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분식회계의 의미
1.분식회계의 정의
2.분식회계의 원인
Ⅱ.사 례
Ⅲ.SKG 분식회계의 문제점
1.금융감독원의 감독 ‘부실’
2.회계법인의 문제점
3.금융시장에 대한 영향
Ⅳ.분식회계의 해결책
1.회사,투자자,채권자의 역할 강화
2.회계사 및 감사인의 노력
3.금융 감독원의 노력
1.분식회계의 정의
2.분식회계의 원인
Ⅱ.사 례
Ⅲ.SKG 분식회계의 문제점
1.금융감독원의 감독 ‘부실’
2.회계법인의 문제점
3.금융시장에 대한 영향
Ⅳ.분식회계의 해결책
1.회사,투자자,채권자의 역할 강화
2.회계사 및 감사인의 노력
3.금융 감독원의 노력
본문내용
한 피해로 인하여 기업에 대한 불신풍조가 점점 생겨나고 있다. 우리 경제의 효율성을 높이고 또한 서로가 서로를 믿을 수 있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구성원들의 행동에 대한 적합성의 판단이 필요하다. 그리고 그에 대한 정당한 대우와 책임을 묻는 사회분위기를 형성해 가야한다. 이러한 사회 분위기는 정부에서 무작정 만들려고 한다고 해서 만들어지는 것이 결코 아니다. 사회는 결국에는 우리들이 만들어 가는 것이다.
물론 기업체, 정부, 회계사 등은 지금까지 해오던 노력 이상으로 여기에 관심을 보여야 할 것이다. 학계에서는 회계기준과 원칙에 대한 엄격한 연구를 계속해 나가야 할 것이고, 공인회계사와 회계법인들은 정확한 감사와 확인, 철저한 심사가 필요하다. 금융감독원에서는 회계사들의 감사와 기업인들의 경영이 바르게 돌아가고 있는지 감독을 철저히 해야 하고, 또한 여러 제도를 정비함으로써 모순 점의 극복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기업체에서는 경영진의 자금 은닉, 회계장부 조작 등의 회계의 불투명성을 높이는 경영은 이제 그만하고 투명한 회계처리를 해야한다. 이에 주주들과 채권자들의 감시와 국민 전체의 관심이 투명한 기업, 투명한 사회를 이룩하기 위해 함께 모여야 할 것이다.
이렇게 회계의 투명성이라는 것은 엄격한 기업 회계 기준과 이를 준수하려는 기업, 독립성 있는 감사인, 직업 윤리를 지키려는 공인회계사회, 감독의 전문성과 엄격성을 지닌 금융감독원, 부실회계에 대한 시장의 제재 및 온 국민의 관심이 모두 어울려야 성취할 수 있는 목표이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이 한 순간으로 그쳐서는 아니 된다. 기업 형편이 어려워지거나 경영진의 입지가 좁아진다면 다시 분식회계의 유혹에 빠지기 쉬워진다. 이렇게 되면 회계의 투명성 확보 또한 어려워진다. 다시 말해 단순히 한두 해 사이에 성취될 수 있는 일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러나 천릿길도 한 걸음부터라는 말이 있지 않던가. 많은 이들이 분식회계에 관심을 계속 가져주고, 분식회계가 발생하게 된 데에는 전체적인 사회분위기도 한 몫을 했었다는 사실을 잊지 않는다면 해가 지나가면서 조금씩 나아질 수 있다는 것은 확실하다고 본다. 우리나라 기업 회계의 불투명지수가 35개국 중 31위에 머무른다는 이 사실, 우리는 이것을 우리 기업의 투명 경영회계를 앞당기는 기회로 삼고 조금씩 노력해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 문헌 및 사이트
정명환(1999), 회계를 알아야 성공이 보인다, 서울, 새로운 제안.
조남신(1997), 경영학 새로운 만남, 서울,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김성은(2002), 투명성 - 투명한 정책, 투명한 경영, 투명한 한국, 서울, 새로운 제안.
안진회계법인 대표(2001), “분식회계에 대한 감사대책 및 제도적 보완”, 공인회계사,
2001년 9월호.
금융감독위원회(2001. 4), “기업 경영의 투명성 제고를 위한 정책방향.”
전영재(2002. 3), “엔론 파산의 파장과 교훈.”
한국공인회계사회(2001. 7), “투명사회를 위한 총론과 각론.”
시사저널, 644호 .
