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 청소년기의 이해를 위한 이론적 근거
1. 청소년기의 정서발달
2. 청소년기의 인지발달
3. 청소년기의 도덕발달
4. 청소년기의 신앙발달
Ⅲ. 제임스 파울러의 신앙발달 이론
1. 신앙의 이해
2. 신앙의 개념
3. 신앙발달의 6단계
4. 신앙발달론의 영향
Ⅳ. 청소년기의 교회교육
1. 교육목적과 목표
2. 교육 내용
3. 교육 방법
4. 교회의 역할
Ⅴ. 결론
Ⅱ. 청소년기의 이해를 위한 이론적 근거
1. 청소년기의 정서발달
2. 청소년기의 인지발달
3. 청소년기의 도덕발달
4. 청소년기의 신앙발달
Ⅲ. 제임스 파울러의 신앙발달 이론
1. 신앙의 이해
2. 신앙의 개념
3. 신앙발달의 6단계
4. 신앙발달론의 영향
Ⅳ. 청소년기의 교회교육
1. 교육목적과 목표
2. 교육 내용
3. 교육 방법
4. 교회의 역할
Ⅴ. 결론
본문내용
갖게 해주어야 할 것이다. 교회가 청소년에게 긍정적인 자아상을 갖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다음의 몇 가지로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변세권, 53-5.
첫째, 지원적 교역(support ministry)으로 교회는 청소년들 자신이 가치가 없다고 느끼는 그 곳에서도 하나님이 실제로 그들을 보호하시며 감싸주신다고 하는 신뢰와 그리고 그들 자신이 먼저 하나님의 사랑으로 접촉되어 있음을 다시 인식하게 함으로 청소년들에게 용기를 북돋우어 줄 수 있다. 둘째, 긍정의 교역(affirmation ministry)으로 교회는 청소년들의 다양성을 받아들이고, 긍정적인 견해로 그들 자신의 독특성을 격려해주어야 한다. 셋째, 상호 인격적 교역(interpersonal ministry)으로 청소년들이 어른 곧 의미 있는 사람과의 대화를 통해 그들의 삶을 긍정적 삶의 방식으로 회복하게 해주는 역할을 감당해야 한다.
Ⅴ. 결론
신앙은 인간에게 삶이 지향하는 바를 제시하여 삶의 목적과 가치를 깨닫게 해준다. 청소년기는 성인기로 도약하는 준비기간으로서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청소년들은 이 시기에 자아에 대해 새로운 의식을 갖기 시작하여 전까지 지녔던 자아의식과는 달라 정체감의 혼란을 경험하게 된다. 또한 논리적 사고의 발달로 모든 것을 지적 측면으로 보게 되어 회의적이라는 특성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시기의 신앙교육은 그들에게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내면에 잠재되어있는 무의식을 발견할 수 있고 영원한 지지자인 하나님과의 올바른 관계성을 통해 삶을 긍정적으로 살아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교회는 그들이 온전한 성숙을 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하며, 교회의 지도자들은 이시대의 미래인 청소년들에게 많은 관심을 보여주어야 할 것이다. 교회의 구성원으로서의 청소년들이 바른 자리를 찾아갈 때 그들의 삶과 아울러 우리의 미래는 가꾸어져 갈 것이다. 파울러의 전인적인 신앙이해는 신앙발달이 전인격적인 발달과 그 맥을 같이한다는 점에서 균형적인 신앙발달을 위해 기독교 교육이 노력해야 할 것을 시사해주고 있다.
참고자료
1. 단행본
강희천. 기독교교육사상사.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3.
________ 기독교교육의 비판적 성찰.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9.
손승희. 기독교 교육학. 서울: 기독교방송, 1983.
윤주병. 종교심리학. 서울: 성광사, 1986.
이금만. 발달심리와 신앙교육. 서울: 크리스챤 치유목회연구원, 2000.
정옥분 외 2인. 청년발달의 이론. 서울: 양서원, 2003.
한상철. 청소년학 총론. 서울: 양서원, 1999.
Crain, William C. 발달의 이론. 서봉연 역.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1983.
Cully, Iris V. 아동의 기독교 교육개발. 홍철화 역. 서울: 컨콜디아사, 1985.
Flavell, John. H. 발달심리학. 서봉연, 이순형 역.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1983.
Fowler, James. W. 신앙의 단계들. 이재은 역. 서울: 대한기독교 출판사, 1986.
