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수와 당 제국
2. 수의 실크로드 정복과 멸망
3. 당의 실크로드 정복
4. 당으로 불어닥친 이란풍
(1)이란풍의 원인
(2)의식주에 있어서의 이란풍
(3)예술의 있어서의 이란풍
(4)가무음곡에 있어서의 이란풍
(5)백희
(6)조로아스터교
(7)마니교
(8)경교
5. 새로운 세력의 등장과 당의 쇠퇴
6. 중국인이 실크로드에 남긴 문화
(1)타림분지의 중국문화
(2)투르판 주변의 중국문화
(3)종이의 전파
2. 수의 실크로드 정복과 멸망
3. 당의 실크로드 정복
4. 당으로 불어닥친 이란풍
(1)이란풍의 원인
(2)의식주에 있어서의 이란풍
(3)예술의 있어서의 이란풍
(4)가무음곡에 있어서의 이란풍
(5)백희
(6)조로아스터교
(7)마니교
(8)경교
5. 새로운 세력의 등장과 당의 쇠퇴
6. 중국인이 실크로드에 남긴 문화
(1)타림분지의 중국문화
(2)투르판 주변의 중국문화
(3)종이의 전파
본문내용
드는 당에서 위구르, 아랍의 손을 거쳐 서방제국에 이르고 있었던 것이다.
6. 중국인이 실크로드에 남긴 문화
(1)타림분지의 중국문화
한의 망루지와 둔전의 유적, 각 오아시스에서 출토된 엄청난 한문문서는 당시 각지에서 거주한 사람들이 어떠한 생활을 하고 있었던가를 보여준다. 하지만 이 것은 현지인이 한문을 사용했다기보다는 그곳에 머문 중국인이 사용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단, 목간의 형식과 봉니 등에서 다소 중국문화의 영향을 볼 수 있다.
(2)투르판 주변의 중국문화
이곳은 중국풍의 의식주를 사용했고, 관혼상제에 이르기까지 모두 중국풍 이였 다. 또, 트르판 근방의 굴원에서는 자주 중국풍의 벽화가 발견되고 특히 위구르지 배시대의 유물에는 그러한 경향을 볼 수 있다.
(3)종이의 전파
탈라스 강의 전투에서 많은 당군이 적의 포로가 되었는데 그 중에는 종이를 뜨 는 기술자가 있어서 사마르칸드에 보내지고 사마르칸드에서도 종이가 생산되게 되었다. 이 제지법은 점차 서쪽으로 전해져 14세기에는 프랑스에까지 전해지게 되었다. 이로써 실크로드의 말단이 어떻게 서방세계에 맞닿아 있었던가를 알 수 있다.
종이 외에도 도자기, 철기, 차등 중국물자가 서아시아로 전해졌다.
6. 중국인이 실크로드에 남긴 문화
(1)타림분지의 중국문화
한의 망루지와 둔전의 유적, 각 오아시스에서 출토된 엄청난 한문문서는 당시 각지에서 거주한 사람들이 어떠한 생활을 하고 있었던가를 보여준다. 하지만 이 것은 현지인이 한문을 사용했다기보다는 그곳에 머문 중국인이 사용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단, 목간의 형식과 봉니 등에서 다소 중국문화의 영향을 볼 수 있다.
(2)투르판 주변의 중국문화
이곳은 중국풍의 의식주를 사용했고, 관혼상제에 이르기까지 모두 중국풍 이였 다. 또, 트르판 근방의 굴원에서는 자주 중국풍의 벽화가 발견되고 특히 위구르지 배시대의 유물에는 그러한 경향을 볼 수 있다.
(3)종이의 전파
탈라스 강의 전투에서 많은 당군이 적의 포로가 되었는데 그 중에는 종이를 뜨 는 기술자가 있어서 사마르칸드에 보내지고 사마르칸드에서도 종이가 생산되게 되었다. 이 제지법은 점차 서쪽으로 전해져 14세기에는 프랑스에까지 전해지게 되었다. 이로써 실크로드의 말단이 어떻게 서방세계에 맞닿아 있었던가를 알 수 있다.
종이 외에도 도자기, 철기, 차등 중국물자가 서아시아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