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구지가>의 작품적 성격과 그 해석
ⅰ. 머리말
ⅱ. 주술유형과 전승양상
ⅲ. 전승상의 의미
Ⅱ. <구지가>의 해석
ⅰ. 서론
ⅱ. 본론 - 1.‘거북’과 ‘거북의 머리’는 무엇을 상징하는가?
2. 왜 威嚇的 言辭를 사용하는가?
3. 掘峰頂撮土’는 어떻게 해석되어야 하는가.
ⅲ. 마무리
Ⅲ.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 살펴보기 - 문원각 문학 下, 디딤돌 문학 下
Ⅳ. 발표 제안서
Ⅴ. 지도안
ⅰ. 머리말
ⅱ. 주술유형과 전승양상
ⅲ. 전승상의 의미
Ⅱ. <구지가>의 해석
ⅰ. 서론
ⅱ. 본론 - 1.‘거북’과 ‘거북의 머리’는 무엇을 상징하는가?
2. 왜 威嚇的 言辭를 사용하는가?
3. 掘峰頂撮土’는 어떻게 해석되어야 하는가.
ⅲ. 마무리
Ⅲ.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 살펴보기 - 문원각 문학 下, 디딤돌 문학 下
Ⅳ. 발표 제안서
Ⅴ. 지도안
본문내용
보이는 부분이었다. 또한 문원각 교과서에서는 고대 문학을 살펴볼 때 고대문학의 태동과 삼국 시대의 문학이라는 큰 제목만을 제시해 놓았는데 이와는 다르게 디딤돌 문학 교과서는 원시부터 통일 신라 시대의 문학을 〔원시문학〕〔고대의 국중대회(國中大會)와 건국 신화〕〔서정 가요의 발생〕〔한문과 불교의 도입과 중세 문학의 전개〕〔향가(鄕歌)의 발전〕과 같이 세분화 하여 제시한 점이 좋았다. ‘시야 넓히기’ 부분에서도 현대문학에 속하는 염상섭의 「삼대」와 채만식의「태평천하」의 삼대 이야기를 「단군신화」의 삼대와 비교하며 제시한 점은 매우 참신한 점이다. 소단원 ‘구지가’ 에서도 문원각 교과서와는 달리 디딤돌 교과서에서는 배경설화속에 구지가를 넣음으로써 이야기와 구지가의 연계성을 잘 드러내 주었다는 점이 좋았다. 또한 ‘구지가’의 원문 텍스트를 제시하고 날개부분에 생소한 한자 어휘에 대한 뜻풀이를 적어 놓아서 학생들이 원문을 이해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꼼꼼히 읽기’ 부분에서는 문제를 제시하기 전에 문제를 풀기 전에 학생들이 알아야할 내용을 짚어주고 있어 학생들 스스로 문제를 풀기에 어려움이 없도록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문원각 문학교과서와 디딤돌의 교과서에서 「구지가」와 「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학습하는 내용을 설정하여 유사한 텍스트를 비교 대조하여 다양한 작품을 접하는 기회를 제공한 것도 높이 평가할 만한 부분이다.
▶참고문헌◀
김성언, 「구지가의 해석」,『한국문학사의 쟁점』, 1993.
성기옥, 「‘구지가’의 작품적 성격과 그 해석(1)」, 『울산어문논집 제 3집』,1987.
Ⅳ. 발표 제안서
▶ 선정작품 : 구지가
▶ 수업대상 : 고등학교 2학년
▶ 수업의 주안점
① <구지가>는 수로왕을 맞이하는 집단 의식의 한 과정을 표현한 것으로서 흙을 파서 모으는 행위 및 춤과 노래가 조화를 이룬 집단의 노래이다. 그러나 문학 교과서에는 <구지가>를 시의 형태로 감상을 하는 데에서 그치고 있다. 본 지도안에서는 <구지가>가 원시종합예술이 행해지는 시대의 노래라는 점에 착안하여 학습자에게 <구지가>를 노래로 만들어볼 것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서 학습자의 창의성을 길러줄 수 있으며, 어렵고 딱딱한 고전시가를 흥미있게 학습할 수 있을 것이다.
② <구지가>는 삼국유사 기이 제이의 가락국기 편에 실려있다. 배경설화 속에 실려있기 때문에 <구지가>는 작품 자체만 제시하기 보다 배경설화의 맥락 속에서 이해해야 그 성격을 제대로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수업에서는 <구지가>와 배경설화를 따로 제시하지 않고 배경설화 속에 삽입된 <구지가>의 형태를 원문 그대로 제시하였다.
