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따라서 마음과 신체는 구별된다.
결 론
데카르트 적인 상호작용적 이원론은 우리의 일상적인 상식과 어긋나지 않지만 '작용한다'라는 말의 애매모호함과 데카르트적 마음의 개념으로부터 나오는 철학적 수수께끼와 같은 타인의 마음의 문제 마음이 신체와 완전히 다르고 구별된다면, 마음을 가진 다른 존재들이 있다는 우리의 상식을 정당화 할 방법이 없다. 우리가 보통 지각하는 다른 존재들의 동작과 소리는 신체적인 것이고 정신적인 것이 아니므로 다른 사람이 마음을 가지고 있는지 알 방법이 없다. 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라는 반론에 부딪치며, 과학적으로도 이 이론이 안고 있는 난점들이 발생된다. 그러나 현대의 또 다른 이원론자들의 견해가 그렇듯이 그것을 설명하는 것이 왜 필요한지에 대한 물음이 여전히 남는다. 그리고 그 상호작용론이 어떻게 가능한가를 설명하는 것은 영원히 불가능 할지도 모른다.
<참고문헌>
스티븐 프리스트 저 / 박찬수 외 옮김, <마음의 이론>, 고려원.
김재권 지음 / 하종호, 김선희 옮김, <심리철학>, 철학과 현실사.
http://plato.stanford.edu/
entries/dualism/ 「dualism」3.2 Epiphenomenalism.
결 론
데카르트 적인 상호작용적 이원론은 우리의 일상적인 상식과 어긋나지 않지만 '작용한다'라는 말의 애매모호함과 데카르트적 마음의 개념으로부터 나오는 철학적 수수께끼와 같은 타인의 마음의 문제 마음이 신체와 완전히 다르고 구별된다면, 마음을 가진 다른 존재들이 있다는 우리의 상식을 정당화 할 방법이 없다. 우리가 보통 지각하는 다른 존재들의 동작과 소리는 신체적인 것이고 정신적인 것이 아니므로 다른 사람이 마음을 가지고 있는지 알 방법이 없다. 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라는 반론에 부딪치며, 과학적으로도 이 이론이 안고 있는 난점들이 발생된다. 그러나 현대의 또 다른 이원론자들의 견해가 그렇듯이 그것을 설명하는 것이 왜 필요한지에 대한 물음이 여전히 남는다. 그리고 그 상호작용론이 어떻게 가능한가를 설명하는 것은 영원히 불가능 할지도 모른다.
<참고문헌>
스티븐 프리스트 저 / 박찬수 외 옮김, <마음의 이론>, 고려원.
김재권 지음 / 하종호, 김선희 옮김, <심리철학>, 철학과 현실사.
http://plato.stanford.edu/
entries/dualism/ 「dualism」3.2 Epiphenomenal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