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운 최치원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운 최치원에 관한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1) 문제의 제기
2) 연구범위와 방법

2. 최치원의 생애와 활동
1) 시대적 배경
2) 정치활동

3. 최치원의 역사인식
1) 역사서술에 나타난 발전적 자존의식
2) 제왕연대력을 통해 본 역사인식.

4. 결론

본문내용

을것이라 생각한다.
현수전은 고수전에 해당하는데, 보잘것없는 세인도 충,효,재,덕이 있으면 전을 지어서 표창하였는데 불교홍통을 위해 순교한 고승, 대덕들은 사서에 보이지 않으나 그들 나름대로의 공훈을 기리고 이를 후세에 전하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
현수전의 인식은 두가지로 나타나는데 하나는 성인의 말씀은 경이 되고 그 경을 부연하고 해석하여 후인들이 이해하기 쉽게 풀어주는 것이고 둘째는 비문의 간략함을 구체적으로 소상히 기술하는 것이라 하여 한 사람의 일대기를 자세히 묘사한 것을 의미하였다.
이로 미루어 볼 때 그의 전에 대한 인식은 후세에 진실을 밝혀 널리 알리려 하는 교훈적 의미와 이 세상과 더불어 영원히 장대케 하고자 하는 보전적 성격으로서의 의미도 함께 지니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이를 왜 지었을지 의문이 생기는데, 이를 쓴 것은 효공왕 8년(904), 48세때이다. 후삼국기로 정치/ 사회적 혼란으로 붕괴 직전의 위기에 처해 있었으며 사상적으로는 9산(선종)의 발생으로 분열이 극심하던 때였다. 은퇴후 제왕연대력을 저술하고 부석존자전과 현수전을 집필하고 있어 그의 역사서술에 대한 의도하는 바의 강한 목적의식을 엿볼 수 있다고 할수 있다.
내용중에는 병고를 무릎쓰고 중국 화엄의 대가인 법장화상의 전기를 저술하게된 동기가 나오는데, 아마 당시 구부러지고 헝클어진 현실에 대한 위기의식에서 무너진 도의와 질서를 회복하고자 하는데 있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최치원은 이처럼 일반적으로 혼란스러운 분열된 불교계를 일심해 의해 만물을 통섭하려는 화엄사상으로 극복하고, 이로 말미암아 정치적 분열 또한 새로운 사회 질서 수립을 위해 대동 단합을 꾀하고자 하였으니 현수전 저술의 직접적 동기는 여기에 있다고 볼수 있다.
따라서 최치원이 이 당시에 이루어 놓은 모든 저술은 근본적으로 유교사관을 채용하여 신라인으로서 끈질긴 집념과 의지로 다시 통일의 위업을 완수하고자 하는 강한 국가의식의 산물이었으며, 전통적 역사관을 수용하여 신라인에게 민족적 자아의식과 문화자존의 긍지를 심어주기 위한 결정체로써 고려왕조의 역사서술의 기반을 조성하여, 한국의 전통사학을 정착시키는 데에 크게 이바지하였다고 하겠다.
4. 결론
최치원이 당으로 유학을 가서 신라로 귀국후, 정계에 입문하고 은퇴를 하게되면서도 계속하여 글을 써가며, 역사기록의 중요성을 알려준 하나의 계기라 할 수 있다.
최치원의 역사인식은 자신의 조국을 아끼는 마음에서 고구려나 백제에 대해 약간 강한 표현을 하였고, 발해에 대해서도 언급하는등 나라를 위한 마음과 이미 정치와 사회적으로 혼란했던 시기를 화엄으로써 타파해보자는 뜻을 엿볼수도 있었다.
한국사상사에 있어 중세적 지성이 개화되는 밑거름으로 최치원의 위치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을거라 생각된다.
■ 참고문헌
이재운, 『최치원 연구』, 백산자료원, 1999
김중열, 「최치원 문학 연구」,『고려대 박사학위논문』, 1984.
최경숙, 「최치원 연구」,『부산사학』5집, 1981.
양기선, 「고운 최치원 연구」, 한불문화, 1995.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11.08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90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