③ <구지가>는 영신군가이지만 그 형태가 ‘호칭-명령-가정-위협’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수업에서는 학습자에게 그 시대의 사람이 되어 영신군가를 지어보도록 하였다. 왕을 맞이하기 위한 노래이기 때문에 학습자는 보통 정중한 어법을 사용하리라 생각한다. 이 활동을 통해서 학습자는 자신들이 지은 영신군가와 비교해 <구지가>의 말하기 방식과 그 효과에 대해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④ 본 수업에서는 <구지가>의 해석본을 제시하지 않고 학습자가 직접 옥편을 찾아 해석해보도록 하였다. 어려운 한자가 많지 않고 분량도 적기 때문에 고2의 학습자가 충분히 해석할 수 있다고 보았다. 학습자가 어렵게 생각하는 한문 원문을 제공하여 그것을 해석해 봄으로써 학습자는 <구지가>의 뜻과 문맥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으며 한문 문장을 해석함으로써 뿌듯함을 느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⑤ 본고에서는 <구지가>와 다른 나라의 주술요를 비교해보도록 하였다. 이 활동을 통해 학습자는 세계 문학 전체를 두고 볼 때 상고 시대의 문학은 모두 비슷하게 전개되었음을 확인해 볼 수 있다.
⑥ 문학의 감상은 상상력을 필요로 한다. 특히 사료가 부족한 상고시대의 문학은 특히 그러하다. 본 수업에서는 학습자가 구지가의 배경설화의 인물이 되어 일기를 써보는 활동을 하도록 하였다. 이 활동을 통해서 학습자는 문학적 상상력을 길를 수 있으며 작품의 화자나 주인공이 되어 그들의 삶과 정서를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Ⅴ. 수업지도안
ⅰ. 단원설정의 이유
인간은 무슨 이유로, 또 무엇을 위해 문학을 창작하고 향유하게 되었을까? 이런 의문을 푸는 방법은 여러 가지겠지만 가장 좋은 방법의 하나는 문학이 처음 등장했을 때의 여러 모습들을 살펴보는 일이다. 문학이 처음 등장하였을 때 어떤 형식이었으며, 무엇을 위한 것이었으며, 그 내용과 표현은 어떠했는지를 살펴보면 오늘날 다양하게 전개되는 문학의 여러 모습을 투시하는 안목을 가질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문학의 본질을 파악하는 데에는 상고 시대의 문학이 첩경이 될 수 있다.
상고 시대의 문학은 또 우리 민족 문학의 원류에 해당한다. 이웃 나라와 교류하면서 우리 문학도 다양한 형태로 전개되었지만, 각 시대의 문학마다 초기 문학의 여러 특질들이 재현되거나 변형되어 나타남을 발견할 수 있다. 이 점에서도 상고 문학을 주목해야 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이유로 상고 시대의 문학 중 구지가를 학습하도록 하겠다. 구지가를 통해서 상고 시대의 문학에 대해 살펴보고 어떤 형식이었으며, 무엇을 위한 것이었으며, 그 내용과 표현은 어떠했는지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아울러 세계 문학 전체를 두고 볼 때 상고 시대의 문학은 모두 비슷하게 전개되었음도 확인해 보도록 하겠다. 끝으로 당대의 삶의 모습과 오늘날 삶의 모습에 비슷한 점이 있는지 찾아보고, 작품의 화자나 주인공이 되어 그들의 삶과 정서를 느끼도록 하겠다.
ⅱ.교수학습 계획
차시
구분
교수학습 내용
1/2
도입
전래동요 ‘두껍아 두껍아’를 감상하고 불러보면서 노래의 말하기 방식 생각해보기
전개
배경설화 알기
영신군가 지어보기
구지가 원문 해석하기
구지가 불러보기
정리
수업 정리 및 차시 예고
2/2
도입
구지가 불러보기
전개
구지가를 다른 말하기 방식으로 바꾸어보고 그 효과 파악하기
주술요로서의 특징 알기
구지가의 상징적 의미 파악하기
구지가의 형식과 비슷한 다른 주술요와 비교해보기
정리
구지가 배경설화에 등장하는 인물이 되어 일기 써보기.
▶참고문헌◀
김성언, 「구지가의 해석」,『한국문학사의 쟁점』, 1993.
성기옥, 「‘구지가’의 작품적 성격과 그 해석(1)」, 『울산어문논집 제 3집』,1987.
Ⅳ. 발표 제안서
▶ 선정작품 : 구지가
▶ 수업대상 : 고등학교 2학년
▶ 수업의 주안점
① <구지가>는 수로왕을 맞이하는 집단 의식의 한 과정을 표현한 것으로서 흙을 파서 모으는 행위 및 춤과 노래가 조화를 이룬 집단의 노래이다. 그러나 문학 교과서에는 <구지가>를 시의 형태로 감상을 하는 데에서 그치고 있다. 본 지도안에서는 <구지가>가 원시종합예술이 행해지는 시대의 노래라는 점에 착안하여 학습자에게 <구지가>를 노래로 만들어볼 것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서 학습자의 창의성을 길러줄 수 있으며, 어렵고 딱딱한 고전시가를 흥미있게 학습할 수 있을 것이다.
