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공학) EBS 위성방송 수능 강의 허와 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논의의 배경

2. EBS 수능 강의 부활은 경제성이 있는가?

3. 수능시험 반영은 공교육 정상화에 기여하는가?

4. EBS 수능 방송은 그림의 떡

5. 강원도 학생은 이러나 저러나 소외되는 현실

6. 정리

본문내용

가 않다는 것이다. 이러나 저러나 가난하고 시골에서 살면 피해가 되는 셈이다.
6. 정리
지금까지 살펴본 결과 EBS 수능 방송은 사교육비 절감, 공교육 정상화, 지역 격차 해소에 어느 정도 효과는 있지만 그 효과는 적을 뿐 아니라 우리가 당면한 교육문제에 근본 적인 해결책을 제시해 주지 못한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이미 대책 발표직후부터 현재까지 끊임없이 논의 되고 있는 것으로 아직도 그 해결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물론, 어느 정도의 효과는 분명히 있고 이를 계기로 우리 나라 교육문제 해결의 시작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결국, EBS 수능 방송은 지금은 여러 문제가 지적되고 학생들에게 많은 부담을 가중시키는 일일 지라도 결코 포기할 수 없는 매력을 지닌 하나의 교육 대책이다. 문제는 이러한 대책이 진행되어가다가 정책이 변하거나 정권이 바뀐다고 해서 도중에 흐지부지 해서는 안 될 것이다. 또 다시 막대한 예산을 투입한 시스템 구축이 아무런 쓸모가 없는 고철 덩어리가 되어서는 절대로 안 될 일이며 앞으로 지적되는 문제 하나하나를 해결함으로써 더 나은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5.11.14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08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