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식아동의 현황과 문제점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결식아동의 현황과 문제점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들어가며
1.아동복지의 개념
2.결식아동에 대한 개요

Ⅱ.본문
1.결식아동이란?
2.결식아동의 발생원인
3.결식아동의 현황
4.결식아동에 대한 사회적 문제점
5.결식아동 문제에 대한 개선책

Ⅲ.맺으며

참고자료 및 문헌

본문내용

와 같은 보호수준은 최소한의 지원이다. 따라서 이들 가정의 자녀를 위한 아동수당 지급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제도에는 일반 가정의 자녀뿐만 아니라 가족단위로 시설에 보호되고 있는 전체 아동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② 긴급식품권 제공을 제도화할 필요가 있다. 결식아동의 감소를 위해서는 장기보호시설 아동뿐만 아니라 요보호재가아동에 대해서도 행정조직을 통한 긴급식품권이 제공되어야 한다. 그리고 식품권에 의한 식사제공은 학교, 사회복지기관, 음식점 등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접근성을 증대시킨다는 차원에서 바람직한 대책이 될 것이다.
③ 지방자치 단체의 지속적 지원이 필요한 경우 조례 제정을 통해 이를 확보해야 한다. 예를 들어, 결식아동에 대한 조례 제정이 그것이다. 이러한 조례 제정을 통해 결식아동을 위한 기금 마련의 근거를 마련할 수 있다.
④ 편부모 가정 및 소년소녀가장가구 등의 아동을 위한 가정도우미 제도의 확대가 필요하다. 편부 및 편모가정과 아동으로만 구성된 소년소녀가장 가구 등은 주부양자가 직업을 갖고 있거나 학업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가사를 돌보는데 한계를 가지게 되며, 이는 결식아동을 양산하는 주요 요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이들 가정의 아동을 돌볼 수 있도록 가정도우미 제도의 확대가 절실하다.
⑤ 결손아동들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한번에 받을 수 있게 하는 one-stop service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며, 대상자에 대한 사례관리 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지역사회 내 연계망을 우선 형성하여 긴밀한 협조관계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결식아동의 경우 구단위 지역협의체를 중심으로 이들 아동에 대한 사례관리를 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
⑥ 방학중 결식아동에 대한 대안으로 종합적인 접근이 가능한 사회복지관이나 ‘신나는 집’의 개입이 필요하다.
⑦ 지역아동센터로 결식아동 및 방임아동의 정보집결, 지역내 민간자원 동원 및 급식기능 통합적 수행 가능케 한다.
Ⅲ.맺으며
한나라의 문명화 지수는 자신들의 이익과 권리를 스스로 주장할 수 없는 아동들의 복지수준이 어떠한가에 달려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처럼 아동의 보호와 양육을 철저히 개인과 그 가정에게 맡기는 나라는 문제가 있다. 아동은 부모의 빈부, 인격적 고저, 학력의 고저 등에 상관없이 일정한 수준으로 보호되고 양육되어야 한다. 이런 점에서 우리나라에 이러한 결식아동이 엄존 한다는 매우 부끄러운 점임을 자각하고 이러한 국민의 성원과 민간단체의 참여의지를 승화하고 정부의 정책의지가 결합되어 소년소녀가장과 같이 우리의 부끄러운 자화상을 나타내는 결식아동이란 용어가 빨리 사라져야 할 것이다.
참고자료 및 문헌
한국사회와 아동복지. 문선화구차순박미정김현옥 공저. 양서원. 2005년 3월
보건사회연구원 제20권 제1호
http://mohw.go.kr
http://korea1391.org
http://www.i1391.or.kr/
http://education.sangji.ac.kr/%7Ewelfare/nomunbooks/99/3.hwp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11.12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00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