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건축의이해를위한대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다.
q: 그럼 원림건축을 설계하는 이론이라는 것은 무엇이었지요?
a: 원림을 설계하는 이론은 한 시대까지는 자연의 풍경을 본떠서 인공적인 산수와 수석을 놓는 것으로 창조하였는데, 수당이후에 이르러 원의 풍경과 결합된 정(亭), 대(台), 각(閣)를 건축하기 시작하였습니다. 꽃과 나무는 자연적인 상대로 구성을 하였지만 잔디는 시선을 차단하고 개방을 교차시키는 조원원칙에 어긋나기 때문에 금기로 생각을 했습니다. 그리고 잔디의 전래시기 라던지 유지관리가 어려운 점을 고려하면 사용하지 않는 편이 옳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그리고 이러한 자연환경에 호수가 전체 풍경을 구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서양은 분수를 선호하는데 비해 동양에서는 흐르는 물을 선호하였는데, 이를 위해 지하수를 이용한다던 지 수원지에서 물을 끌어다가 원림을 조성하였다고 합니다. 그리고 돌은 예술품으로 간주되어 기기묘묘한 모양의 돌들을 마치 서양에서 조각품을 설치하듯이 원의 여러 곳에 놓는데, 그들은 이것을 천연적인 추상조각으로 보았다고 합니다. 이러한 원의 경치를 바라보기 위한 프레임을 형성하는 창도 굉장히 중요하였는데, 실내에서 바라보는 경치를 이러한 액자에 담겨진 천연적인 그림으로 보았다고 합니다. 이러한 원림은 그 규모가 커짐에 따라 원군 즉, 원림의 집합을 만들어 냅니다. 이화원도 거대한 원군이라고 할 수 있지요.
q: 그럼 이화원이 중국에서 가장 대표적인 원림건축인가요?
a: 대표적인 원림건축으로는 원명삼원을 들 수 있습니다. 청대의 황실용으로 쓰인 이 원림은 그 규모뿐만 아니라 다양한 설계원리에서도 대단한 원림이었습니다. 원명삼원은 세 개의 원으로 구성이 되어 있는데, 우선 세종이 매년 10개월씩 머물렀다는 원명원과 이탈리아 화가출신 선교사가 설계했다는장춘원, 화원으로 이루어져있는 기춘원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전통적인 중국의 원림건축과 함께 외국건축형식을 모아놓기도 했는데, 고금의 것과 국내외의 것을 모두 흡수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원명원의 서장건축, 장춘원의 서방의 로코코건축은 전체 원림건축의 풍격에는 불합리한 것이었다는 평가도 나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1860년 영국과 프랑스군에 의해 불타 소실되었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그 잔해는 남아있어 그 규모를 짐작하게 해줍니다.
q: 중국에서도 마찬가지로 서양문화와 기술의 도입에서 여러 문제가 있었나 보군요.
a: 예, 중국의 경우 그전까지는 세계의 중심이 중원이라고 생각하는 중화주의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문제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중국인의 민족감정의 손상 때문에 반항심까지 생기게 되었지요. 또한 서구문물의 유입이 제국주의의 침입의 형태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더욱 이런 심리를 부채질하였습니다. 이러한 반항심리는 형식의 문제로 나타나기도 하는데, 아직도 중국에 가면 볼 수 있는 많은 서양식 건물들에 중국식 지붕을 얹은 - 대옥정이라고 부르는 도움이 되지 못할 것 같기도 합니다. 하긴 여행을 하시면서 구체적으로 많은 것을 보게 되실 겁니다. 그럼 중국여행 잘 다녀오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11.08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90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