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해 많은 것을 배우고 있다. 기독교 교육을 통해 진정한 신앙공동체를 회복함은 곧 교회안의 침체된 청년들과 성도들을 깨우고 잠자는 교회를 깨울 수 있는 방법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C. 영적 성장-개인을 교육하기
a. 장점 : 현대사회는 철저한 개인주의 사회이다. 모든 것은 ‘나’를 중심으로 돌아가며 내 이익이 최고의 추구대상인 시대인 것이다. 이러한 풍토 속에서 개인들의 삶을 황폐해져가고 개인들은 영적으로 메말라 있다. 이런 시대에 기독교 교육이 개인들의 영적 성장을 지원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사명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개인의 영성을 회복함으로 그들이 하나님과 교회의 일꾼으로 세워지도록 도울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일 것이다.
b. 단점 : 개인을 위한 기독교 교육은 공동체를 위함이라고 본문은 말하고 있다. 하지만 본문이 말하고 있는 개인의 영성훈련을 위한 방법들. 침묵, 들음, 안식은 혼자만이 하는 훈련방법들이다. 물론 개인의 영성 훈련을 위해 혼자서 훈련해야 하는 부분은 필요하지만 공동체 활동 속에서 개인이 배우고 느낄 수 있는 방법도 제시해야만 한다고 생각한다.
c. 적용 : 우리들은 항상 개인들을 소중하게 생각해야 한다. 개인들은 공동체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궁극적으로 그들을 통해 공동체는 움직인다. 그러한 이들의 영적 성장을 지원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하지만 한국교회에서는 개인의 영적인 성장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 시스템이 정립되어 발전된 것은 얼마 되지 않았다. 혼자서 영적 성장의 과정 속에서 괴로워하는 사람들을 우리는 많이 보게 된다. 기독교 교육은 한국교회의 침체탈출과 성도들의 깨어짐을 위해 더욱 체계적인 교육 시스템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D. 종교교수론
a. 장점 : 이 장을 통해 먼저 그동안 애매했던 ‘교수’의 개념에 대한 정리가 가능했다. 지금까지는 ‘교수’라는 단어가 일방적으로 교사가 학습자를 가르치는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그와 반대의 경우도 중시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나이의 많고 적음을 떠나서 배우고자 하는 열정을 가진 회중과 공동체를 향한 교사와 교수론의 지원은 반드시 필요하며 성도들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도 이는 반드시 필요한 일이라고 생각된다.
b. 단점 : 이 장의 내용에서는 분명 교수를 교사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이라고 말하고 있지만 실제 내용에서는 교사의 역할에 대한 비중이 더 많이 보이고 학습자는 그저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최선이라고만 말하고 있다. 이 점은 분명 수정되어야 하며 학습자의 입장에서 더 상세한 참여에 대한 방법이나 과정들을 제시해주면 좋았을 것이란 생각이 든다.
c. 적용 : 우리들은 일반적으로 교육을 교사에서 학생으로의 일방적인 흐름이라고 생각하기 쉬우며 이는 교사나 학습자가 공통되게 가질 수 있는 생각이다. 하지만 교육은 상호보완적으로 서로에게 영향을 주며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이야기를 나눌 때에 진정으로 의미 있는 교육이 될 것이다. 교회에서 전도사나 교사로 봉사하는 우리들 역시 아이들을 가르침에 있어서 서로에게 배움을 줄 수 있음을 기억해야겠다.
C. 영적 성장-개인을 교육하기
a. 장점 : 현대사회는 철저한 개인주의 사회이다. 모든 것은 ‘나’를 중심으로 돌아가며 내 이익이 최고의 추구대상인 시대인 것이다. 이러한 풍토 속에서 개인들의 삶을 황폐해져가고 개인들은 영적으로 메말라 있다. 이런 시대에 기독교 교육이 개인들의 영적 성장을 지원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사명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개인의 영성을 회복함으로 그들이 하나님과 교회의 일꾼으로 세워지도록 도울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일 것이다.
b. 단점 : 개인을 위한 기독교 교육은 공동체를 위함이라고 본문은 말하고 있다. 하지만 본문이 말하고 있는 개인의 영성훈련을 위한 방법들. 침묵, 들음, 안식은 혼자만이 하는 훈련방법들이다. 물론 개인의 영성 훈련을 위해 혼자서 훈련해야 하는 부분은 필요하지만 공동체 활동 속에서 개인이 배우고 느낄 수 있는 방법도 제시해야만 한다고 생각한다.
c. 적용 : 우리들은 항상 개인들을 소중하게 생각해야 한다. 개인들은 공동체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궁극적으로 그들을 통해 공동체는 움직인다. 그러한 이들의 영적 성장을 지원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하지만 한국교회에서는 개인의 영적인 성장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 시스템이 정립되어 발전된 것은 얼마 되지 않았다. 혼자서 영적 성장의 과정 속에서 괴로워하는 사람들을 우리는 많이 보게 된다. 기독교 교육은 한국교회의 침체탈출과 성도들의 깨어짐을 위해 더욱 체계적인 교육 시스템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D. 종교교수론
a. 장점 : 이 장을 통해 먼저 그동안 애매했던 ‘교수’의 개념에 대한 정리가 가능했다. 지금까지는 ‘교수’라는 단어가 일방적으로 교사가 학습자를 가르치는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그와 반대의 경우도 중시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나이의 많고 적음을 떠나서 배우고자 하는 열정을 가진 회중과 공동체를 향한 교사와 교수론의 지원은 반드시 필요하며 성도들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도 이는 반드시 필요한 일이라고 생각된다.
b. 단점 : 이 장의 내용에서는 분명 교수를 교사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이라고 말하고 있지만 실제 내용에서는 교사의 역할에 대한 비중이 더 많이 보이고 학습자는 그저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최선이라고만 말하고 있다. 이 점은 분명 수정되어야 하며 학습자의 입장에서 더 상세한 참여에 대한 방법이나 과정들을 제시해주면 좋았을 것이란 생각이 든다.
c. 적용 : 우리들은 일반적으로 교육을 교사에서 학생으로의 일방적인 흐름이라고 생각하기 쉬우며 이는 교사나 학습자가 공통되게 가질 수 있는 생각이다. 하지만 교육은 상호보완적으로 서로에게 영향을 주며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이야기를 나눌 때에 진정으로 의미 있는 교육이 될 것이다. 교회에서 전도사나 교사로 봉사하는 우리들 역시 아이들을 가르침에 있어서 서로에게 배움을 줄 수 있음을 기억해야겠다.
추천자료
스포츠 예술로서 탈춤과 기독교 교육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스포츠예술
탈인습적 기독교 교육
개화기 기독교가 한국근대교육에 미친 영향-긍정및부정
21세기를 향한 기독교 교육
영성교육과정에 대한 기독교 교육적 접근
기독교 교육개론 정리
청소년의 신앙발달과 기독교 교육
코메니우스의 기독교 교육 사상 연구
피아제 이론의 유아 기독교 교육 적용
[기독교 부모교육] 교회학교 부모교육
기독교 유아교육의 내용과 발달심리학 이론과의 관계
기독교 교육
[기독교교육론] 솔로몬의 영적 지도력에 관한 연구 (솔로몬의 생애, 영적 리더십의 원천, 영...
『돈과 경제와 그리스도인』 _ 조성국 저 [기독교인간학과교육, 인간학 서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