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사노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Ι. 隨의 건국과 남북조 통일

1. 隨의 남북조 통일

2.文帝(문제)의 통일정책

Ⅱ. 隨나라 통일의 역사적 의미

1. 隨의 통일의 의의

2. 北周·隨·唐 정권의 성격

제2절 唐(당)제국의 건국과 발전

Ⅰ. 唐제국의 성립

1. 唐의 중국 통일

2.(+3) 貞觀(정관)의 치세와 唐의 발전 그리고 호한체제에서 중화체제로 전환

Ⅱ. 唐제국의 사회변화와 安史(안사)의 난

1. 則天武后(측천무후)의 등장과 지배질서의 재편성

2. 玄宗(현종)의 치세와 율령체제의 해체

3. 安·史의 난과 사회구조의 변혁

Ⅲ. 節度使(절도사)의 등장과 당제국의 붕괴

1. 절도사(군벌)세력의 등장

2. 환관의 전횡과 門生天子(문생천자)

3. 당쟁의 격화와 정치질서의 붕괴

4. 황소에 의한 농민반란

5. 농민반란과 당왕조의 지속

제3절 唐代(당대)의 사회와 경제

Ⅰ. 율령국가와 율령체제

1. 율령국가의 성격

2. 唐의 율령내용

Ⅱ. 唐제국의 지배체제

1. 당대 관제의 변천과 특성

2.당대 三省六府체제의 구조적 성격

3. 지방관제의 완성

4. 부병제도에서 모병제도로의 변화

5. 관인양성을 위한 학교교육

6. 과거제도의 발달

Ⅲ. 當代의 사회구조

1. 지배계층의 구조적 변화

2. 당대의 신분제도와 양천신분제의 구조적 특징

Ⅳ. 당대 경제구조와 산업생산의 발달

1. 당대 균전제의 성격

2.당대 균전제의 문제점

3. 租(조)·庸(용)·調(조)에서 兩稅法(양세법)으로 전환

4. 장원제의 발달장원제도 : 균전제 붕괴(8세기 중기)이후 발달

5. 地主(지주)·佃戶制(전호제)의 성립

6. 산업생산의 발전과 화폐경제 및 금융업의 발달

7. 도시의 발달과 대외무역의 확충

제4절 當代의 국제적 문화

Ⅰ. 唐 문화의 발전과 동아시아 문화권

1. 당 문화의 특색

2. 당대 동아시아 문화권의 완성

3. 동아시아 문화권의 기본요소

Ⅱ. 사상과 종교의 발전

1. 유교의 관학화와 사상계의 새 바람

2. 중국적 불교의 성립과 불교문화

3. 국가권력에 의한 도교의 발전

Ⅲ. 학문, 예술 및 과학의 발달

1. 역사학의 새로운 전개

2.唐詩의 발달

3. 소설의 유행과 고문부흥운동

4. 미술․공예․음악

5. 과학기술의 발달

본문내용

과감한 개방
(외국인에 대한 관직 부여, 長安城(장안성)-국제도시)
2. 당대 동아시아 문화권의 완성
①정치군사면에서 당과 주변 각국간의 긴밀한 정치 문화적 유대관계 촉진
㉠수나라의 중국통일과 당제국의 출현이 국제질서 결정적 영향
㉡영토의 확대와 6도호부의 설치, 羈靡(기미)정책, 冊封體制(책봉체제) - 긴밀한 문화관계
㉢개방주의 정책으로 주변국간의 교류 활발
3. 동아시아 문화권의 기본요소
①동아시아 문화권 : 한대에 형성되기 시작 →위진남북조시대에 발전 →唐 출현으로 완성
②유교, 불교, 율령체제, 한자의 완성단계
㉠ 유교 한대에 발달 -> 위진 남북조시대에 쇠퇴 -> 통치이념 →당대에 이르러 유교주의에
바탕을 둔 중앙집권적 황제지배체제를 지향하고 율령국가체제를 완성
유교경전의 통일 :五經正義(오경정의)
유학과 국가권력이 결합되어 동아시아 국가의 유교문화형성에 영향
㉡ 불교 위진 남북조시대 : 불교가 발전하기는 했으나, 주술불교이며 번역불교 단계
북위, 북주의 폐불 사건이후 자생적인 자립의 방향을 모색하고 중국적 불교 완성
㉢ 율령체제 진한제국 이래 형성되어온 결과, 당에 의해 율령국가의 지배체제 완성
동아시아 각국에 전파되어 율령국가 형성
㉣ 한자 일반대중이 접근하기 어려운 귀족층의 문자 →당대에 이르러 문화요소 전달의
매체가 됨 ⇒한자의 소화가 민족과 국가의 존폐를 결정지음
동아시아 각국은 한자를 변형하여 문화매개체로 활용 :신라 이두, 일본 가다가나
③ 당제국의 붕괴 이후 동아시아세계의 역사적 전개가 전혀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었고
이와 함께 등장하는 정복왕조의 대응자세가 전혀 다른 문화적 특색을 지님
Ⅱ. 사상과 종교의 발전
1. 유교의 관학화와 사상계의 새 바람
①한대 : 유학 발달
②위진남북조 : 노장사상의 영향으로 변질, 불교의 발전으로 쇠퇴, 유교경전 해석 구구, 분열
③당
㉠유교경전 해석 통일 : 당태종 때 공영달 五經正義(오경정의) 편찬
->학문의 어용화 초래, 유교사상발전에 폐단 가져옴
