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러스킨(John Ruskin)의 삶과 예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존 러스킨 [Ruskin, John] 영국의 비평가, 저술가, 미술운동가

주요저서
《건축의 칠등(七燈)》(1849)
《베니스의 돌 The Stones of Venice》(1851~1853)
《참깨와 백합》(1865)
▶ 존 러스킨의 삶과 예술
<연보>

▶미술 공예운동에의 영향
▶ 예술과 사회에 관한 러스킨의 관점
▶존 러스킨에 대한 평
<비난>
<비평>
<주장>


<참고문헌>

본문내용

상은 허위를 버리고 자연 상태의 스스로로 돌아가서 자연의 본성에 충실하는 것이다. 예술의 본질은 상상력과 교감이고 자연의 재발견을 통해 삶의 질을 고양시켜준다 하였다. 바로 이것이 예술의 사회적 도덕적 역할이라고 주장하였다.
▶존 러스킨에 대한 평
<비난> 공업이 확립된 기존가치를 격하시키고 지방, 읍, 도시에 추악함을 끌어들이고 있다고 보았다.
<비평> 미학과 윤리학을 하나의 동전의 양면으로 보았다. 중세의 수공예 전통을 재확립한다면 그의 시대가 공업화의 영향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믿었으며 이 공업화는 파괴적, 부정적인 것이었다.
<주장> 인간의 생각은 다른 인간의 손으로 실현될 수 있거나 실현되어야만 한다는 점과 손에 의한 작업이 지성에 의해 지배되면 등급이 떨어진다는 점이다. 사고가 서로 분리되어 가는 경향이 증대되고 있음을 한탄하였다. 사고와 노동을 결합시킴으로서 공예가는 예술가가 될 수 있다. 예술가는 항상 공예가이어야만 한다고 주장하였다.
<참고문헌>
솔로몬 피시맨(1999). 미술의 해석. 학고재
http://www.suhrin.com
http://omniknow.com
http://www.speel.demon.co.ur
네이버 백과사전
  • 가격2,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5.11.13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04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