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CO의 베트남 투자 사례입니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POSCO의 베트남 투자 사례입니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철강산업의 개요
가.철강산업의 특징
나.철강산업의 중요성
다.시장현황
라.경쟁환경에서의 글로벌 경영전략

2. POSCO(포스코)
가.일반현황
나.경영현황

3.베트남의 경제 동향 및 전망

4.한국과의 투자관계

5.POSCO의 대 베트남 투자현황

6.법인별 사업추진개요 및 경영현황
가.POSVINA
나.VPS ․VSC-POSCO Steel Coporation
다.VINAPIPE

7.투자성공 요인
가.POSVINA
나.VPS

8.투자 애로사항

9.향후 베트남 투자방향

본문내용

명 (사장, 관리부장, 조업부장, 정비차장, 판매과장)
(2) 사업추진 배경 및 사업방식
추진배경 : 베트남 철강 시장 선점 및 양국간 경제협력 기반 구축
사업방식 : 한-베트남간 파트너가 각 50%비율 합작투자
92년도 철강수요는 50만톤(자체생산15만톤), 제 5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이 완료되 는 95년에는 70만톤으로 전망
92년 인당 철강 소비량 : 8Kg 수준 (한국 600Kg)
(3) 경영현황
96~97년 조업초기 러시아산 등 저가품 유입으로 인한 판매부진으로 적자발생 하였으나, 판매 촉진 및 품질관리 강화 등 제품 인지도 향상으로 공급과잉 시장에서 흑자 체제 유지
철근/선재 수급 : 수요 150만톤, 공급 202만톤 (01년 말)
00년 이후 최대 생산/판매 기록 갱신 지속 및 U$770만 배당 실시
[경영실적]
구분
~98
99
00
01
02계획
비고
생산량(천톤)
384.3
197.3
222.8
242.2
210.4
*99년누계
적자해소
판매량(천톤)
381.0
194.2
225.4
243.1
210.5
매출액(천$)
123,994
53,261
63,317
68,017
55,794
순이익(천$)
-3,159
2,846
3,354
4,859
1,352
배당(천$)
-
-
303
2,913
4,484
자기자본비율(%)
14
27
39
54
44
다. VINAPIPE
(1) 회사개요
사업목적 : 강관 생산 및 판매
설립일 : 93.5.11 (94.8.1 준공)
소재지 : 베트남 하이퐁시 홍방지구
인원/경영진 : 129명/사장 VSC Mr.Viet, 부사장 세아제강 안관섭
(2) 경영현황
베트남 PIPE산업 및 건설시장 수요 증가로 급속한 경영개선 전망
시장 니즈에 대응 조강기 1기 증설 추진중 : 19천톤/년 23천톤/년
[경영실적]
구분
~98
99
00
01
02계획
비고
생산량(천톤)
20.3
10.5
13.8
19.5
22.2
*02.4월
누계적자
해소
판매량(천톤)
19.0
12.2
14.1
20.4
22.3
매출액(천$)
11,632
5,772
6,724
8,683
9,209
순이익(천$)
212
706
289
708
375
자기자본비율(%)
16
34
26
41
40
7. 투자성공 요인
베트남 철강시장 조기선점 및 양국 간 철강 협력 기반 구축
가. POSVINA
적기 투자에 따른 아연도강판(GI)시장 조기 선점
성공적인 흑자 경영 : POSCO 투자원본 U$195만, 배당금 U$379만
합작 파트너간 주기적 교류를 통한 ,POSCO 이미지제고 및 업무신뢰도 향상
이사회 년 평균 1회 한국 개최 및 제철소 견학
중국 현지법인 수탁 훈련을 통한 안정된 생산/정비기술 이전(칼라강판)
POSCO 기업문화 교육(1~2회/년)