________ 변화하는 시대를 위한 기독교교육. 박봉수 역.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6.
Groome, Thomas H. 기독교적 종교교육. 이기문 역.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3.
Tillich, J. O. Paul. 신앙의 다이나믹스. 이병섭 역. 서울: 신태양사, 1978.
Erikson, E. H. Childhood and Society: New York: W. W. Norton, 1950.
Flower, James W. Stages in faith : The Structural-Developmental Approach, (ed. by) Thomas, Hennessy, Values and Moral Development. New York: Paulist, 1976.
Flower, James W. & Sam. Keen. Life Maps : Conversations on the Journey of Faith, edited by Jerome Berryman, Waco: Texas: Word Book, 1978.
Flower. James W. Stages of faith : The Psychology of Human Development and the quest for Meaning. New York : Harper & Row, 1981.
Goleman R. Readiness for Religion. New York: The seabury press, 1964.
Osmer, R. R. Teaching for Faith, Louisville: West Minster/John Knox Press, 1989.
Smart, J. D. The Teaching Ministry of The Church, Philadelphia: Westminster, 1945.
Smith, W. C. The Meaning And End of Religion, New York: Macmillan, 1963.
2. 정기간행물
강희천. “청년기와 종교교육.” 현상과 인식, 10권 2호 (1986): 143-75.
사미자. “파울러의 신앙발달 이론에 나타난 발달요인에 관한 고찰.” 교회와 신학, 23집 (1991): 384-401.
장종철. “파울러의 신앙발달과 기독교 교육.” 신학논단, 16집 (1983) :349-72.
3. 미간행물
김미열. “교회학교청소년 교육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문민정. “아동청소년의 신앙발달에 대한 탐색적 연구: Flower의 신앙발달 이론을 중심으 로.”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변세권. “기독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형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관리과학 대학원, 2001.
신준휘. “영성교육과 신앙발달교육의 통합연구.” 석사학위논문, 기독신학대학교 대학원, 2001.
유수현. “청소년의 신앙발달을 위한 교육목회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이종웅. “파울러의 신앙 발달론의 교회 교육적 적용.” 석사학위논문, 한신대학교 대학원, 2002.
첫째, 지원적 교역(support ministry)으로 교회는 청소년들 자신이 가치가 없다고 느끼는 그 곳에서도 하나님이 실제로 그들을 보호하시며 감싸주신다고 하는 신뢰와 그리고 그들 자신이 먼저 하나님의 사랑으로 접촉되어 있음을 다시 인식하게 함으로 청소년들에게 용기를 북돋우어 줄 수 있다. 둘째, 긍정의 교역(affirmation ministry)으로 교회는 청소년들의 다양성을 받아들이고, 긍정적인 견해로 그들 자신의 독특성을 격려해주어야 한다. 셋째, 상호 인격적 교역(interpersonal ministry)으로 청소년들이 어른 곧 의미 있는 사람과의 대화를 통해 그들의 삶을 긍정적 삶의 방식으로 회복하게 해주는 역할을 감당해야 한다.
Ⅴ. 결론
신앙은 인간에게 삶이 지향하는 바를 제시하여 삶의 목적과 가치를 깨닫게 해준다. 청소년기는 성인기로 도약하는 준비기간으로서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청소년들은 이 시기에 자아에 대해 새로운 의식을 갖기 시작하여 전까지 지녔던 자아의식과는 달라 정체감의 혼란을 경험하게 된다. 또한 논리적 사고의 발달로 모든 것을 지적 측면으로 보게 되어 회의적이라는 특성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시기의 신앙교육은 그들에게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내면에 잠재되어있는 무의식을 발견할 수 있고 영원한 지지자인 하나님과의 올바른 관계성을 통해 삶을 긍정적으로 살아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교회는 그들이 온전한 성숙을 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하며, 교회의 지도자들은 이시대의 미래인 청소년들에게 많은 관심을 보여주어야 할 것이다. 교회의 구성원으로서의 청소년들이 바른 자리를 찾아갈 때 그들의 삶과 아울러 우리의 미래는 가꾸어져 갈 것이다. 파울러의 전인적인 신앙이해는 신앙발달이 전인격적인 발달과 그 맥을 같이한다는 점에서 균형적인 신앙발달을 위해 기독교 교육이 노력해야 할 것을 시사해주고 있다.
