적 특성의 유형
Ⅲ. 조직과 환경의 교호작용
1. 조직의 환경에의 적응
2. 조직의 환경에의 영향
3. 조직과 조직간의 관계
본문내용
한다. 또한 적응활동이 건설적인 것으로 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그것을 조직의 목적에 따라 통합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환경변화에 대한 조직의 구체적 적응전략으로서는 경쟁(competing), 협상(bargaining), 적응적 흡수(cooptation), 연합(coalition), 상징(ideology)조작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구체적인 전략에 관한 설명은 제4장, 제3절 목표변동의 원인 부분을 참조.
2. 조직의 환경에의 영향
1) 조직과 사회변동
조직은 개방체제로서 환경과 교호작용을 함으로써 환경에 영향을 미치며, 조직도 환경의 한 구성요소가 된다. 조직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복잡하지만 사회변동을 유도하고 촉진한다. 박연호오세덕, 전게서, p.75; Hall, op. cit., pp.335~336.
즉, 조직은 그 자체의 구조나 과정 등을 변동시킴으로써 간접적으로 사회변동을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경에 직접 개입하여 사회변동을 촉진시킬 수도 있다.
조직은 의식적으로 사회변동을 유발하기 위하여 내적 변화를 야기시킬 수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는 조직활동을 하다가 결과적으로 사회변동을 간접적부수적으로 유발하게 되는 경우가 보통이다.
조직은 그 내적 변동을 통한 간접적인 방법이 아니라 환경에 능동적으로 개입하는 적극적인 방법을 통해서 사회변동을 유발할 수도 있다. 사회변동의 선도 또는 관리를 위해 설립되는 조직들은 공공부문에서 많이 찾아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전도상국의 행정조직은 국가발전을 위한 환경의 계획적 변동을 유도하는 적극적 수단이 되고 있다.
2) 기관형성(institution building)
기관형성이라 발전의 요새 도는 교두보가 될 수 있는 새로운 경향의 조직을 만들고 강화하는 것이 국가발전을 촉진하는 수단으로서 가장 효과적일 것이라는 전제하에 새로운 조작을 창설하거나 기존조직을 개편함으로써 새로운 가치관역할기술을 정립하거나 확산시켜 사회환경에 영향을 미치고 사회변동을 유도하는 것을 말한다.
기관형성의 접근방법을 내세우는 입장에서는 거의 모든 발전을 의식적으로 계획되고 유도된 변동(induced change)이며 그러한 변동은 주로 조직 내에서 또는 조직을 통해서 이루어진다는 것을 전제한다.
이러한 기관형성은 1969년대 미국의 일부 발전문제연구인들이 후진국에 대한 기술원조사업의 지침을 제시하려는 실용적 가치를 추구하여 개발하고 보급시킨 것으로서 M. Esman과 H. Blaise가 기본모형을 설정하는데 주도적 역할을 하였다. Milton J. Esman and Hans C. Blaise, Institution Building Research: The Guiding Concepts(Pittsburgh: University of Pittsburgh, 1966); 오석홍, 전게서, pp.643~648.
3. 조직과 조직간의 관계
조직에 대한 정치경제문화기술물적 환경이 일반적 환경이라면, 조직에 대한 다른 조직은 구체적 환경이 된다. 조직을 주축으로 하는 구체적 환경은 일반적 환경의 일부이지만, 그러나 환경을 구성하는 조직들은 환경의 다른 요인들보다 현저히 중요한 영향을 대상조직 여기서 말하는 대상조직(focal organization)이란 ‘ 한 조직의 입장에서 타조직들과의 관계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를 생각할 때의 ‘한 조직’을 의미한다.
에 미친다.
대상조직의 환경에는 수많은 조직들이 있는데, 그 가운데서 대상조직의 목표정립이나 운영에 관계가 있는 조직들의 하나하나를 요소(element)라 부르고, 이 요소들의 전체 및 각 요소와의 관계의 전부를 조직집합(organization set)이라 부른다.
그리고 환경변화에 대한 조직의 구체적 적응전략으로서는 경쟁(competing), 협상(bargaining), 적응적 흡수(cooptation), 연합(coalition), 상징(ideology)조작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구체적인 전략에 관한 설명은 제4장, 제3절 목표변동의 원인 부분을 참조.
2. 조직의 환경에의 영향
1) 조직과 사회변동
조직은 개방체제로서 환경과 교호작용을 함으로써 환경에 영향을 미치며, 조직도 환경의 한 구성요소가 된다. 조직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복잡하지만 사회변동을 유도하고 촉진한다. 박연호오세덕, 전게서, p.75; Hall, op. cit., pp.335~336.