㉡당 후기 : 획일화된 훈고학 비판, 불교사상의 영향으로 새로운 바람
*한유이고유종원유우석-불교 비판, 훈고학적 방법 부정, 새로운 사상체계 수립
㉠한유 : 原道(원도):유가 부활, 原性(원성):성은 인의예지신으로 구성, 상중하의 3품으로 구분됨
㉡이고 : 復姓書(복성서), 論語筆解(논어필해) 저술 +유종원 : 天說(천설) +유우석 : 天論(천론)
→사상계의 새바람을 일으킴, 송대 성리학 성립에 영향
2. 중국적 불교의 성립과 불교문화
①수당시대 : 중국적 불교 확립
북위 태무제, 북조 무제의 폐불 사건과 관련(내면적 종교적 고뇌, 자기반성으로 전화위복 계기)
남북조의 미신적 주술, 가람불교에서 벗어나 내면적으로 체제 정비하여 종파, 교단 형성
㉠ 천태종, 법상종, 화엄종, 정토종, 선종, 밀종
(1)천태종 : 천태대사 지의, 법화경 중심 불교 통합한 종합불교, 좌선과 정혜쌍수, 법화종, 남방
(2)화엄종 : 북방, 화엄경, 모든 현상의 근본은 진심
(3)선종과 정토종 : 가장 중국적 불교로 발전, 간결한 종교성, 하나로 융합되어 현재까지 발전
(4)법상종 : 현장, 유식경, 유식론
(5)밀종 : 개원의 3대승(선무외, 김강지, 불공)
→선종만은 중국적 불교로 발전(중국불교의 대종), 송대 성리학 발전의 원동력
②중국에 전파된 불교가 완수한 역사적 사명
㉠중국사상국민성에 맞게 변모 : 지배자의 특권적 지위권위유지 위해 신비적,주술적 종교로 변모
큰 사찰, 불탑, 불상 만들어짐→호국불교로 변화
㉡불경 번역의 한자화 : 한자에 대한 우월감, 중화의식의 발로, 한역대장경 편찬
㉢당대 시문 : 불교사상, 불교적 신비성 가미, 송대 명대 주자학과 양명학 발전
도교의 전진교 성립에도 영향을 줌
㉣동아시아 각국에도 영향, 석굴사원 불상, 탑파의 건축으로 예술방면에 끼친 공헌이 지대
㉤당대 구법을 위해 서역제도, 인도 여행한 승려들의 저술은 역사지리 연구에 중요 사료
㉥과학발전에 공헌 : 천문학, 수학
3. 국가권력에 의한 도교의 발전
①당왕조의 국가권력과 밀착되어 발전
②불교와 자주 대립
③무종 때 폐불 사건으로 도교세력 신장
Ⅲ. 학문, 예술 및 과학의 발달
1. 역사학의 새로운 전개
①수당제국 : 유교경정 해석 통일, 정사 편찬 국가가 장악
㉠사찬서에서 관찬서로 문서화 됨
㉡새로운 체제의 사찬역사서 편찬 : 유지기 <사통>, 두우 <통전>
(1)유지기의 私通(사통): 중국역사상 최초의 역사이론서, 사찬 주장, 재능지식의식, 지필직서
(2)두우의 通典(통전): 제도와 문물을 유형별로 분류 기술한 제도서
(3)백과사전적 유서 발달
㉢ 주석서 발달, 지방지 편찬, 지도(목판의 군국분합도)
㉣ 현장의정 : 大唐西域記(대당서역기), 남해기소내법전 - 서역과 인도지방의 역사지리서
2.唐詩의 발달
①당시 : 이전의 고시, 율시를 종합 + 당의 국제귀족적 문화성격을 담아 정신문화의 정수로 발전
②발전단계에 따라 초당, 성당, 중당, 만당으로 구분
3. 소설의 유행과 고문부흥운동
①흥미위주의 소설 유행, 전기와 변문으로 나뉨
②고문부흥운동 : 진한시대의 산문을 회복하고 현실생활을 문학에 반영하며 사상을 표현하는데
적합한 산문체를 만들자는 운동
4. 미술공예음악
①그림 : 종교화, 인물화 발달. 명암과 요철법 반영. 산수화 발달(이사훈 : 북종화 시조), 전문화
육조시대부터 시서화가 삼위일체되어 발달, 송대에 완전 일치
②당삼채 : 당대의 도자기를 대표, 귀족문화를 상징, 페르시아의 영향
③건축기술 : 축성규모와 치밀함, 설계의 웅장함과 규모의 과학성
④불상과 석굴사원의 조각예술 : 돈황의 막고굴
→ 당대의 공예품, 미술문양 : 페르시아의 영향이 많이 나타남
⑤음악 : 아악(궁정의례), 속악(민간), 호악(서역), 군악(군대)
5. 과학기술의 발달
①천문, 역학 전문기구 : 太史監(태사감) - 천문 계산과 의기 제작
②의학,약학 : 太醫署(태의사), 尙藥局(상약국), 의박사, 鍼灸師(침구사) 등
③출판과 인쇄기술 : 조판인쇄, 金剛經(금강경) -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조판인쇄물
㉠인쇄기술 발달은 문화 전파와 보급에 촉진제, 문화의 대중화에 기여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1.09.15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19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