한메 파스칼 대백과 사전.
http://www.hankyung.com (한국경제신문).
http://www.samili.com (삼일인포마인).
http://seriecon.seri.org (삼성경제연구소).
http://www.fnnews.com (파이낸셜뉴스).
http://www.fss.or.kr (금융감독원).
http://www.ftc.go.kr (공정거래위원회).
http://kicpa.or.kr (한국공인회계사회).
http://www.opacityindex.com (Pricewaterhouse Coopers-special project)
물론 기업체, 정부, 회계사 등은 지금까지 해오던 노력 이상으로 여기에 관심을 보여야 할 것이다. 학계에서는 회계기준과 원칙에 대한 엄격한 연구를 계속해 나가야 할 것이고, 공인회계사와 회계법인들은 정확한 감사와 확인, 철저한 심사가 필요하다. 금융감독원에서는 회계사들의 감사와 기업인들의 경영이 바르게 돌아가고 있는지 감독을 철저히 해야 하고, 또한 여러 제도를 정비함으로써 모순 점의 극복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기업체에서는 경영진의 자금 은닉, 회계장부 조작 등의 회계의 불투명성을 높이는 경영은 이제 그만하고 투명한 회계처리를 해야한다. 이에 주주들과 채권자들의 감시와 국민 전체의 관심이 투명한 기업, 투명한 사회를 이룩하기 위해 함께 모여야 할 것이다.
이렇게 회계의 투명성이라는 것은 엄격한 기업 회계 기준과 이를 준수하려는 기업, 독립성 있는 감사인, 직업 윤리를 지키려는 공인회계사회, 감독의 전문성과 엄격성을 지닌 금융감독원, 부실회계에 대한 시장의 제재 및 온 국민의 관심이 모두 어울려야 성취할 수 있는 목표이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이 한 순간으로 그쳐서는 아니 된다. 기업 형편이 어려워지거나 경영진의 입지가 좁아진다면 다시 분식회계의 유혹에 빠지기 쉬워진다. 이렇게 되면 회계의 투명성 확보 또한 어려워진다. 다시 말해 단순히 한두 해 사이에 성취될 수 있는 일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러나 천릿길도 한 걸음부터라는 말이 있지 않던가. 많은 이들이 분식회계에 관심을 계속 가져주고, 분식회계가 발생하게 된 데에는 전체적인 사회분위기도 한 몫을 했었다는 사실을 잊지 않는다면 해가 지나가면서 조금씩 나아질 수 있다는 것은 확실하다고 본다. 우리나라 기업 회계의 불투명지수가 35개국 중 31위에 머무른다는 이 사실, 우리는 이것을 우리 기업의 투명 경영회계를 앞당기는 기회로 삼고 조금씩 노력해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 문헌 및 사이트
정명환(1999), 회계를 알아야 성공이 보인다, 서울, 새로운 제안.
조남신(1997), 경영학 새로운 만남, 서울,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김성은(2002), 투명성 - 투명한 정책, 투명한 경영, 투명한 한국, 서울, 새로운 제안.
안진회계법인 대표(2001), “분식회계에 대한 감사대책 및 제도적 보완”, 공인회계사,
2001년 9월호.
금융감독위원회(2001. 4), “기업 경영의 투명성 제고를 위한 정책방향.”
전영재(2002. 3), “엔론 파산의 파장과 교훈.”
한국공인회계사회(2001. 7), “투명사회를 위한 총론과 각론.”
시사저널, 644호 .
한메 파스칼 대백과 사전.
http://www.hankyung.com (한국경제신문).
http://www.samili.com (삼일인포마인).
http://seriecon.seri.org (삼성경제연구소).
http://www.fnnews.com (파이낸셜뉴스).
http://www.fss.or.kr (금융감독원).
http://www.ftc.go.kr (공정거래위원회).
http://kicpa.or.kr (한국공인회계사회).
http://www.opacityindex.com (Pricewaterhouse Coopers-special project)
키워드
추천자료
회계처리
정부부문 회계의 효율성과 투명성 제고를 위한 복식부기도입의 확대
기업지배구조와 회계투명성에 대한 발표자료입니다.
(경영 윤리) 회계 및 재무관리의 윤리 사례 및 해결방안
기업의 회계 부정 사례
[학교예산회계제도][학교예산][예산][학교재정]예산의 개념, 학교예산의 개념, 학교예산회계...
[감사원의 정의][감사원의 지위][감사원의 감사][감사원의 평가][감사원의 문제점][감사원의 ...
분식회근절을 위한예방책
[회계정보시스템] 샤베인즈 옥슬리법 (Sarbanes-Oxley Act)
[회계이론] 연결재무제표 & 별도제무제표
[기업회계][기업][회계]기업회계의 개념, 기업회계의 역사, 기업회계의 요소, 기업회계의 감...
아시아나 항공의 ABC 원가시스템,ABC원가시스템,ABC원가시스템사례,아시아나항공관리회계시스...
[경영학 원론] 엔론의 회계부정 (엔론의 탄생, 미국의 경제 성장, IT 버블 그리고 엔론, 엔론...
회계會計 부정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