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사회의 지배세력에 대한 고찰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 관료제 및 가산관료제설과 그에 대한 비판

2 . 귀족.귀족제의 개념

3 . 귀족제사회설의 논거

본문내용

일률적으로 지급하게 되었다고 생각된다. 또한 일반의 양반전시가 當代限(당대한)인데 비하여 공음전시는 법 제정의 근본 취지에 합당하게 ‘傳之子孫’하는 세습적 상속이었으며, 양반전시를 받고 있는 재직중의 관료에게 이중으로 지급하고 이것을 다시 자손에게 상속시키는 형태를 취하였던 것이다.
이상 제도적인 측면에서 살폈거나와, 그와 함께 귀족관료들의 실상과 그들이 고려사회에서 차지하고 있는 정치적·사회적 위치를 밝히는 작업을 통해서도 귀족제설은 뒷받침을 받고 있다. 귀족제사회설의 논거는 고려의 대표적 문벌귀족가문인 慶源李氏(경원이씨)의 사료가 대표적이다 할 수 있다. 사서에서는 이 집안을 「閥閱」또는 「海東甲族」등으로 표현하고 있지만, 그만큼 많은 재상을 배출할 수 있었던 데에는 가문이 크게 작용하였다고 본다. 그것은 음서 출신자가 다수라는 사실과 그의 여러 아들들에게 관직이 수여되고 동시에 관직상의 승진 조처가 있었음으로 알 수 있다. 해주 최씨와 남평 문씨 등을 비롯한 여러 문벌가문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시기 고려는 소수의 문벌귀족 가문이 국가를 운영해 간 귀족사회라고 이해된다. 그러므로 과거제조차도 귀족제적인 방향에서 운영하여 갔다고 생각되는 것이다.
  • 가격1,6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5.11.03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85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