② <구지가>는 삼국유사 기이 제이의 가락국기 편에 실려있다. 배경설화 속에 실려있기 때문에 <구지가>는 작품 자체만 제시하기 보다 배경설화의 맥락 속에서 이해해야 그 성격을 제대로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수업에서는 <구지가>와 배경설화를 따로 제시하지 않고 배경설화 속에 삽입된 <구지가>의 형태를 원문 그대로 제시하였다.
③ <구지가>는 영신군가이지만 그 형태가 ‘호칭-명령-가정-위협’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수업에서는 학습자에게 그 시대의 사람이 되어 영신군가를 지어보도록 하였다. 왕을 맞이하기 위한 노래이기 때문에 학습자는 보통 정중한 어법을 사용하리라 생각한다. 이 활동을 통해서 학습자는 자신들이 지은 영신군가와 비교해 <구지가>의 말하기 방식과 그 효과에 대해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④ 본 수업에서는 <구지가>의 해석본을 제시하지 않고 학습자가 직접 옥편을 찾아 해석해보도록 하였다. 어려운 한자가 많지 않고 분량도 적기 때문에 고2의 학습자가 충분히 해석할 수 있다고 보았다. 학습자가 어렵게 생각하는 한문 원문을 제공하여 그것을 해석해 봄으로써 학습자는 <구지가>의 뜻과 문맥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으며 한문 문장을 해석함으로써 뿌듯함을 느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⑤ 본고에서는 <구지가>와 다른 나라의 주술요를 비교해보도록 하였다. 이 활동을 통해 학습자는 세계 문학 전체를 두고 볼 때 상고 시대의 문학은 모두 비슷하게 전개되었음을 확인해 볼 수 있다.
⑥ 문학의 감상은 상상력을 필요로 한다. 특히 사료가 부족한 상고시대의 문학은 특히 그러하다. 본 수업에서는 학습자가 구지가의 배경설화의 인물이 되어 일기를 써보는 활동을 하도록 하였다. 이 활동을 통해서 학습자는 문학적 상상력을 길를 수 있으며 작품의 화자나 주인공이 되어 그들의 삶과 정서를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Ⅴ. 수업지도안
ⅰ. 단원설정의 이유
인간은 무슨 이유로, 또 무엇을 위해 문학을 창작하고 향유하게 되었을까? 이런 의문을 푸는 방법은 여러 가지겠지만 가장 좋은 방법의 하나는 문학이 처음 등장했을 때의 여러 모습들을 살펴보는 일이다. 문학이 처음 등장하였을 때 어떤 형식이었으며, 무엇을 위한 것이었으며, 그 내용과 표현은 어떠했는지를 살펴보면 오늘날 다양하게 전개되는 문학의 여러 모습을 투시하는 안목을 가질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문학의 본질을 파악하는 데에는 상고 시대의 문학이 첩경이 될 수 있다.
상고 시대의 문학은 또 우리 민족 문학의 원류에 해당한다. 이웃 나라와 교류하면서 우리 문학도 다양한 형태로 전개되었지만, 각 시대의 문학마다 초기 문학의 여러 특질들이 재현되거나 변형되어 나타남을 발견할 수 있다. 이 점에서도 상고 문학을 주목해야 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이유로 상고 시대의 문학 중 구지가를 학습하도록 하겠다. 구지가를 통해서 상고 시대의 문학에 대해 살펴보고 어떤 형식이었으며, 무엇을 위한 것이었으며, 그 내용과 표현은 어떠했는지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아울러 세계 문학 전체를 두고 볼 때 상고 시대의 문학은 모두 비슷하게 전개되었음도 확인해 보도록 하겠다. 끝으로 당대의 삶의 모습과 오늘날 삶의 모습에 비슷한 점이 있는지 찾아보고, 작품의 화자나 주인공이 되어 그들의 삶과 정서를 느끼도록 하겠다.
ⅱ.교수학습 계획
차시
구분
교수학습 내용
1/2
도입
전래동요 ‘두껍아 두껍아’를 감상하고 불러보면서 노래의 말하기 방식 생각해보기
전개
배경설화 알기
영신군가 지어보기
구지가 원문 해석하기
구지가 불러보기
정리
수업 정리 및 차시 예고
2/2
도입
구지가 불러보기
전개
구지가를 다른 말하기 방식으로 바꾸어보고 그 효과 파악하기
주술요로서의 특징 알기
구지가의 상징적 의미 파악하기
구지가의 형식과 비슷한 다른 주술요와 비교해보기
정리
구지가 배경설화에 등장하는 인물이 되어 일기 써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