배당금 활용, 베트남 우수학생 유학 지원으로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
현지인 3명 포항공대 유학비용 지원
칼라강판 진출을 통한 제품의 고부가 가치화 추진
칼라강판 준공 : 02.7월 초
나. VPS
POA를 활용 중국,러시아산 저가 소재(빌렌트)의 안정적 공급
지속적인 생산성 향상 및 품질관리 활동으로 최대생산 체제유지
자동화, Cobble 발생 문제점 개선 등으로 생산능력향상(20만톤/년 24만톤/년)
99.6월 ISO 9002 획득, 01.10월 ISO 9001 획득
안정적 Market Share 확보
하노이 이외 호치민, 다낭 등 영업지점 개설, 광고 활동 강화
투자원본 U$670만의 46%인 U$308만 배당금회수
조업 초기 POSCO 조업, 정비 기술의 이전으로 안정 조업체계 유지
POSCO 조업정비 기술인력 지원 및 수탁훈련 실시(3개월)
초기 창업 직원의 Key Job 요원 육성
한-베트남간의 경제 교류 확대 및 유대 강화
Diamond Plaza의 한-베트남 간 종합무역센터 기능 수행
지역사회 공헌에 대한 노동훈장 수여 (VPS/01.10)
8. 투자 애로사항
JV Agreement상 중요 사안의 의사결정이 지분에 관계없이 만장일치로 채택됨에 따라 파트너사의 이익과 부합되지 못할 경우 합의도출 불가
파트너사의 동종업체 진출에 대한 금지조항(JVA 17조)의 구속력 미흡으로 GI시장 경쟁 심화
시장 니즈에 대응한 사업 확장 시 파트너의 투자 의지 결여로 시장 선점기회 상실
현지 파트너의 대정부 교섭력 취약으로 시정부 Infra 지원 미흡
건설 자금 차입시 지급보증 지연으로 자금계획 차질 발생, 건설 및 정비 작업의 외부 협 력작업여건 미성숙
9. 향후 베트남 투자방향
베트남 투자여건
아시아 경제위기 이후 꾸준한 성장세 유지(01년 GDP 성장률 6.8%)
미 · 베트남 무역협정 타결 및 WTO 가입추진(04년 예정)등으로 외국인 투자증가 및 성장 가속전망 (대미 수출 00년 7.3억불, 05년 30억불예상)
POSCO 동남아 위상강화
경쟁사 위협에 대응, 한·베트남 간의 철강산업 분야의 협력 관계 강화 필요
*일본 및 대만의 지속적인 대 베트남 정부 협력 추진에 대응
동남아 지역에서의 새로운 당사의 해외진출 거점 대상 발굴 필요성
*경쟁사 의 현지생산, 유통 거점 확보로 당사 신규진입 어려움
*기존 베트남 투자사업의 구조조정 차원을 탈피, 적극적인 거점확보 차원의 전략모 색
투자 방향 : 양국간 철강분야 협력을 통한 Win Win 전략
철강산업에 필요한 Infra 및 장애/위험요소 등을 고려, 베트남 정부 차원의 철강 Project 참여를 통해 Down stream 시장 진출
Up stream 을 투자대상으로는 고려하고 있지 않지만 하 공정에 대한 소재 확보 문제 등을 감안 상 공정에 대한 직·간접 참여 방안을 강구
목차
1. 철강산업의 개요
가. 철강산업의 특징
나. 철강산업의 중요성
다. 시장현황
라. 경쟁환경에서의 글로벌 경영전략
2. POSCO(포스코)
가. 일반현황
나. 경영현황
3. 베트남의 경제 동향 및 전망
4. 한국과의 투자관계
5. POSCO의 대 베트남 투자현황
6. 법인별 사업추진개요 및 경영현황
가. POSVINA
나. VPS ·VSC-POSCO Steel Coporation
다. VINAPIPE
7. 투자성공 요인
가. POSVINA
나. VPS
8. 투자 애로사항
9.향후 베트남 투자방향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5.11.08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91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