참고자료
1. 단행본
강희천. 기독교교육사상사.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3.
________ 기독교교육의 비판적 성찰.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9.
손승희. 기독교 교육학. 서울: 기독교방송, 1983.
윤주병. 종교심리학. 서울: 성광사, 1986.
이금만. 발달심리와 신앙교육. 서울: 크리스챤 치유목회연구원, 2000.
정옥분 외 2인. 청년발달의 이론. 서울: 양서원, 2003.
한상철. 청소년학 총론. 서울: 양서원, 1999.
Crain, William C. 발달의 이론. 서봉연 역.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1983.
Cully, Iris V. 아동의 기독교 교육개발. 홍철화 역. 서울: 컨콜디아사, 1985.
Flavell, John. H. 발달심리학. 서봉연, 이순형 역.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1983.
Fowler, James. W. 신앙의 단계들. 이재은 역. 서울: 대한기독교 출판사, 1986.
________ 변화하는 시대를 위한 기독교교육. 박봉수 역.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6.
Groome, Thomas H. 기독교적 종교교육. 이기문 역.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3.
Tillich, J. O. Paul. 신앙의 다이나믹스. 이병섭 역. 서울: 신태양사, 1978.
Erikson, E. H. Childhood and Society: New York: W. W. Norton, 1950.
Flower, James W. Stages in faith : The Structural-Developmental Approach, (ed. by) Thomas, Hennessy, Values and Moral Development. New York: Paulist, 1976.
Flower, James W. & Sam. Keen. Life Maps : Conversations on the Journey of Faith, edited by Jerome Berryman, Waco: Texas: Word Book, 1978.
Flower. James W. Stages of faith : The Psychology of Human Development and the quest for Meaning. New York : Harper & Row, 1981.
Goleman R. Readiness for Religion. New York: The seabury press, 1964.
Osmer, R. R. Teaching for Faith, Louisville: West Minster/John Knox Press, 1989.
Smart, J. D. The Teaching Ministry of The Church, Philadelphia: Westminster, 1945.
Smith, W. C. The Meaning And End of Religion, New York: Macmillan, 1963.
2. 정기간행물
강희천. “청년기와 종교교육.” 현상과 인식, 10권 2호 (1986): 143-75.
사미자. “파울러의 신앙발달 이론에 나타난 발달요인에 관한 고찰.” 교회와 신학, 23집 (1991): 384-401.
장종철. “파울러의 신앙발달과 기독교 교육.” 신학논단, 16집 (1983) :349-72.
3. 미간행물
김미열. “교회학교청소년 교육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문민정. “아동청소년의 신앙발달에 대한 탐색적 연구: Flower의 신앙발달 이론을 중심으 로.”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변세권. “기독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형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관리과학 대학원, 2001.
신준휘. “영성교육과 신앙발달교육의 통합연구.” 석사학위논문, 기독신학대학교 대학원, 2001.
유수현. “청소년의 신앙발달을 위한 교육목회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이종웅. “파울러의 신앙 발달론의 교회 교육적 적용.” 석사학위논문, 한신대학교 대학원, 2002.
추천자료
기독교교육사상-히브리 교육
생명공학과 기독교교육
고대와 중세 신앙교육
기독교교육적으로 본 한국사회성인들의 문제점(성문제를 중심으로)
바로크시대의 기독교교육 자료(미리보기 및 목차확인요^^)
개척교회 교육분석 및 방안 -현대 기독교 교육사조론 개척교회의 기독교교육 (Christian Reli...
[기독교교육]주일학교 교사의 정의 - 하나님이 주시 직분, 선생, 모든 교육과정의 열쇠
[기독교교육]바람직한 교사상(敎師像) 권위(權威·Athority)가 있는 교사 - 영적 권위, 지적 ...
[기독교교육]바람직한 교사상(敎師像) 가르치는 은사가 있는 교사 - 가르침에 대한 분명한 이...
[기독교교육] 기독교 교사교육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 교사 교육의 문제점 및 교사 교육 방안
[기독교교육심리] 자발적 조건화 학습(Operant Conditioning Learning) (손다이크와 스키너)
[기독교교육사] 칼빈(칼뱅/Calvin)에게 있어서 학교교육
아동을 위한 교육신학적 관점 [기독교유아동교육]
신약에 나타난 아동교육 [기독교유아동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