즉, 조직은 그 자체의 구조나 과정 등을 변동시킴으로써 간접적으로 사회변동을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경에 직접 개입하여 사회변동을 촉진시킬 수도 있다.
조직은 의식적으로 사회변동을 유발하기 위하여 내적 변화를 야기시킬 수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는 조직활동을 하다가 결과적으로 사회변동을 간접적부수적으로 유발하게 되는 경우가 보통이다.
조직은 그 내적 변동을 통한 간접적인 방법이 아니라 환경에 능동적으로 개입하는 적극적인 방법을 통해서 사회변동을 유발할 수도 있다. 사회변동의 선도 또는 관리를 위해 설립되는 조직들은 공공부문에서 많이 찾아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전도상국의 행정조직은 국가발전을 위한 환경의 계획적 변동을 유도하는 적극적 수단이 되고 있다.
2) 기관형성(institution building)
기관형성이라 발전의 요새 도는 교두보가 될 수 있는 새로운 경향의 조직을 만들고 강화하는 것이 국가발전을 촉진하는 수단으로서 가장 효과적일 것이라는 전제하에 새로운 조작을 창설하거나 기존조직을 개편함으로써 새로운 가치관역할기술을 정립하거나 확산시켜 사회환경에 영향을 미치고 사회변동을 유도하는 것을 말한다.
기관형성의 접근방법을 내세우는 입장에서는 거의 모든 발전을 의식적으로 계획되고 유도된 변동(induced change)이며 그러한 변동은 주로 조직 내에서 또는 조직을 통해서 이루어진다는 것을 전제한다.
이러한 기관형성은 1969년대 미국의 일부 발전문제연구인들이 후진국에 대한 기술원조사업의 지침을 제시하려는 실용적 가치를 추구하여 개발하고 보급시킨 것으로서 M. Esman과 H. Blaise가 기본모형을 설정하는데 주도적 역할을 하였다. Milton J. Esman and Hans C. Blaise, Institution Building Research: The Guiding Concepts(Pittsburgh: University of Pittsburgh, 1966); 오석홍, 전게서, pp.643~648.
3. 조직과 조직간의 관계
조직에 대한 정치경제문화기술물적 환경이 일반적 환경이라면, 조직에 대한 다른 조직은 구체적 환경이 된다. 조직을 주축으로 하는 구체적 환경은 일반적 환경의 일부이지만, 그러나 환경을 구성하는 조직들은 환경의 다른 요인들보다 현저히 중요한 영향을 대상조직 여기서 말하는 대상조직(focal organization)이란 ‘ 한 조직의 입장에서 타조직들과의 관계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를 생각할 때의 ‘한 조직’을 의미한다.
에 미친다.
대상조직의 환경에는 수많은 조직들이 있는데, 그 가운데서 대상조직의 목표정립이나 운영에 관계가 있는 조직들의 하나하나를 요소(element)라 부르고, 이 요소들의 전체 및 각 요소와의 관계의 전부를 조직집합(organization set)이라 부른다.
추천자료
조직문화, 조직풍토, 조직건강, 집단 역동성
조직행위- 조직관리 기업사례조사 삼양 CJ (씨제이) (복지후생/조직문화/동기부여/멘토링/잔...
[노동조합][노동조합 조직형태][노동조합 조직활동][ICFTU][노조]노동조합의 조직, 노동조합...
[노사신뢰][조직신뢰][노사][노동조합][노사관계][노조파업][신뢰]노사신뢰(조직신뢰)의 개념...
조직에서 의사소통,조직의사소통,의사소통,조직내의사소통,의사소통사례,의사소통분석
[사적, 사적 가부장제, 사적 소유, 사적 언어, 사적 조직, 사적 조정, 가부장제, 소유, 언어,...
NPO(민간비영리단체, 비영리조직)의 의미, 특징, 활동, NPO(민간비영리단체, 비영리조직)의 ...
민간비영리단체(NPO, 비영리조직)의 정의, 속성, 민간비영리단체(NPO, 비영리조직)의 성장, ...
NPO(비영리조직, 민간비영리단체) 개념, 종류, NPO(비영리조직, 민간비영리단체) 공공성, NPO...
[기업 노동조직][기업][노동][조직][기업 노동조직 요소][기업 노동조직 운동][기업 노동조직...
[미국 기업조직][미국][기업][조직][첨단산업]미국 기업조직의 역사, 미국 기업조직의 변화, ...
시민단체(NGO, 비정부조직) 청소년보호운동, 여성운동, 노동운동, 시민단체(NGO, 비정부조직)...
오늘날 기계적 조직구조가 점차 유기적 조직구조로 바뀌고 있다. 유기적 조직구조의 형태를 ...
관심 있는 사회복지분야 중 한 기관을 선택하고 그 기관의 조직의 분류 및 조직관리 방법 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